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영조실록80권, 영조 29년 12월 26일 병오 10번째기사 1753년 청 건륭(乾隆) 18년

대왕 대비전에 존호를 가상할 때 책보를 올리는 의식

대왕 대비전(大王大妃殿)에 존호(尊號)를 가상(加上)하는 책보(冊寶)를 친히 전하는 의식(儀式)은 이러하였다.

"그날 액정서(掖庭署)에서 전하의 판위(版位)를 명정전(明政殿) 계상(階上)의 가운데에 북향하여 설치하고 소차(小次)를 전계(殿階) 위 동변(東邊)에 설치하고 지영위(祗迎位)를 대하(臺下)에 동쪽에서 서향하여 설치하고 책보를 임시 모시는 자리를 전내(殿內) 북쪽 가까운 곳에 남향하여 설치하고 【먼저 이미 벌여 모시어 있다.】 왕세자(王世子)의 자리를 전정(殿庭) 길 동쪽의 남쪽 가까운 곳에 북향하여 설치하고 또 지영위를 전하의 지영위 동남쪽에 서향하여 설치하고, 전의(典儀)가 종친(宗親)·문무 백관(文武百官)의 자리를 전정 동쪽과 서쪽의 남쪽 가까운 곳에 북향하여 설치한다. 그날 종묘(宗廟)에서 친제(親祭)한 뒤에 전하가 곧 면복(冕服)을 갖추고 도로 명정전 계상에 이르러 소차에 들어가고, 여러 집사(執事)들이 동계(東階) 아래에 차례로 벌여 선다. 책보를 친히 전할 때가 되면, 인의가 종친·문무 백관을 나누어 인도하여 【4품 이상은 조복(朝服)을 입고 5품 이하는 흑단령(黑團領)을 입는다.】 들어가 자리에 나아가고, 상례(相禮)가 왕세자를 인도하여 들어가 자리에 나아간다. 대왕 대비가 통명전(通明殿)에 출어(出御)하는데 시위(侍衞)는 의식대로 한다. 인의가 사자(使者)를 인도하여 명정전 첨계(簷階) 아래 동쪽 가까운 곳에 나아가 서향한다. 좌통례(左通禮)가 소차 앞에 나아가 꿇어앉아 소차에서 나가기를 계청(啓請)하면, 전하가 곧 면복을 갖추고 소차에서 나간다. 좌통례가 꿇어앉아 규(圭)를 잡기를 계청하고 근시(近侍)가 꿇어앉아 규를 바치면 전하가 규를 잡는다. 좌통례·우통례(右通禮)가 앞에서 인도하여 판위에 나아가 북향하여 선다. 【산선(繖扇)·화개(華蓋)·수정장(水精杖)·금부월(金斧鉞)은 먼저 정계(正階) 아래 좌우에 벌여 있다.】 전의가 ‘사배(四拜)’라 하고 좌통례가 꿇어앉아 국궁(鞠躬)하고 사배하고 일어나 평신하기를 계청하면, 전하가 국궁하고 사배하고 일어나 평신하고, 왕세자와 종친·문무 백관도 같이한다. 【찬의(贊儀)가 또한 창(唱)한다.】 좌통례가 꿇어앉아 규를 꽂기를 계청하면, 전하가 꿇어앉아 규를 꽂고 【만약 꽂기가 불편하면 근시가 받는다.】 왕세자와 종친·문무 백관이 꿇어앉는다. 【찬의(贊儀)가 또한 창(唱)한다.】 봉책관(捧冊官)이 동편문(東偏門)으로 들어가 【뒤에도 이와 같이 한다.】 책안(冊案) 앞에 나아가 책함(冊函)을 받들고 정문(正門)으로 나가 【뒤에도 이와같이 한다.】 꿇어앉아 근시에게 주고, 근시가 전해 받들고 서향하여 꿇어앉아 바치면, 전하가 받아서 【근시가 마주 든다.】 