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영조실록67권, 영조 24년 2월 25일 기묘 4번째기사 1748년 청 건륭(乾隆) 13년

선정전의 영정을 영희전으로 이안할 때의 수가하는 출궁 환궁 의식과 망전례

선정전(宣政殿)의 영정(影幀)을 영희전(永禧殿)으로 이안(移安)할 때 전하가 수가(隨駕)하여 출궁(出宮)·환궁(還宮)하는 의식은 이러하다. 【선정전 망전례(望殿禮)와 봉심(奉審) 및 영희전 망전례와 봉심에 대한 의주(儀註)도 아울러 붙인다.】 기일에 앞서 액정서(掖庭署)에서 선정전 동쪽 뜰 아래와 돈례문(敦禮門) 밖 길 동쪽에다 서쪽을 향하여 소차(小次)를 설치한다. 왕세자의 위차는 연영문(延英門) 밖 길 동쪽에다 서쪽을 향하여 설치한다. 전하의 망전례(望殿禮) 위차는 전정(殿庭) 길 동쪽에다 서쪽을 향하여 설치하고, 왕세자의 위차는 전하의 판위 뒤에 남쪽 가까운 데에다 서쪽을 향하여 설치한다. 전의(典儀)가 종친과 문무 백관의 위차를 선정문 밖에 설치하는데, 문관은 동쪽에, 무관은 서쪽에 하고, 모두 매 등급마다 위차를 달리하여 겹줄로 북쪽을 향하게 한다. 또 전하의 소차를 영희전 대문 안에 설치하고, 망전례의 위차는 재전(齋殿) 정문 안에다 동쪽에 가깝게 서쪽을 향하여 설치한다. 전의가 종친과 문무 백관의 위차를 재전의 문밖에 설치하는데, 동서(東西)로 나누어 위차를 달리하여 겹줄로 북쪽을 향하게 한다. 또 영정을 임시로 봉안할 대차(大次)를 영희전 신문(神門) 밖 길 동쪽에다 서쪽을 향하여 설치하는데, 악차(幄次)는 대차 안에 설치한다. 【신탑(神榻)을 설치한다.】 전하의 입위(立位)는 대차 앞 길 동쪽에다 서쪽을 향하여 설치하고, 왕세자가 지영(祗迎)하는 위차는 흥화문(興化門) 밖 길 동쪽에다 서쪽을 향하여 설치한다. 그날 초엄(初嚴)을 치면 병조에서 제위(諸衛)를 정돈하여 노부(鹵簿)와 의장(儀仗)을 건명문(建明門) 밖에서 의주(儀註)대로 진설하며, 장악원(掌樂院)에서 경현당(景賢堂) 뜰 남쪽 가까이에 북쪽을 향하여 헌현(軒懸)한다. 【출궁(出宮)할 때에는 진설만 하고 연주하지 않으며, 환궁(還宮)할 때는 음악을 연주한다.】 종친과 문무 백관은 모두 조방(朝房)에 모여서 각기 흑단령(黑團領)을 입고, 사복시 정(司僕寺正)은 연(輦)을 숭현문(崇賢門) 밖에다 대고 여(輿)를 합문(閤門) 밖에다 댄다. 이엄(二嚴)을 치면 종친과 문무 백관이 모두 흥화문(興化門) 밖에 있는 시립위(侍立位)로 나아간다. 왕세자가 익선관(翼善冠)에 곤룡포(袞龍袍)를 갖추고서 여(輿)를 타고 흥화문 밖으로 나아가 위차로 들어가면 여러 호위하는 관원들은 각기 해당되는 옷을 입고 모두 합문 밖으로 나아가 기다린다. 좌통례가 합문 밖으로 나아가 꿇어앉아 중엄(中嚴)이 되었음을 계청한다. 삼엄(三嚴)을 쳐서 북소리가 그치면 내외(內外)의 문을 열며 좌통례가 외판(外辦)되었음을 아뢴다. 전하가 익선관에 곤룡포를 갖추고 여(輿)를 타고 나가며 산선(산扇)·시위(侍衛)는 보통의 의례와 같다. 좌통례가 앞에서 인도하고 상서원(尙瑞院)의 관원이 보(寶)를 받들고 앞서서 간다. 【연(輦)에 타기를 기다려 보(寶)를 말에다 싣는다.】 