조현례의 절차
하루 전에 액정서에서 악차를 강녕전(康寧殿)에 설치한다. 상침(尙寢)이 그 소속을 거느리고 어좌를 악차 안 조금 동쪽에 남향으로, 왕비의 자리는 악차 안 조금 서쪽에 남향으로 하여 설치한다. 보안(寶案)을 어좌 앞 동쪽 가까이에 설치하고, 또 보안을 왕비의 자리 앞 서쪽 가까이에 설치하며, 향안(香案) 두 개를 전외(殿外) 좌우에 설치한다. 내시부(內侍府)에서 의장(儀仗)을 전정(殿庭) 동서쪽에 의식대로 진열한다. 그날에 전찬(典贊)이 혜빈의 배위(拜位)를 전정 중앙에 북향으로 설치하고, 또 왕세손빈의 배위를 혜빈의 자리 동쪽에 조금 남쪽으로 북향하여 설치한다. 또 명부(命婦)의 반수(班首) 이하의 배위를 왕세손빈의 배위 뒤에 설치하는데, 모두 매 등(等)마다 자리를 달리하고 겹줄로 하되, 북향으로 한다. 사찬(司贊)·전빈(典賓)의 자리는 동서 계단 아래에 있고, 전언(典言)·전찬(典贊)의 자리는 남쪽으로 조금 물러서 있다.
상궁 이하가 각기 예복을 갖추고 상전(尙傳)·상기(尙記)는 보(寶)를 받들고 함께 악차 앞으로 가서 사후(伺候)한다. 여집사(女執事)가 들어와 자리에 나아가면, 상전이 부복하여 꿇어앉아 전하에게 중엄(中嚴)을 계청하고, 상의가 꿇어앉아 왕비에게 중엄을 계청하며, 수칙(守則)이 꿇어앉아 혜빈에게 내엄(內嚴)을 아뢰고, 얼마 후에 또 외비(外備)를 아뢴다. 혜빈이 적의(翟衣)를 갖추고 수식(首飾)을 가하면 수규(守閨)가 앞에서 인도하여 나가 길 동쪽의 남쪽 가까이에 서향하여 서는데, 배위(陪衛)는 의식대로 한다. 수칙이 꿇어앉아서 왕세손빈에게 내엄(內嚴)을 아뢰고, 조금 후에 또 외비(外備)를 아뢴다. 왕세손빈이 적의를 갖추고 수식을 가하면 수규가 앞에서 인도하여 나가 길 서쪽에 서는데 혜빈의 자리 조금 남쪽에 동향한 데 당하고, 배위(陪衛)는 의식대로 한다. 전빈이 명부의 반수 이하를 인도하여 들어가 길 남쪽에 북향하여 서는데, 자리를 달리하고 겹줄로 하되, 서쪽이 위가 되게 한다.
상전(尙傳)이 꿇어앉아 전하에게 외판(外辦)을 아뢰면, 전하께서 원유관(遠遊冠)에 강사포(絳紗袍)를 갖추고 나와 자리에 오른다. 향로의 연기가 피어 오르면 상전이 보(寶)를 받들고 안상에 두는데, 산선(繖扇)·시위는 평상시의 의식대로 한다. 상의(尙儀)가 부복하여 꿇어앉아서 왕비에게 외판을 아뢰면, 왕비가 적의를 갖추고 수식을 가하고 나와 자리에 오른다. 상기(尙記)가 보를 받들어 안상에 두는데, 산선·시위는 평상시의 의식대로 한다.