정사(正使)에게 준다. 정사가 동향하여 꿇어앉아 받아 정문을 거쳐 들어가 【봉책관이 도와서 든다.】 도로 안(案)에 두고 동문(東門)을 거쳐 나가 첨계 아래 동쪽 가까운 곳에 서향하여 선다. 봉보관(捧寶官)이 들어가 보안(寶案) 앞에 나아가 보록(寶盝)을 받들고 나가 꿇어앉아 근시에게 주고, 근시가 전해 받들고 서향하여 꿇어앉아 바치면, 전하가 받아서 【근시가 마주 든다.】 정사에게 준다. 정사가 동향하여 꿇어앉아 받아 정문을 거쳐 들어가 【봉보관이 도와서 든다.】 도로 안에 두고 동문을 거쳐 나가 첨계 아래 동쪽 가까운 곳에 서향하여 선다. 좌통례가 꿇어앉아 규를 잡고 부복(俯伏)하고 일어나 사배하고 일어나 평신하기를 계청하면, 전하가 규를 잡고 부복하고 일어나 사배하고 일어나 평신하고, 왕세자와 종친·문무 백관도 같이한다. 【찬의(贊儀)가 또한 창(唱)한다.】 좌통례가 꿇어앉아 예(禮)가 끝났음을 아뢰고 【찬의(贊儀)가 또한 창(唱)한다.】 좌통례·우통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내려가 지영위에 나아가 【왕세자와 종친·문무 백관이 지영(祗迎)하기를 의식대로 한다.】 서향하여 선다. 정사가 책함을 받들고 부사(副使)가 보록을 받들고 정문을 거쳐 나간다. 사자가 책보를 각각 요여(腰輿)·채여(彩輿)에 모시면 【요여·채여는 전계 위에 있고 의장(儀仗)·고취(鼓吹)는 전계 아래에 있다.】 의장·고취가 앞에서 인도하여 【〈고취는〉 벌이기만 하고 연주하지는 않는다.】 내려가 정계(正階)로 나간다. 좌통례가 꿇어앉아 국궁하기를 계청하면 전하가 국궁하고, 지나가면 평신하기를 계청하고 전하가 평신한다. 왕세자가 지영위에 나아가 서향하여 국궁하고 백관(百官)도 또한 국궁하고, 지나가면 평신한다. 【찬의(贊儀)가 또한 창(唱)한다.】 책보의 요여·채여가 서계(西階)로 올라가면, 사자와 도감(都監)의 도제조(都提調) 이하가 뒤따른다. 대왕 대비전의 합문(閤門) 밖에 이르러 【빈양문(賓陽門)이다.】 각각 책함·보록을 상전(尙傳)에게 전해 주고 들어간다. 좌통례·우통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여(輿)를 타는 곳에 이르러 좌통례가 꿇어앉아 규를 놓기를 계청하면 전하가 규를 놓는데 근시가 꿇어앉아 규를 받는다. 좌통례가 꿇어앉아 여를 타기를 계청하면 전하가 여를 타고 들어가는데 산선(繖扇)·시위(侍衞)는 평상시 의식대로 한다. 상례(相禮)가 왕세자를 인도하여 나가고 인의가 종친·문무 백관을 나누어 인도하여 나간다. 좌통례가 꿇어앉아 해엄(解嚴)을 아뢰고 병조(兵曹)에서 하교를 받아 의장을 해산한다. 사자가 도로 전정에 이르러 북향하고, 근시가 나가 사자의 동북쪽에 나아가 서향하여 선다. 사자가 꿇어앉고 정사가 복명(復命)하기를, ‘하교를 받들어 삼가 대왕 대비전에 존호를 가상하는 책보를 받들어 올리는 예가 끝났습니다……’ 하고 나서 사배하고 근시가 계문(啓聞)한다."