어가(御駕)가 숭현문 밖에 이르러 좌통례가 꿇어앉아 여(輿)에서 내려 연(輦)을 탈 것을 계청하면 전하가 여에서 내려 연을 탄다. 좌통례가 꿇어앉아 출발할 것을 계청한다. 어가(御駕)가 움직이면 【고취(鼓吹)는 진설만하고 연주하지 않는다.】 좌통례·우통례가 앞에서 인도하고 찬의(贊儀) 2인이 통례의 앞에 있는데, 장위(仗衛)와 도종(導從)은 보통의 의례와 같다. 어가가 흥화문 밖에 이르면 왕세자가 위차에서 나와 몸을 굽히는데, 지나가고 나면 평신하고 이어 연(輦)을 타고 어가를 따른다. 어가가 시신(侍臣)들의 상마소(上馬所)에 이르면 좌통례가 꿇어앉아 어가가 조금 머물러 시신들로 하여금 말을 타게 할 것을 계청하고 뒤이어 시신들에게 말을 타라고 외친다. 찬의가 전창(傳唱)하여 시신들이 모두 말을 타면 좌통례가 꿇어앉아 출발할 것을 계청한다. 어가가 움직이면 종친과 문무 백관이 몸을 굽혀 지영(祗迎)하고, 왕세자가 이를 적에도 몸을 굽히는데, 지나가고 나면 평신하며 순차에 따라 시위한다. 어가가 창덕궁 돈화문 밖에 있는 시신의 하마소(下馬所)에 이르면 좌통례가 꿇어앉아 어가가 조금 머물러 시신들로 하여금 말에서 내리게 할 것을 계청하는데, 시위는 보통의 의례와 같다. 좌통례가 꿇어앉아 출발할 것을 계청하면, 돈화문 동협(東夾)을 거쳐 들어간다. 어가가 숙장문(肅章門) 밖 강련소(降輦所)에 이르러 좌통례가 꿇어앉아 연(輦)에서 내려 여(輿)를 탈 것을 계청하면, 전하가 연에서 내려 여를 탄다. 좌통례가 앞에서 인도하여 선정문 밖 강여소(降輿所)에 이르러 【시신은 이에 물러간다.】 좌통례가 꿇어앉아 여(輿)에서 내릴 것을 계청하면 전하가 여에서 내린다. 좌통례·우통례가 앞에서 인도하여 돈례문(敦禮門) 밖에 이르러 소차(小次)로 들어가면 【돈화문에서 돈례문에 이르기까지 모두 동협(東夾)을 경유하는데, 이 뒤도 이와 같다.】 산선과 시위는 선정문 밖에 정지한다. 왕세자가 창덕궁 돈화문 밖에 이르러 연(輦)에서 내려 여(輿)를 타고 서협(西夾)을 거쳐 들어가는데, 연영문 밖에 이르러 여에서 내려 소차로 들어간다. 【돈화문에서 돈례문에 이르기까지는 모두 서협(西夾)을 경유한다.】 좌통례가 꿇어앉아 해엄(解嚴)할 것을 계청하면, 병조에서 전교(傳敎)를 받들어 의장(儀仗)을 푼다. 인의가 종친과 문무 백관을 인도하는데, 그대로 흑단령을 갖추고 선정문 밖 위차로 들어간다. 왕세자가 익선관에 곤룡포를 갖추고 위차로 들어가면, 좌통례가 소차 앞으로 나아가 꿇어앉아 소차에서 나올 것을 계청한다. 전하가 익선관에 곤룡포를 갖추고 나오면 좌통례·우통례가 앞에서 인도하여 망전례(望殿禮)의 위차에 나아가 서쪽을 향하여 선다. 좌통례가 꿇어앉아 몸을 굽히고 네 번 절한 다음 일어나 평신할 것을 아뢰면, 전하가 몸을 굽히고 네 번 절한 다음 일어나 평신하고, 왕세자도 몸을 굽히고 네 번 절하고 일어나 평신하는데, 종친과 문무 백관도 같다. 【찬의도 같다.】 끝나고 나면 인의가 종친과 문무 백관을 나누어 인도하여 나온다. 전하가 전내(殿內)로 들어가면 왕세자도 따라 들어가는데, 영정을 봉심할 때에는 승지·사관·궁관과 도감 당상 각 1원(員)이 시입(侍入)한다. 