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진을 강화부 만녕전에 봉안하게 하고 절목을 마련하다
좌의정 송인명(宋寅明), 승지 서명형(徐命珩)을 보내어 어진(御眞)을 강화부(江華府) 만녕전(萬寧殿)에 봉안(奉安)하게 하였는데 예조(禮曹)의 절목(節目)에,
"1. 연(輦) 앞에 소가(小駕)를 두어 가(駕)를 인도해 강을 건넌다. 그 후에는 본도의 감사와 지방관, 본부의 유수(留守) 및 경력(經歷)이 각자 그 경내(境內)에서 교체한다.
1. 가사복시 정(假司僕寺正)이 연(輦)을 명정전(明政殿) 앞 계단으로 인도해 가면서 승지(承旨)와 사관(史官)이 흑단령(黑團領)을 갖추고 먼저 명정전에 가 길 왼쪽에 차례로 늘어서 있고, 종친(宗親)과 문무 백관은 흑단령을 갖추고 대궐 문 밖에서 일제히 모여 동서(東西)로 나누어 차례로 늘어서 있는다. 2각(刻) 전에 왕세자(王世子)가 익선관(翼善冠)과 곤룡포(袞龍袍)를 갖추고 여(輿)를 타고 홍화문(弘化門) 밖으로 나아가 막차(幕次)077) 로 들어간다. 출발할 때가 되어 내시(內侍)가 어진궤(御眞櫃)를 받들고 나오면 집사관(執事官) 2명이 받들어 받아 연에 봉안하고 이어서 출발하는데, 대신 이하는 국궁(鞠躬)하여 공손히 맞이하고 차례대로 시위(侍衛)한다. 홍화문(弘化門) 밖에 이르러 왕세자가 막차에서 나와 공손히 맞이한 후 여(輿)를 타고 안으로 들어가고, 종친과 문무 백관 역시 국궁하며 공손히 맞이한다.
1. 중사(中使)078) ·승지(承旨)·사관(史官), 만녕전 관원 및 대신(大臣)·예관(禮官)은 연 뒤에서 배종(陪從)한다.
1. 도총부(都摠府)의 전후 사대(射隊) 시위 등의 일은 병조로 하여금 마련하여 거행하게 한다.
1. 종묘(宗廟) 앞 길에서는 어진(御眞)을 모신 연이 잠시 멈춘다. 낮추 메는 절차 및 배설(排設)하는 여러 일은 각 해사(該司) 및 사약(司鑰)으로 하여금 맡아 거행하게 한다.
1. 연 앞에 사금(司禁) 20명, 별감(別監) 20명이 흑단령을 갖추 입고 시위하여 강두(江頭)에 이르러 그치며, 별감 4명이 자건(紫巾)과 흑의(黑衣)를 갖추고 그대로 시위하여 만녕전에 이른다.
1. 받들어 모시고 갈 때의 숙소(宿所) 및 주정소(晝停所)는 객사(客舍) 대청(大廳)에 배설(排設)하고, 배 위의 악차(幄次)079) 에 배설하는 여러 일은 공조(工曹)와 각 해사 및 사약(司鑰)이 거행하게 하며, 또한 본도(本道)와 본부(本府)로 하여금 정성들여 준비해 기다리게 한다.
1. 연 앞에 피우는 부용향(芙蓉香)은 내의원(內醫院)으로 하여금 진배(進拜)하게 한다.
1. 경성(京城)에서부터 경계에 도착해 주정소 및 숙소에 봉안한 후에는 본도의 감사 및 본부의 유수, 각 업무의 차사원(差使員)이 흑단령으로 대문 밖에서 숙배(肅拜)한다.
1. 시각을 아뢰는 등의 일은 관상감(觀象監)으로 하여금 거행하게 한다.
1. 군사를 교체하는 곳에서는 단지 땅의 지의(地衣)080) 만 배설하고, 군사 교체는 혹 20리, 혹은 15리 정도로 편리함에 따라 장소를 정한다.
1. 어진을 봉안한 연이 강화부에 도착하면 곧바로 만녕전 대청에 봉안한다. 22일 오시(午時)에 만녕전 관원 2명이 흑단령을 착용하고 올라가 연 앞에서 꿇어앉아 어진궤를 가져다 좌석에 봉안하면 대신 이하는 사배(四拜)한 후 물러 나온다.
1. 어진궤를 받들어 전할 차비관(差備官) 2명은 이조로 하여금 차출하게 하면 흑단령을 입고 어진궤를 가져다 연의 후면에 봉안한 후 물러 나온다. 가사복시 정(假司僕寺正)을 이조로 하여금 차출하게 하면 흑단령을 입고 시위하여, 강두(江頭)에 이른다. 강을 건넌 후에는 역시 본도의 수령 가운데서 차출하여 시위하여 만녕전까지 이르게 한다.
1. 어진을 봉안한 후에는 본전(本殿) 관원 2명이 번갈아 직숙(直宿)하고 번(番)을 나누어 수직(守直)한다.
1. 전내(殿內)의 의물(儀物)은 청홍개(靑紅盖) 각 한 개, 봉작선(鳳雀扇) 각 1개씩을 좌우로 나누어 진설(陳設)한다. 입직(入直) 별감(別監)은 자건(紫巾) 홍의(紅衣)를 착용하고 수위(守衞)한다.
1. 본부의 유수는 봄·가을로 전의 안팎을 봉심(奉審)하고, 잡물(雜物)에 탈이 있으면 훼손되는 대로 제때에 고친다. 본전의 관원은 평상시에 홍단령을 입고 입직하며, 3일마다 봉심하는데, 비나 눈이 올 때에는 각별히 봉심한다. 만약 수리해야 할 일이 있으면 유수에게 보고해 계문(啓聞)하여 시행하게 한다.