수규가 혜빈을 인도하여 배위로 들어오면 사찬(司贊)이 말하기를, ‘사배(四拜)’라고 하고 전찬이 사배를 창하면 혜빈이 국궁·사배·흥·평신을 한다. 전언(典言)이 동쪽 계단으로 올라 자리 앞에 나아가 부복하여 꿇어앉고, 전찬이 ‘궤(跪)’를 창하면 혜빈이 꿇어앉는다. 전언이 대신 치사(致詞)하기를, ‘혜빈 첩(妾) 모씨(某氏) 운운(云云)’이라 한다. 하례를 마치면 부복하였다가 일어나 내려와 다시 자리로 돌아간다. 전찬이 ‘부복·흥·사배’를 창하면, 혜빈이 부복·흥·사배를 한다. 상의가 자리 앞에 나아가 부복하여 꿇어앉아서 전지(傳旨)를 열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 나와 계단에 이르러 서향하여 서서 전지가 있음을 일컬으면, 전찬이 ‘궤’를 창하고 혜빈이 꿇어앉는다. 상의(尙儀)가 선지(宣旨)하기를, ‘혜빈과 함께 경하한다.’라고 한다. 전찬이 ‘부복·흥·사배’를 창하면, 혜빈이 부복·흥·사배하고 전빈이 혜빈을 인도하여 나간다.
전빈이 왕세손빈을 인도하여 배위로 들어가 전찬이 ‘사배’를 창하면, 왕세손빈이 국궁·사배·흥·평신한다. 전언(典言)이 동쪽 계단으로 올라와 자리 앞에 나아가 부복하여 꿇어앉고, 전찬이 ‘궤’를 창하면 왕세손빈이 꿇어앉는다. 전언이 대신하여 치사(致詞)하기를, ‘왕세손빈 첩(妾) 모씨(某氏) 운운(云云)’이라고 한다. 하례를 마치면 부복하였다가 일어나 제자리로 돌아간다. 전찬이 ‘부복·흥·사배’를 창하면 왕세손빈이 부복·흥·사배하고, 상의가 자리 앞에 나아가 부복하여 꿇어앉아 전지(傳旨)를 열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 나가 계단에서 서향하여 서서 전지가 있음을 일컬으면, 전찬이 ‘궤’를 창하고 왕세손빈이 꿇어앉는다. 상의가 선지(宣旨)하기를, ‘세손빈과 같이 경하한다.’고 한다. 전찬이 ‘부복·흥·사배’를 창하면 왕세손빈이 부복·흥·사배하고 전빈이 왕세손빈을 인도하여 나간다.
전빈이 명부(命婦)의 반수(班首) 이하를 인도하여 배위로 나아가면 전찬이 ‘사배’를 창하고, 명부의 반수 이하가 국궁·사배·흥·평신한다. 전언이 동쪽 계단으로 올라가 자리 앞에 나아가 부복하여 꿇어앉고, 전찬이 ‘궤’라 창하면 명부의 반수 이하가 꿇어앉는다. 전언이 대신 치사하기를, ‘명부 첩(妾) 모 옹주(某翁主) 등 운운(云云)’이라고 한다. 하례를 마치면 부복하였다가 일어나 제자리로 돌아간다. 전찬이 ‘부복·흥·사배’를 창하면, 명부의 반수 이하가 부복·흥·사배하고 상의가 자리 앞에 나아가 부복하고 꿇어앉아 전지를 열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 나가 계단에서 서향하여 서서 전지가 있음을 일컬으면, 전찬이 ‘궤’를 창하고 명부의 반수 이하가 꿇어앉는다. 상의가 선지(宣旨)하기를, ‘명부 등과 함께 경하한다.’라고 하면, 전찬이 ‘부복·흥·사배’를 창하고 명부의 반수 이하가 부복·흥·사배한다. 상의가 자리 앞에 나아가 부복하여 예필을 아뢰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 나가면, 전하께서 자리에서 내려와 상의가 앞에서 인도해 악차로 들어간다. 왕비가 자리에서 내려오면, 상의가 앞에서 인도하여 악차로 들어가고 명부 이하가 각기 차로 들어간다.