【통례와 상례는 계단 아래에 정지한다.】 봉심을 마치고 나면 좌통례·우통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도로 소차로 들어가고, 왕세자도 따라 나와서 소차로 들어간다. 영정을 장축(粧軸)할 때 전하가 전내(殿內)로 들어가면 승지·사관과 도감의 당상(堂上)·도청(都廳)이 함께 흑단령 차림으로 시입(侍入)하는데, 장축을 봉심하고 표제(標題)를 첩부(貼付)하고서 끝낸다. 첨배(瞻拜)할 때에는 도감 당상과 종친·의빈·문무관 정2품 이상이 함께 흑단령 차림으로 선정문 밖의 위차로 들어가며 전하와 왕세자도 이어서 익선관에 곤룡포를 갖추고 전정(殿庭)의 판위(版位)로 나아가는데, 의주(儀註)대로 행례(行禮)한다. 【첨배의(瞻拜儀)에 기재되어있다.】 이를 끝마치고 나면 전하는 소차로 들어가고 왕세자는 그날로 환궁하는데, 의주대로 한다. 【왕세자 환궁의에 기재되어 있다.】 다음날 동가(動駕)를 고하는 제사를 지낼 때에는 종친과 문무 백관이 먼저 위차로 나아가면 전하가 면복(冕服)을 갖추고 판위로 들어가 의주대로 행례(行禮)한다. 【동가(動駕)를 고하는 제사를 친행하는 의주(儀註)에 기재되어 있다.】 이를 끝마치고 나서 영정 1본을 안의 진전(眞殿)에 봉안한 뒤에 전하가 도로 소차로 들어간다. 선정전의 영정을 영희전에 봉안할 때에는 초엄(初嚴)이 치면 병조에서 장위(仗衛)·노부(鹵簿)를 진선문(進善門) 밖에 진설하고, 사복시 정(司僕寺正)은 연(輦)을 진선문 밖에다 대고 여(輿)를 인정전(仁政殿) 동쪽 뜰 아래에다 댄다. 이엄(二嚴)을 치면 종친과 문무 백관이 각기 조복(朝服)을 입고, 【4품 이상은 조복을 입고, 5품이하는 흑단령을 입는다.】 돈화문 밖의 시립위(侍立位)로 나아가며, 여러 호위하는 관원들도 함께 인화문(仁和門) 밖으로 나아가 기다리는데, 좌통례가 소차 앞으로 나아가 꿇어앉아 중엄(中嚴)임을 계청한다. 삼엄(三嚴)을 쳐서 북소리가 그치면 내외의 문을 여는데, 좌통례가 꿇어앉아 외판(外辦)되었음을 아뢰면 전하가 면복을 갖추고 나온다. 좌통례가 꿇어앉아 규(圭)를 잡을 것을 계청하면, 근시(近侍)가 꿇어앉아 규를 올리고, 전하가 그 규를 잡는다. 좌통례·우통례가 앞에서 인도하여 전내(殿內)로 들어가면, 대축(大祝)이 영정궤(影幀櫃)를 신여(神輿)에 봉안하고서 인화문을 경유하여 나온다. 좌통례·우통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걸어서 신여를 따라 인정전 월대(月臺) 위에 이르러 대축이 영정을 신련(神輦)에 봉안하고, 【고취(鼓吹)를 울린다.】 인정문(仁政門)을 경유하여 나온다. 좌통례·우통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인정전 동쪽 뜰 밑에 있는 승여소(乘輿所)에 이르러 좌통례가 꿇어앉아 규를 놓을 것을 계청하면, 전하가 규(圭)를 놓고 근시(近侍)가 꿇어앉아 그 규를 받는다. 좌통례가 여를 탈 것을 계청하면 전하가 여를 타며, 인정문 동협(東夾)을 경유하여 진선문 동협 밖 승련소(乘輦所)에 이르러 좌통례가 꿇어앉아 여에서 내려 연을 탈 것을 계청하면 전하가 여에서 내려 연을 탄다. 