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빈에게 효순이라는 시호를 내리다
임금이 빈궁(殯宮)에 친림(親臨)하여 현빈(賢嬪)에게 효순(孝純)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2일 전에 도감(都監)의 도제조와 당상이 흑단령(黑團領)·오사모(烏紗帽)에 품대(品帶)를 갖추고 책인(冊印)을 받들어 각각 채여(彩轝)에 실은 다음 봉배(奉陪)하고 대궐로 나아갔는데, 세장(細仗)으로 전도(前導)하고 고훤(考喧)026) 하였으며, 대궐에 이르러서는 승지가 전봉(傳捧)하여 들여왔다. 이날에 이르러 사자(使者) 이하가 흑단령을 갖추고 모두 조당(朝堂)에 모였다. 예랑(禮郞)이 채여 두 대를 명정문(明政門) 밖에 진설하여 놓았고 병랑(兵郞)은 세장(細仗)을 채여 남쪽에 진설하였다. 사자 이하는 문밖의 위차(位次)로 나아갔는데 전의(典儀) 이하가 먼저 들어와 위차로 나아갔다. 전교(傳敎)하여 승지(承旨)와 집사자(執事者)를 합문(閤門) 밖으로 나아가 기다리게 하니, 사자 이하가 동문(東門)을 거쳐 들어와 위차로 나아갔다. 내시(內侍)가 시책인(諡冊印)을 받들고 합문으로 나아가 전교관(傳敎官)에게 주니 전교관이 꿇어앉아서 받았다. 집사자(執事者)가 각각 안상(案床)을 들고 전교관 앞에 꿇어앉으니 전교관이 책인(冊印)을 각각 안상 위에 놓았으며, 전(殿)의 동문을 경유하여 동계(東階)로 나아갔다. 사자가 동북쪽에서 서쪽을 향하여 서고 집사자는 각각 안상을 들고 나아가 전교관의 남쪽에 섰다. 전교관이 ‘전교가 있다.’ 하니, 사자 이하가 꿇어앉았다. 전교관이 선교(宣敎)하기를,
"현빈에게 시책(諡冊)과 시인(諡印)을 내리는데 경(卿)에게 전례(展禮)하기를 명한다."
하였다. 선교하고 나자 사자 이하가 네번 절하였다. 집사자가 안상을 들고 전교관 앞으로 나아가서 전교관이 시책함(諡冊函)을 가져다가 사자에게 주자 사자가 북쪽을 향하여 꿇어앉아 받아서 시책함을 안상 위에 놓았다. 안상을 드는 사람이 마주들고 물러가 사자의 뒤에 가서 섰다. 전교관이 시인록(諡印盝)을 가져다가 사자에게 주니 사자가 꿇어앉아 받아서 시인록을 안상 위에 놓았다. 안상을 드는 사람이 마주 들고 물러가 사자의 뒤에 가서 서니 사자가 네 번 절하였다. 전교관이 물러가니 사자가 동문을 경유하여 나아갔다. 책인안(冊印案)을 드는 사람이 차례대로 앞으로 나아가니, 사자가 책인을 각각 채여(彩輿)에 놓았다. 세장(細仗)이 전도(前導)하고 사자 이하가 그 뒤를 따랐다. 빈궁(殯宮)의 문밖으로 나아가 사자가 책인을 임시로 대문 밖 악차(幄次)에 가져다 놓았다. 사자가 들어가서 중문(中門) 밖으로 나아가니, 책인안을 드는 사람이 각각 마주 들고 따라 들어와 위차로 나아갔다. 내시(內侍) 알자(謁者)가 승언색(承言色)을 인도하고 사자(使者) 앞으로 나아가 동쪽을 향하여 꿇어앉았다. 사자가 일컫기를,
"사자 서명빈(徐命彬)이 전교를 받들어 현빈(賢嬪)에게 시책과 시인을 내린다."