- 【태백산사고본】 73책 108권 17장 A면【국편영인본】 44책 245면
- 【분류】왕실-의식(儀式) / 왕실-비빈(妃嬪) / 농업-권농(勸農) / 농업-양잠(養蠶)
○前一日, 掖庭署設幄次於康寧殿。 尙寢帥其屬, 設御座於幄次之內少東南向, 王妃座於幄次之內少西南向。 設寶案於御座前近東, 又設寶案於王妃座前近西, 設香案二於殿外左右。 內侍府陳儀仗於殿庭東西如儀。 其日典贊設惠嬪拜位於前庭當中北向, 又設王世孫嬪拜位於惠嬪位之東稍南北向。 又設命婦班首以下拜位於王世孫嬪拜位之後, 俱每等異位重行北向。 司贊ㆍ典賓位於東西階下, 典言ㆍ典贊在南差退。 尙宮以下各具禮服, 尙傳ㆍ尙記捧寶, 俱詣幄次前伺候。 女執事入就位, 尙傳俯伏跪, 啓請殿下中嚴, 尙儀跪啓請王妃中嚴, 守則跪白惠嬪內嚴, 少頃又白外備。 惠嬪具翟衣加首飾, 守閨前引以出, 立於道東近南西向, 陪衛如儀。 守則跪白 王世孫嬪內嚴, 少頃又白外備。 王世孫嬪具翟衣加首飾, 守閨前引以出立於道西, 當惠嬪位稍南東向, 陪衛如儀。 典賓引命婦班首以下入, 立於道南北向, 異位重行西上。 尙傳跪啓殿下外辦, 殿下具遠遊冠絳紗袍以出陞座。 爐烟升, 尙傳捧寶置於案, 繖扇侍衛如常儀。 尙儀俯伏跪, 啓王妃外辦, 王妃具翟衣加首飾以出陞座。 尙記捧寶置於案, 繖扇侍衛如常儀。 守閨引惠嬪入就拜位, 司贊曰四拜, 典贊唱四拜, 惠嬪鞠躬四拜興平身。 典言陞自東階, 進當座前, 俯伏跪, 典贊唱跪, 惠嬪跪。 典言代致詞云, ‘惠嬪妾某氏云云’。 賀訖俯伏興, 降復位。 典贊唱俯伏興四拜, 惠嬪俯伏興四拜。 尙儀進當座前俯伏跪, 啓傳旨, 俯伏興出, 臨階西向立, 稱有旨, 典贊唱跪, 惠嬪跪。 尙儀宣旨曰, ‘與惠嬪同慶’。 典贊唱俯伏興四拜, 惠嬪俯伏興四拜, 典賓引惠嬪出。 典賓引王世孫嬪入就拜位, 典贊唱四拜, 王世孫嬪鞠躬四拜興平身。 典言陞自東階, 進當座前, 俯伏跪, 典贊唱跪, 王世孫嬪跪。 典言代致詞曰, ‘王世孫嬪妾某氏云云’。 賀訖俯伏興降復位。 典贊唱俯伏興四拜, 王世孫嬪俯伏興四拜, 尙儀進當座前俯伏跪, 啓傳旨俯伏興出, 臨階西向立, 稱有旨, 典贊唱跪, 王世孫嬪跪。 尙儀宣旨曰, ‘與世孫嬪同慶’。 典贊唱俯伏興四拜, 王世孫嬪俯伏興四拜, 典賓引王世孫嬪出。 典賓引命婦班首以下, 入就拜位, 典贊唱四拜, 命婦班首以下鞠躬四拜興平身。 典言陞自東階進當座前俯伏跪, 典贊唱跪, 命婦班首以下跪。 典言代致詞曰, ‘命婦妾某翁主等云云’。 賀訖, 俯伏興降復位。 典贊唱俯伏興四拜, 命婦班首以下俯伏興四拜, 尙儀進當座前俯伏跪, 啓傳旨, 俯伏興出, 臨階西向立, 稱有旨, 典贊唱跪, 命婦班首以下跪。 尙儀宣旨曰, ‘與命婦等同慶’, 典贊唱俯伏興四拜, 命婦班首以下俯伏興四拜。 尙儀進當座前俯伏跪, 啓禮畢, 俯伏興退, 殿下降座, 尙儀前導, 入幄次。 王妃降座, 尙儀前導入幄次, 典賓引命婦以下各就次。
- 【태백산사고본】 73책 108권 17장 A면【국편영인본】 44책 245면
- 【분류】왕실-의식(儀式) / 왕실-비빈(妃嬪) / 농업-권농(勸農) / 농업-양잠(養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