좌통례가 꿇어앉아 규(圭)를 잡을 것을 계청하면 근시(近侍)가 꿇어앉아 규를 올리고 전하가 규를 잡는다. 좌통례가 꿇어앉아 출발할 것을 계청하고 산선(繖扇)·시위(侍衛)는 보통의 의례와 같게 한다. 대가(大駕)가 돈화문 동협(東夾)을 거쳐 나아가는데, 종친과 문무 백관은 신련(神輦)이 이르면 몸을 굽혔다가 지나가면 평신하고, 대가가 이르면 몸을 굽혔다가 지나가면 평신한 다음 순차에 따라 시위한다. 대가가 영희전(永禧殿) 대문 밖 강련소(降輦所)에 이르러 좌통례가 꿇어앉아 규를 놓을 것을 계청하면, 전하가 규를 놓고 근시가 꿇어앉아 규를 받는다. 좌통례가 꿇어앉아 연에서 내려 여를 탈 것을 계청하면, 전하가 연에서 내려 여를 탄다. 좌통례·우통례가 앞에서 인도하여 동쪽 편문(偏門)을 거쳐 들어가 【먼저 들어간 향관(享官)이 대문 안 길 왼쪽에 서서 몸을 굽히고 지영(祗迎)하는 것을 보통의 의례와 같게 하며, 노부(鹵簿)는 대문 밖에 정지하게 한다.】 강여소(降輿所)에 이르러 좌통례가 꿇어앉아 여(輿)에서 내릴 것을 청하면, 전하가 여에서 내린다. 좌통례가 꿇어앉아 규(圭)를 잡을 것을 계청하면, 근시가 꿇어앉아 규를 올리며 전하가 규를 잡는다. 좌통례·우통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신련(神輦)을 따라 신문(神門) 밖에 이르러 영정궤(影幀櫃)를 대차(大次) 안에 임시 봉안한다. 【신탑(神榻) 위이다.】 좌통례·우통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소차 앞에 이르러 좌통례가 규(圭)를 놓을 것을 계청하면, 전하가 규를 놓는데 근시가 꿇어앉아 규를 받는다. 좌통례·우통례가 앞에서 인도하여 소차로 들어가는데, 산선·시위는 보통의 의례와 같다. 인의가 종친과 문무 백관을 나누어 인도하여 【4품 이상은 조복을 입고, 5품. 이하는 흑단령을 입는다.】 위차로 들어가면 좌통례가 꿇어앉아 소차에서 나올 것을 계청한다. 전하가 소차에서 나오면 좌통례·우통례가 앞에서 인도하여 재실(齋室)의 정문을 거쳐 망전례(望殿禮)의 위차로 들어가 서쪽을 향하여 선다. 좌통례가 꿇어앉아 몸을 굽혀 네 번 절한 다음 일어나 평신(平身)할 것을 계청하면 전하가 몸을 굽혀 네 번 절하고 일어나 평신한다. 종친과 문무 백관도 같다. 【찬의가 또한 외친다.】 망전례를 마치고 나면 좌통례가 꿇어앉아 신전(新殿)을 봉심할 것을 계청한다. 좌통례·우통례가 앞에서 인도하여 재전(齋殿)의 문을 경유하여 나와서 신문(神門)의 동협(東夾)을 경유하여 정전(正殿)으로 들어간다. 봉심할 때에는 승지·사관과 중수 도감(重修都監)의 당상이 시입(侍入)한다. 【통례는 문밖에 정지하는데, 뒤에도 이와 같다.】 봉심을 마치고 나면 좌통례·우통례가 전하를 인도하여 도로 동협문(東夾門)으로 나간다. 좌통례가 꿇어앉아 규(圭)를 놓을 것을 계청하면, 전하가 규를 놓고 근시가 꿇어앉아 규를 받는다. 좌통례·우통례가 앞에서 인도하여 소차로 들어가는데 산선·시위는 보통의 의례와 같다. 