  • 【태백산사고본】 57책 80권 33장 B면【국편영인본】 43책 507면
  • 【분류】
    왕실-의식(儀式)

    ○大王大妃殿加上尊號冊寶親傳儀:

    其日, 掖庭署設 殿下版位於明政殿階上當中北向, 設小次於殿階上東邊, 設祗迎位於臺下在東西向, 冊寶權安位於殿內近北南向, 【先已排安。】 設王世子位於殿庭道東近南北向, 又設祗迎位於殿下祗迎位之東南西向, 典儀設宗親、文武百官位於殿庭東西近南北向。 其日宗廟親祭後, 殿下仍具冕服, 還至明政殿階上入小次, 諸執事序立於東階下。 親傳冊寶時至, 引儀分引宗親、文武百官, 【四品以上朝服, 五品以下黑團領。】 入就位, 相禮引王世子入就位。 大王大妃出御通明殿, 侍衛如儀。 引儀引使者就明政殿簷階下近東西向。 左通禮詣小次前跪, 啓請出次, 殿下仍具冕服出次。 左通禮跪啓請執圭, 近侍跪進圭, 殿下執圭。 左、右通禮前導, 就版位北向立。 【繖扇、華蓋、水精杖、金斧銊, 先陳於正階下左右。】 典儀曰四拜, 左通禮跪啓請鞠躬四拜興、平身, 殿下鞠躬、四拜、興、平身, 王世子及宗親、文武百官同。 【贊儀亦唱。】 左通禮跪啓請(跪)搢圭, 殿下跪搢圭, 【如搢不便, 近侍承捧。】 王世子及宗親、文武百官跪。 【贊儀亦唱。】 捧冊官自東偏門入, 【後倣此。】 詣冊案前, 捧冊凾, 出自正門, 【後倣此。】 跪授近侍, 近侍傳捧西向跪進, 殿下受之, 【近侍對擧。】 以授正使。 正使東向跪受, 由正門入, 【捧冊官助擧。】 還置於案, 由東門出, 立於簷階下近東西向。 捧寶官入詣寶案前, 捧寶盝出跪, 授近侍, 近侍傳捧西向跪進, 殿下受之, 【近侍對擧。】 以授正使。 正使東向跪受, 由正門入, 【捧寶官助擧。】 還置於案, 由東門出, 立於簷階下近東西向。 左通禮跪啓請執圭, 俯伏、興、四拜、興、平身, 殿下執圭, 俯伏、興、四拜、興、平身, 王世子及宗親、文武百官同。 【贊儀亦唱。】 左通禮跪啓禮畢, 【贊儀亦唱。】 左、右通禮導殿下降就祗迎位, 【王世子及宗親、文武百官祗迎如儀。】 西向立。 正使捧冊凾, 副使捧寶盝, 由正門出。 使者以冊寶, 各安於腰、彩輿, 【腰、彩輿在殿階上, 儀仗、鼓吹在殿階下。】 儀仗、鼓吹前導, 【陳而不作。】 降自正階以出。 左通禮跪啓請鞠躬, 殿下鞠躬, 過則啓請平身, 殿下平身。 王世子就祗迎位西向鞠躬, 百官亦爲鞠躬, 過則平身。 【贊儀亦唱。】 冊寶腰、彩輿陞自西階, 使者及都監都提調以下隨之。 至大王大妃殿閤門外, 【賓陽門。】 各以冊函、寶盝, 傳授尙傳以入。 左、右通禮導殿下至乘輿所, 左通禮跪啓請釋圭, 殿下釋圭, 近侍跪受圭。 左通禮跪啓請乘輿, 殿下乘輿以入, 繖扇、侍衛如常儀。 相禮引王世子出, 引儀分引宗親、文武百官出。 左通禮跪啓解嚴, 兵曹承敎放仗。 使者還至殿庭北向, 近侍出詣使者東北西向立。 使者跪, 正使復命曰, ‘奉敎謹奉上大王大妃殿加上尊號冊寶, 禮畢’ 云云訖, 四拜, 近侍啓聞。


    • 【태백산사고본】 57책 80권 33장 B면【국편영인본】 43책 507면
    • 【분류】
      왕실-의식(儀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