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영조실록79권, 영조 29년 4월 23일 무신 2번째기사 1753년 청 건륭(乾隆) 18년

영의정 조현명 등에게 시호를 내리고, 이종백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영의정 조현명(趙顯命)에게는 충효(忠孝)라는 시호를, 좌의정 정석오(鄭錫五)에게는 정간(貞簡)이라는 시호를, 동평위(東平尉) 정재륜(鄭載崙)에게는 익효(翼孝)라는 시호를,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에게는 정희(靖僖)라는 시호를, 예조 판서 이언강(李彦綱)에게는 정효(貞孝)라는 시호를, 좌의정 유관(柳灌)에게는 충숙(忠肅)이라는 시호를, 지돈녕 이석(李晳)에게는 장정(莊靖)이라는 시호를, 증 좌찬성 김석연(金錫衍)에게는 정희(貞僖)라는 시호를, 병조 판서 서필원(徐必遠)에게는 정의(貞毅)라는 시호를, 증 영의정(領議政) 장운익(張雲翼)에게는 정민(貞敏)이라는 시호를, 증 좌찬성 장붕익(張鵬翼)에게는 무숙(武肅)이라는 시호를, 예조 판서 엄즙(嚴緝)에게는 정헌(貞憲)이라는 시호를, 증 영의정 정수기(鄭壽期)에게는 정간(貞簡)이라는 시호를, 예조 판서 노진(盧槇)에게는 헌민(憲敏)이라는 시호를, 이조 판서 신명인(申命仁)에게는 정청(貞淸)이라는 시호를, 공조 판서 이광적(李光迪)에게는 정헌(靖憲)이라는 시호를, 증 좌찬성 최경회(崔慶會)에게는 충의(忠毅)라는 시호를, 판윤 임열(任說)에게는 문정(文靖)이라는 시호를, 증 영의정 신정(申晸)에게는 문숙(文肅)이라는 시호를, 이조 판서 남선(南銑)에게는 정민(貞敏)이라는 시호를, 좌의정 김응남(金應南)에게는 충정(忠靖)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이종백(李宗白)을 대사헌으로, 임순(任珣)을 사간으로, 이인원(李仁源)·이의로(李宜老)를 정언으로, 성천주(成天柱)를 교리로, 이현중(李顯重)을 부교리로, 신민(申旼)을 승지로, 심발(沈墢)을 보덕으로, 한광회(韓光會)를 사인(舍人)으로, 이창의(李昌誼)를 호조 판서로 삼았다.


  • 【태백산사고본】 57책 79권 23장 B면【국편영인본】 43책 486면
  • 【분류】
    인사(人事)

    ○賜領議政趙顯命忠孝, 左議政鄭錫五貞簡, 東平尉 鄭載崙翼孝, 德陽君 靖僖, 禮曹判書李彦綱貞孝, 左議政柳灌忠肅, 知敦寧李晳莊靖, 贈左贊成金錫衍貞僖, 兵曹判書徐必遠貞毅, 贈領議政張雲翼貞敏, 贈左贊成張鵬翼武肅, 禮曹判書嚴緝貞憲, 贈領礒政鄭壽期貞簡, 禮曹判書盧禛憲敏, 吏曹判書申命仁貞淸, 工曹判書李光迪靖憲, 贈左贊成崔慶會諡忠毅, 判尹任說文靖, 贈領議政申晸文肅, 吏曹判書南銑貞敏, 左議政金應南忠靖。 以李宗白爲大司憲, 任珣爲司諫, 李仁源李宜老爲正言, 成天柱爲校理, 李顯重爲副校理, 申旼爲承旨, 沈墢爲輔德, 韓光會爲舍人, 李昌誼爲戶曹判書。


    • 【태백산사고본】 57책 79권 23장 B면【국편영인본】 43책 486면
    • 【분류】
      인사(人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