삼실(三室)의 영정을 도로 봉안하는 것과 새 영정을 봉안할 때가 이르면 좌통례가 소차 앞에 나아가 꿇어앉아 소차에서 나올 것을 계청하면, 전하가 소차에서 나온다. 좌통례·우통례가 앞에서 인도하여 재전(齋殿)의 정문 밖에 이르러 좌통례가 꿇어앉아 규(圭)를 잡을 것을 계청하면, 근시가 꿇어앉아 규를 올리고 전하가 규를 잡는다. 좌통례·우통례가 앞에서 인도하여 재전의 정문을 거쳐 전내로 들어가 봉심할 때에는 승지·사관과 중수 도감의 당상 각 1원이 시입(侍入)한다. 삼실(三室)의 영정을 배봉(陪奉)하여 정전(正殿)의 각실(各室)에 도로 봉안하는 것을 끝내면 전하가 도로 나온다. 좌통례·우통례가 앞에서 인도하여 신문(神門)의 동협을 경유하여 나와 영정을 임시 봉안한 대차로 나아가서 전하가 영정을 배봉(陪奉)한다. 제4실에 봉안하는 것도 모두 보통의 의례와 같다. 【환안(還安) 및 봉안(奉安)하는 의주(儀註)에 기재되어 있다.】 이를 마치고 나면 전하가 도로 나오는데 좌통례·우통례가 앞에서 인도하여 동문(東門) 밖에 이르러 좌통례가 꿇어앉아 규(圭)를 놓을 것을 계청하면, 전하가 규를 놓고 근시가 꿇어앉아 규를 받는다. 전하가 재실(齋室)로 들어가 【동궁(東宮)의 재실이다.】 고안제(告安祭)를 지낼 때가 되면, 종친과 문무 백관이 위차로 나아가며 전하는 이어서 면복(冕服)을 갖추고 의식대로 예식을 행한다. 【고안제를 친행할 때의 의주(儀註)에 기재되어 있다.】 이를 끝마치면 전하가 재실(齋室)로 돌아가 면복(冕服)을 벗는다. 초엄(初嚴)을 알리는 북을 치면 병조에서 장위·노부를 돌아가는 길로 돌려 놓는다. 이엄(二嚴)을 치면 종친과 문무 백관이 그대로 조복(朝服)을 입고 동구(洞口)의 시립위(侍立位)로 나아간다. 환궁하기 전에 이엄(二嚴)을 치면 필선(弼善)이 꿇어앉아 외비(外備)하였음을 아뢰고, 왕세자가 원유관(遠遊冠)에 강사포(降紗袍)를 갖추고 여(輿)를 타고 흥화문(興化門) 밖으로 나아가 소차로 들어가는데, 좌통례가 꿇어앉아 중엄(中嚴)을 계청한다. 삼엄(三嚴)을 치면 좌통례가 꿇어앉아 외판(外辦)되었음을 아뢴다. 전하가 다시 원유관에 강사포를 갖추고 나아오는데, 좌통례가 꿇어앉아 여를 탈 것을 계청하면, 전하가 여를 탄다. 좌통례·우통례가 앞에서 인도하여 대문 밖 강여소(降輿所)에 이르러 좌통례가 꿇어앉아 여에서 내려 연을 탈 것을 계청하면, 전하가 여에서 내려 연을 탄다. 좌통례가 꿇어앉아 규(圭)를 잡을 것을 계청하면 근시가 규를 올리고 전하가 규를 잡는다. 좌통례가 꿇어앉아 출발할 것을 계청하면 대가(大駕)가 움직인다. 【고취(鼓吹)를 울린다.】 대가가 시신(侍臣)들의 상마소에 이르러 좌통례가 꿇어앉아 대가를 머물러 시신들로 하여금 말을 타게 하라고 계청하는데, 시위는 보통의 의례와 같다. 좌통례가 꿇어앉아 출발하기를 계청하면 대가가 움직이는데, 종친과 문무백관이 몸을 굽히며 지나가고 나면 평신하여 순차로 시위한다. 경덕궁 흥화문 밖에 이르러 대가가 도착하면 왕세자가 소차에서 나와 몸을 굽히고, 지나가고 나면 평신한다. 환궁할 때의 의주는 올 때의 의주와 같다. 왕세자가 여를 타고 안으로 들어가면, 좌통례가 꿇어앉아 해엄할 것을 아뢰며 병조에서 전교를 받들어 의장을 푼다.