하였다. 말을 끝내고 나서 사자가 책함(冊函)을 가져다가 승언색에게 주고 난 다음 또 인록(印盝)을 가져다 승언색에게 주니, 승언색이 받아가지고 내시에게 주었다. 내시가 합문(閤門) 밖으로 나아가 꿇어앉아 안상에 올려놓으니, 안상을 드는 사람들이 각기 안상을 내시에게 주었다. 먼저 들어가 빈궁(殯宮)의 계하(階下)에 놓자 임시로 욕위(褥位)에 가져다 놓았으며 사자 이하는 잠시 물러갔다. 여관(女官) 2인이 꿇어앉아 책인(冊印)을 가지고 함께 들어가 권욕위(權褥位)에 놓으니, 여집사(女執事)가 하속(下屬)들을 데리고 예찬(禮饌)을 받들고 들어와 영좌(靈座) 앞에 진설하였다. 향로(香爐)·향합(香盒)·병촉(幷燭)을 앞에 진설하였다. 전의(典儀) 이하가 먼저 들어와 위차로 나아가니, 사자가 배위(拜位)로 나아가 두 번 절하고 꿇어앉았다. 여집사가 향안(香案) 앞으로 나아가 세 번 향(香)을 올리고 술을 따라 영좌 앞에 올렸는데, 잇따라 석 잔을 올린 뒤에 본래의 위차로 돌아왔다. 승언색(承言色)이 합문 밖으로 나아가 꿇어앉아 전언(典言)에게 전고(傳告)하니, 전언이 영좌 앞으로 들어와서 북쪽을 향하여 꿇어앉아 고하기를,
"사자 서명빈이 전교를 받들어 삼가 시책(諡冊)과 시인(諡印)을 올립니다."
하였다. 고하고 나서는 본래의 위차로 돌아갔다. 여관(女官) 2인이 함께 책인안(冊印案) 앞으로 나아가 한 사람은 책함을 취하고 한 사람은 인록을 취하여 중계(中階)로 올라오니, 전언과 여집사가 각기 안상을 들고 따랐다. 향안 앞에 나아가 꿇어앉아 먼저 안상을 놓고 책인을 그 안상 위에 올려놓았다. 여관이 책함을 열고 시책(諡冊)을 읽기를,
"왕은 말하노라. 쌓인 슬픔이 병이 되어 구저(舊邸)를 버리고 나를 버렸는데, 남긴 덕에 대한 시호를 내려야겠기에 새로운 책문(冊文)을 높이 걸어 그대에게 내린다. 이에 이전(彛典)을 따라 아름다운 칭호를 선양(宣揚)하노라. 오직 그대 현빈(賢嬪)은 아름다운 성품과 단아한 자태를 지녔다. 그 영의(令儀)가 깊고도 조용하여 지닌 덕이 규곤(閨閫)의 법칙이 되기에 합당하였으며, 어린 나이에 현빈에 간택(揀擇)되어 저사(儲嗣)의 존위(尊位)에 짝하였다. 큰 복을 누릴 것을 기대하였으므로 자무(慈撫)에 틈이 없으니 동조(東朝)께 함이(含飴)027) 의 정의를 미루어 주었고, 효양(孝養)에 흠결이 없으니 내전(內殿)에서 주궤(主饋)의 법을 도와주었다. 그랬는데 하늘이 돌보아 주지 않는 아픔이 있게 되어 갑자기 미망(未亡)의 슬픔에 걸리게 될 줄 어찌 알았겠는가? 아름다운 복숭아 나무에 꽃이 피었으나 육궁(六宮)028) 의 영가(詠歌)가 오래가지 못했고, 선계(仙桂)에 열매가 없으니 20년의 세월에 대한 슬픔이 더욱 깊구나. 눈물을 참고 억지로 기쁜 얼굴을 지은 것은 나의 뜻을 위로하여 주기 위한 것이었고, 병이 오래 되어 고황(膏肓)의 증세가 된 것을 숨긴 것은 이 마음을 상하게 할까 걱정해서였다. 아침저녁으로 문안하였던 것은 예전에 있었던 것만 같고 시종 시선(視膳)을 부지런히 한 것은 오늘까지 법식이 되었다. 