1. 본전 관원의 근만(勤慢)은 본부의 유수가 맡아 전최(殿最)081) 한다.
1. 새로 제수된 본부의 유수 이하는 경계에 이르는 즉시 흑단령을 입고 전의 중문(中門) 밖에서 숙배한다.
1. 전의 온돌(溫突)에 땔 화목(火木) 및 금화(禁火)의 여러 도구는 본부에서 준비해 두어야 한다."
하였다.
이보다 앞서 병조에서 아뢰기를,
"어진(御眞)을 받들고 갈 때의 진로(津路)를 양화도(楊花渡)로 결정하였는데, 비록 민력(民力)을 많이 들이더라도 선창(船艙)을 완전히 쌓을 형세가 없습니다. 노량진(露梁津)은 건너기가 편리하고 쉬움이 세 진(津) 가운데서 제일이고, 또 이는 장릉(章陵)의 연로(輦路)이니, 이 길로 받들어 가는 것이 사체에 당연합니다. 비록 20리를 돌아가 멀기는 하나 만약 일찍 출발하면 김포(金浦) 숙소에 밤 늦어 도착할 염려는 없으니, 노량진으로 길을 고쳐 잡는 것이 마땅합니다. 전어(傳語)는 마땅히 절목(節目)에 의해 각 고을의 마대(馬隊)로 하여금 거행하게 하되, 경기(京畿)의 복마(卜馬)가 부실하니, 경성의 예에 의해 보발(步撥)로 전어하게 해야 합니다."
하니, 윤허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46책 61권 13장 B면【국편영인본】 43책 173면
- 【분류】왕실(王室) / 행정(行政)
- [註 077]막차(幕次) : 임시로 막을 쳐서 임금이나 고관들이 머무는 곳.
- [註 078]
중사(中使) : 궁중에서 왕의 명령을 전하는 내시.- [註 079]
○遣左議政宋寅明、承旨徐命珩, 奉安御眞于江華府 萬寧殿。 禮曹節目
一。 輦前陳小駕, 導駕渡江。 後則本道監司、地方官、本府留守及經歷, 各其境上交替。 一。 假司僕寺正進輦於明政殿前階, 承旨、史官, 具黑團領, 先詣明政殿, 道左序立, 宗親、文武百官, 俱以黑團領, 闕門外一會, 分東西序立。 前二刻, 王世子具翼善冠、袞龍袍, 乘輿出就弘化門外, 入幕次。 進發時至, 內侍奉出御眞櫃, 執事官二員奉受, 安於輦, 仍爲進發, 大臣以下, 鞠躬袛迎, 以次侍衛。 至弘化門外, 王世子出次袛迎後, 乘輿入內, 宗親、文武百官, 亦爲鞠躬祗迎。 一。中使、承旨、史官、萬寧殿官員及大臣、禮官, 輦後陪從。 一。 都摠府前後射隊侍衛等事, 令兵曹磨鍊擧行。 一。 宗廟前路御眞輦少駐。 低擔節次及排設諸事, 令各該司及司鑰, 次知擧行。 一。 輦前司禁二十員、別監二十人, 黑團領侍衛, 至江頭而止, 別監四人, 具紫巾、黑衣, 仍爲侍衛, 至萬寧殿。 一。 陪奉時宿所, 及晝停所以客舍大廳排設, 船上幄次排設諸事, 令工曹、各該司及司鑰擧行, 亦令本道本府, 精備待候。 一。 輦前所炷芙蓉香, 令內醫院進排。 一。 自京城到界, 奉安晝停所及宿所後, 本道監司及本府留守、各務差使員, 以黑團領, 大門外肅拜。 一。 奏時等事, 令歡象監擧行。 一。 替軍處, 只設地排地衣, 替軍則或二十里, 或十五里從便定所。 一。 御眞輦, 到江華府, 直爲奉安于萬寧殿大廳。 二十二日午時, 萬寧殿官員二員, 仍以黑團領陞詣輦前跪, 取御眞櫃, 奉安于座, 大臣以下行四拜禮後, 退出。 一。 御眞櫃傳奉差備官二員, 令吏曹差出, 以黑團領奉取安于輦後乃退。 假司僕寺正, 令吏曹差出, 以黑團領侍衛。 至江頭。 渡江後, 亦令本道守令中差出侍衛, 至萬寧殿。 一。 御眞奉安之後, 本殿官員二, 員輪回直宿, 分番守直。" 一。 殿內儀物, 靑紅蓋各一, 鳳雀扇各一, 分左右陳設入直別監具紫巾紅衣守衛。 一。 本府留守, 春秋奉審殿內外, 有頉雜物, 隨毁隨改。 本殿官員, 常時以紅團領入直, 每三日奉審, 而雨。雪之時, 各別奉審。 若有修改之擧, 則報于留守, 啓聞施行。 一。 本殿官員勤慢, 本府留守次知殿最。 一。 新除授本府留守, 以下到界卽時, 以黑團領殿中門外肅拜。 一。殿溫堗點火木及禁火諸具, 令本府措備排置。
先是, 兵曹啓言: "御眞奉往時津路, 以楊花渡定奪, 而雖多費民力, 船艙無完築之勢。 至於露梁, 則過涉便易, 爲三津之最, 且是章陵輦路, 則此路奉往, 事面當然。 雖有二十里迂回之遠, 若差早進發, 則金浦宿所, 無犯昏之慮, 宜改以露梁取道。 傳語當依節目, 使各邑馬隊擧行, 而畿邑卜馬不實, 宜依京城例, 以步撥傳語。" 竝允之。
- 【태백산사고본】 46책 61권 13장 B면【국편영인본】 43책 173면
- 【분류】왕실(王室) / 행정(行政)
- [註 0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