  • 【태백산사고본】 50책 67권 10장 A면【국편영인본】 43책 281면
  • 【분류】
    왕실(王室) / 의생활(衣生活)

    ○移安宣政殿影幀于永禧殿時, 殿下隨駕出、還宮儀。 【宣政殿望殿禮、奉審及永禧殿望殿禮、奉審儀竝附。】 前期, 掖庭署設小次於宣政殿東階下及敦禮門外道東西向。 設王世子次於延英門外道東西向。 設殿下望殿禮位於殿庭道東西向, 王世子位於殿下版位之後近南西向。 典儀設宗親、文武百官位於宣政門外, 文東武西, 俱每等異位重行北向。 又設殿下小次於永禧殿大門內, 望殿禮位於齋殿正門內近東西向。 典儀設宗親、文武百官位於齋殿門外, 分東西異位重行北向。 又設影幀權安大次於永禧殿神門外道東西向, 設幄次於大次之內。 【設神榻。】 設殿下立位於大次之前道東西向, 設王世子祗迎次於興化門外道東西向。 其日鼓初嚴, 兵曹勒諸衛, 陳鹵簿、儀仗於建明門外如儀, 掌樂院展軒懸於景賢堂庭近南北向。 【出宮時, 陳而不作, 還宮時則樂作。】 宗親、文武百官俱集朝房, 各服黑團領, 司僕寺正進輦於崇賢門外, 進輿於閤外。 鼓二嚴, 宗親、文武百官俱就興化門外侍立位。 王世子具翼善冠、袞龍袍, 乘輿出就興化門外入次, 諸護衛之官, 各服其服, 俱詣閤外伺候。 左通禮詣閤外跪, 啓請中嚴。 鼓三嚴, 鼓聲止, 闢內外門, 左通禮啓外辦。 殿下具翼善冠、袞龍袍, 乘輿以出, 繖扇、侍衛如常儀。 左通禮前導, 尙瑞院官捧寶前行。 【待乘輦以寶載馬。】 駕至崇賢門外, 左通禮跪啓請降輿陞輦, 殿下降輿陞輦。 左通禮跪啓請進發。 駕動, 【鼓吹陳而不作。】 左、右通禮前導, 贊儀二人在通禮之前, 仗衛、導從如常儀。 駕至興化門外, 王世子出次鞠躬, 過則平身, 仍爲乘輦隨駕。 駕至侍臣上馬所, 左通禮跪啓請駕小駐, 敎侍臣上馬, 追稱侍臣上馬。 贊儀傳唱, 侍臣上馬畢, 左通禮跪啓請進發。 駕動, 宗親、文武百官鞠躬祗迎, 王世子至亦鞠躬, 過則平身, 以次侍衛。 駕至昌德宮 敦化門外侍臣下馬所, 左通禮跪啓請駕小駐, 侍臣下馬, 侍衛如常儀。 左通禮跪啓請進發, 由敦化門東夾以入。 駕至肅章門外降輦所, 左通禮跪請降輦乘輿, 殿下降輦乘輿。 左通禮前導, 至宣政門外降輿所, 【侍臣乃退。】 左通禮跪啓請降輿, 殿下降輿。 左、右通禮前導, 至敦禮門外入小次, 【自敦化門至敦禮門, 皆由東夾, 後倣此。】 繖扇、侍衛停於宣政門外。 王世子至昌德 敦化門外降輦乘輿, 由西夾以入, 至延英門外降輿入小次。 【自敦化門至敦禮門, 皆由西夾。】 左通禮跪啓解嚴, 兵曹承敎放仗。 