오직 만년(晩年)에 길이 의지하려 했더니 갑자기 젊은 나이에 서거(逝去)함을 통곡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한때의 병이라 여겨 약원(藥院)에서 창황히 애를 썼는데 그 누가 밤중에 초혼(招魂)하게 되어 초액(椒掖)이 놀랄 줄이야 생각이나 했겠는가? 남모르게 사그라지는 것이 빌미가 되어 있는 것인데 어찌 의원이 치료를 잘못하여 그런 것이겠는가? 후한 보답을 내리는 징험이 없으니, 더욱 신리(神理)에 어긋나는 것이 많다는 것을 깨닫겠다. 자애로운 삼전(三殿)이 슬픔에 잠겨 있으니 지난 일을 어떻게 차마 거론하겠으며, 온 조정(朝廷)이 근심에 휘말렸으니 노경(老境)의 허전한 마음이 어떻게 위로될 수 있겠는가? 진실로 시호를 내려 사실을 기록하지 않으면 어떻게 드러나지 않은 것을 밝혀서 아름다움을 후세에 전할 수 있겠는가? 효도는 온갖 행실의 근원이어서 성경(誠敬)이 갖추 지극하였으며, 순일(純一)함은 덕의 정수인 것이어서 화정(和正)을 겸하여 지녔다. 이에 남긴 아름다움을 척기(摭記)하고 이어 공의(公議)를 채택하여 신(臣) 의정부 우참찬 서명빈을 보내어 시책(諡冊)을 받들고 가서 효순(孝純)이라 증시(贈諡)하게 하였다. 그대의 의형(儀形)이 영원히 사라졌으니 현목(玄木)029) 을 어루만짐에 슬픈 마음이 가중되고, 행의(行誼)가 더욱 드러나니 동관(彤管)030) 을 잡고서 아름다운 칭송을 널리 전한다. 만일 정령(精靈)이 혼매(昏昧)하지 않다면 이 총명(寵命)을 흠봉(欽奉)하기 바란다. 아! 슬프다."
하였다. 다 읽고 나서 시책을 도로 책함(冊函)에 넣으니, 전언(典言)이 책함(冊函)을 들어다가 영좌(靈座) 앞에 가져다 놓았다. 여관(女官)이 책함을 안상(案床)에 놓고 본래의 위차로 돌아갔다. 여관이 꿇어앉아 녹함(盝函)을 열고 낭독하기를,
"효순 현빈(孝純賢嬪)의 인(印)이다."
하였다. 낭독하고 나서는 인(印)을 도로 녹함에 넣어 안상 위에 놓고 본래의 위차로 돌아갔다. 사자가 두 번 절하고 나왔다. 사자가 대궐에 나아가 복명(復命)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55책 75권 5장 B면【국편영인본】 43책 425면
- 【분류】왕실-경연(經筵)
- [註 026]고훤(考喧) : 소란하게 떠들지 못하도록 고찰(考察)하여 훤소(喧騷)를 금하는 것.
- [註 027]
함이(含飴) : 엿을 먹고 손자를 희롱하며 정사에 관여하지 아니하는 것. 후한(後漢)의 마 황후(馬皇后)가 "나는 단지 엿을 머금고 손자나 희롱하며 다시 정사에 관여하지 아니하겠다."고 한 데서 나온 말.- [註 028]
육궁(六宮) : 후(后)·비(妃)·부인(夫人)·빈(嬪)·세부(世婦)·여어(女御)의 임금이 거느리는 여섯 계급의 궁녀.- [註 029]
현목(玄木) : 바래지 않아 빛깔이 누르거무스름한 무명.- [註 030]
