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영조실록69권, 영조 25년 6월 23일 기해 2번째기사 1749년 청 건륭(乾隆) 14년

임금이 금성위 박명원의 집에 거둥하였는데 이 날이 화평 옹주의 소상이다

임금이 금성위(錦城尉) 박명원(朴明源)의 집에 거둥하였는데, 이 날이 화평 옹주(和平翁主)의 소상(小祥)이었다. 임금이 그 대문에 이르러 남여(藍輿)에서 내려와 슬프게 눈물을 흘리며 배종(陪從)한 신하들에게 말하기를,

"지금 사람들은 오륜(五倫)도 없는가? 모름지기 나에게 하루의 여가라도 허락하라."

하고, 임금이 화평 옹주를 생각하는 슬픔이 심하여 자주 그 집에 거둥하였으나, 여러 신하들이 감히 말하지 못하였다. 임금이 하교하기를,

"밤이 깊어 문을 닫았을 것이니 군병(軍兵)이 더러 끼니를 거르는 폐단이 있을 것이다. 군문(軍門)으로 하여금 밥을 전달하도록 하고, 그 성(城) 밖에 있는 자에 대해서는 군문에서 밥을 먹인 뒤에 계달하도록 하라."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52책 69권 42장 A면【국편영인본】 43책 344면
  • 【분류】
    왕실-경연(經筵)

    ○上幸錦城尉 朴明源第, 是日翁主小祥也。 上至其門, 降輿慘悽泣下, 謂從臣曰: "今人無五倫耶? 須許予一日之暇。" 上悼念主甚, 數幸其第, 群臣莫敢言。 上下敎曰: "夜深門閉, 軍兵或有闕食之弊。 使軍門傳餐, 其居城外者, 自軍門饋飯後以啓。"


    • 【태백산사고본】 52책 69권 42장 A면【국편영인본】 43책 344면
    • 【분류】
      왕실-경연(經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