引儀引宗親、文武百官, 仍以黑團領, 入就宣政門外位。 王世子具翼善冠、袞龍袍, 入就位, 左通禮詣小次前跪, 啓請出次。 殿下具翼善冠、袞龍袍以出, 左、右通禮前導, 就望殿禮位西向立。 左通禮跪啓請鞠躬四拜興平身, 殿下鞠躬四拜興平身, 王世子鞠躬四拜興平身, 宗親、文武百官同。 【贊儀亦同。】 訖, 引儀分引宗親、文武百官出。 殿下入詣殿內, 王世子隨入, 影幀奉審時, 承旨、史官、宮官、都監堂上各一員侍入。 【通禮及相禮止於階下。】 奉審訖, 左、右通禮導殿下還入小次, 王世子隨出入小次。 影幀粧軸時, 殿下入詣殿內, 承旨、史官、都監堂上ㆍ都廳, 俱以黑團領侍入, 奉審粧軸, 貼付標題訖。 瞻拜時, 都監堂上及宗親、儀賓、文武正二品以上, 俱以黑團領入就宣政門外位, 殿下、王世子仍具翼善冠、袞龍袍, 入詣殿庭版位如儀。 行禮 【在瞻拜儀。】 訖, 殿下入小次, 王世子卽日還宮如儀。 【在王世子還宮儀。】 翌日告動駕祭時, 宗親、文武百官先就位, 殿下具冕服入就位如儀行禮。 【在告動駕祭親行儀。】 訖, 影幀一本奉安于自內眞殿後, 殿下還入小次。 宣政殿影幀奉安永禧殿時, 鼓初嚴, 兵曹陳仗衛、鹵簿於進善門外, 司僕寺正進輦於進善門外, 進輿於仁政殿東階下。 鼓二嚴, 宗親、文武百官各服朝服, 【四品以上朝服, 五品以下黑團領。】 出就敦化門外侍立位, 諸護衛之官, 俱詣仁和門外伺候, 左通禮詣小次前跪啓請中嚴。 鼓三嚴, 鼓聲止, 闢內外門, 左通禮跪啓外辦, 殿下具冕服以出。 左通禮跪啓請執圭, 近侍跪進圭, 殿下執圭。 左、右通禮前導入詣殿內, 大祝奉影幀櫃, 安於神輿, 由仁和門出。 左、右通禮導殿下步從神輿, 至仁政殿 月臺上, 大祝奉影幀櫃, 安於神輦, 【鼓吹振作。】仁政門出。 左、右通禮導殿下, 至仁政殿東階下乘輦所, 左通禮跪啓請釋圭, 殿下釋圭, 近侍跪受圭。 左通禮跪啓請乘輿, 殿下乘輿, 由仁政門東夾, 至進善門東夾外乘輦所, 左通禮跪啓請降輿乘輦, 殿下降輿乘輦。 左通禮跪啓請執圭, 近侍跪進圭, 殿下執圭。 左通禮跪啓請進發, 繖扇、侍衛如常儀。 大駕由敦化門東夾出, 宗親、文武百官神輦至鞠躬, 過則平身, 大駕至鞠躬, 過則平身, 以次侍衛。 駕至永禧殿大門外降輦所, 左通禮跪啓請釋圭, 殿下釋圭, 近侍跪受圭。 左通禮跪啓請降輦乘輿, 殿下降輦乘輿。 左、右通禮前導由東偏門以入, 【先詣享官立於大門內道左鞠躬祗迎如常儀, 鹵簿停於大門外。】 至降輿所, 左通禮跪啓請降輿, 殿下降輿。 左通禮跪啓請執圭, 近侍跪進圭, 殿下執圭。 左、右通禮導殿下隨神輦, 至神門外, 影幀櫃權安於大次之內。 【神榻上。】 