동관(彤管) : 붉은 빛의 대붓. 옛날에는 여사(女史)가 적필(赤筆)을 가지고 궁중의 정령(政令)이나 왕비의 언행 등을 기록하였음.○上親臨殯宮, 賜賢嬪諡曰孝純。 前二日, 都監都提調及堂上, 具黑團領、烏紗帽、品帶, 奉冊印各置於彩轝, 奉陪詣闕, 前導細仗考喧, 至闕承旨傳捧以入。 及是日, 使者以下具黑團領, 俱集朝堂。 禮郞陳彩輿二於明政門外, 兵郞陳細仗於彩輿之南。 使者以下就門外位, 典儀以下先入就位。 傳敎命承旨及執事者詣閤外以俟, 使者以下由東門入就位。 內侍捧諡冊印出閤, 以授傳敎官, 傳敎官跪受。 執事者各擧案跪傳敎官前, 傳敎官以冊印各置於案, 由殿東, 降自東階詣。 使者東北西向立, 執事者各擧案從之, 立於傳敎官之南。 傳敎官稱有敎, 使者以下跪。 傳敎官宣敎曰: "賜賢嬪諡冊、諡印, 命卿展禮。" 宣訖, 使者以下四拜。 執事者擧案進傳敎官前, 傳敎官取諡冊函授使者, 使者北向跪受, 置冊函於案。 擧案者對擧, 退立於使者之後。 傳敎官取諡印盝授使者, 使者跪受, 置印盝於案。 擧案者對擧, 退立於使者之後, 使者四拜。 傳敎官退, 使者由東門出。 擧冊印案者以次前行, 使者以冊印各置於彩輿。 細仗前導, 使者以下隨之。 詣殯宮門外, 使者以冊印, 權置於大門外幄次。 使者入就中門外, 擧冊印案者各對擧從入就位。 內侍謁者引承言色, 詣使者前東向跪。 使者稱: "使者徐命彬奉敎, 賜賢嬪諡冊、諡印。" 訖, 使者取冊函, 授承言色, 又取印盝授承言色, 承言色受之以授內侍。 詣閤外, 跪置於案, 擧案者各以案, 授內侍。 先入置於殯宮階下, 權置褥位, 使者以下權退。 女官二人跪取冊印, 俱入置於權褥位, 女執事帥其屬, 捧禮饌入, 設於靈座前。 設香爐香盒幷燭於前。 典儀以下先入就位, 使者就拜位再拜跪。 女執事進香案前, 三上香, 酌酒奠于靈座前, 連奠三盞, 還本位。 承言色詣閤外, 跪傳告典言, 典言入於靈座前, 北向跪告, ‘使者徐命彬奉敎, 謹上諡冊、諡印。’ 告訖, 還本位。 女官二人, 俱詣冊印案前, 一人取冊函, 一人取印盝, 陞自中階, 典言、女執事各擧案從之。 詣香案前跪, 先置案, 置冊印於案。 女官開函, 讀諡冊曰: "王若曰。 積哀成疾, 捐舊邸而棄予, 遺德易名, 揭新冊而錫爾。 式循彝典, 載揚休稱。 惟爾賢嬪, 美稟端莊。 令儀淵靜, 秉德合閨閫之則, 在厥幼齡, 揀賢配儲嗣之尊。 期以遐福, 慈撫罔間, 東朝推含飴之情, 孝養靡虧, 內殿資主饋之法。 那知不弔之割, 遽罹未亡之哀? 夭桃有華, 六宮之詠未久, 仙桂無實, 廾載之慟彌深。 抑淚强怡愉之容, 要慰予意, 淹疾諱膏肓之證, 恐傷此心。 如在昔年, 替問寢於晨夕, 式至今日。 勤視膳於始終, 惟期晩景之長依, 遽哭早歲之倐逝。 始謂一時之遇疾, 藥院倉皇, 誰意半夜之復魂, 椒掖驚隕? 潛鑠有祟, 豈緣醫技之失治? 厚報無徵, 益覺神理之多爽。 三殿齎止慈之慟, 往事忍提, 一廷貢貽慼之憂, 衰境曷慰? 苟非節惠而紀實, 則何賁幽而垂休? 孝乃百行之源, 誠敬備至, 純是一德之粹, 和正兼該。 爰撫遺徽, 仍採公議, 玆遣臣議政府右參贊徐命彬, 奉冊贈諡曰孝純。 儀形永閟, 撫玄木而增悲, 行誼彌彰, 播彤管而流譽。 倘精靈之未昧, 庶寵命之是欽。 嗚呼哀哉!" 讀訖, 以冊還置於函, 典言擧冊案, 置於靈座前。 女官以冊函置於案, 還本位。 女官跪開盝, 讀曰: "孝純 賢嬪之印。" 讀訖, 以印還置於盝, 置案上, 還本位。 使者再拜出。 使者詣闕復命。
- 【태백산사고본】 55책 75권 5장 B면【국편영인본】 43책 425면
- 【분류】왕실-경연(經筵)
- [註 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