左、右通禮導殿下至小次前, 左通禮跪啓請釋圭, 殿下釋圭, 近侍跪受圭。 左、右通禮前導入小次, 繖扇、侍衛如常儀。 引儀分引宗親、文武百官, 【四品以上朝服, 五品以下黑團領。】 入就位, 左通禮跪啓請出次。 殿下出次, 左、右通禮前導, 由齋室正門入就望殿禮位, 西向立。 左通禮跪啓請鞠躬四拜興平身, 殿下鞠躬四拜興平身。 宗親、文武百官同。 【贊儀亦唱。】 望殿禮訖, 左通禮跪啓請新殿奉審。 左、右通禮前導由齋殿門以出, 由神門東夾入詣正殿。 奉審時, 承旨、史官、重修都監堂上侍入。 【通禮止於戶外, 後倣此。】 奉審訖, 左、右通禮導殿下還出東夾門。 左通禮跪啓請釋圭, 殿下釋圭, 近侍跪受圭。 左、右通禮前導入小次, 繖扇、侍衛如常儀。 三室影幀還安及新影幀奉安時至, 左通禮詣小次前跪, 啓請出次, 殿下出次。 左、右通禮前導至齋殿正門外, 左通禮跪啓請執圭, 近侍跪進圭, 殿下執圭。 左、右通禮前導由齋殿正門, 入詣殿內奉審時, 承旨、史官及重修都監堂上各一員侍入。 陪奉三室影幀還安于正殿各室訖, 殿下還出。 左、右通禮前導由神門東夾出, 詣影幀權安大次, 殿下陪奉影幀。 奉安于第四室竝如儀。 【在還安及奉安儀。】 訖, 殿下還出, 左、右通禮前導至東門外, 左通禮跪啓請釋圭, 殿下釋圭, 近侍跪受圭。 殿下入齋室, 【東宮齋室。】 告安祭時將至, 宗親、文武百官入就位, 殿下仍具冕服入就位行禮如儀。 【在告安祭親行儀。】 訖, 殿下還齋室, 釋冕服。 搥鼓爲初嚴, 兵曹轉仗衛、鹵簿於還途。 鼓二嚴, 宗親、文武百官仍朝服出就洞口侍立位。 還宮前鼓二嚴, 弼善跪白外備, 王世子具遠遊冠、絳紗袍, 乘輿出就興化門外入次, 左通禮跪啓請中嚴。 鼓三嚴, 左通禮跪啓外辦。 殿下改具遠游冠、絳紗袍以出, 左通禮跪啓請乘輿殿下乘輿。 左、右通禮前導, 至大門外降輿所, 左通禮跪啓請降輿乘輦, 殿下降輿乘輦。 左通禮跪啓請執圭, 近侍進圭, 殿下執圭。 左通禮跪啓請進發, 駕動。 【鼓吹振作。】 駕至侍臣上馬所, 左通禮跪啓請駐駕, 敎侍臣上馬, 侍衛如常儀。 左通禮跪啓請進發, 駕動, 宗親、文武百官鞠躬, 過則平身, 以次侍衛。 至慶德宮 興化門外, 大駕至, 王世子出次鞠躬, 過則平身。 還宮如來儀。 王世子乘輿入內, 左通禮跪啓解嚴, 兵曹承敎放仗。


    • 【태백산사고본】 50책 67권 10장 A면【국편영인본】 43책 281면
    • 【분류】
      왕실(王室) / 의생활(衣生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