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강을 행하다. 동지사 송인명이 건저·대리는 역적이 아님을 말하다
주강(晝講)을 행하였다. 강(講)이 끝나자, 동지사(同知事) 송인명(宋寅明)이 말하기를,
"건저(建儲)·대리(代理)는 광명 정대(光明正大)하였으니, 이것은 역적(逆賊)이 아닙니다. 이희지(李喜之)·이기지(李器之)의 무리가 무뢰배들과 체결(締結)하여 종적(蹤跡)이 음비(陰祕)하였으므로 나랏사람들이 의심하였는데, 김창집(金昌集)과 이이명(李頤命)에게 패자(悖子)·역손(逆孫)이 있어 그 가운데 들었으니, 그들이 알고 알지 못했는지를 어떻게 알겠습니까? 죽은 뒤에 복관(復官)한 것은 곧 포장(褒奬)입니다. 추탈(追奪)이 비록 일률(一律)210) 이라고는 하지만 지금 다시 복관을 의논할 수는 없습니다. 이건명(李健命)과 조태채(趙泰采)는 국초(鞫招)에서 나온 일이 없었으니, 연차(聯箚)를 역적으로 돌린 것은 또한 원통하지 않겠습니까?"
하니, 임금이 말하기를,
"건저(建儲)와 대리(代理)는 그 당시 대신(大臣)이 만약 사심(私心)이 없고 순수한 마음에서 나왔다면 충신(忠臣)이 되는 것이니, 역적이라고 할 수 없다. 한쪽편 사람으로 한세량(韓世良)과 같은 사람은 ‘하늘에는 두 해[日]가 없다.’는 말을 했는데, 이것은 당론(黨論)과 화(禍)를 무서워하는 마음에서 나왔던 것으로 옳은 가운데서도 잘못됨이 있고 잘못된 가운데서도 옳음이 있다. 경(卿)은 그때 소관(小官)에 있었으나 영상(領相)은 알고도 말하지 않았으니, 이는 잘못된 것이었다. 이건명의 경우 김일경(金一鏡)의 당(黨)이 네 번째의 차자(箚子)를 장심(將心)에서 나온 것이라 여겨 중도(中道)에서 사검(賜劍)하였으니, 원통한 일이었다. 따라서 빼내는 것이 마땅하다. 조태채의 경우는 원통하다. 영상이 조태채의 일을 진달했는데, 나의 마음은 끝내 너무 지나치다고 생각했다. 저 사람들이 영상을 흉악하다고 여기는 것도 또한 괴이하게 여길 것이 없다."
하였다. 송인명이 말하기를,
"민진원(閔鎭遠)이 을사년211) 이후 한번 경종(景宗)의 시정(時政)을 뒤집으려고 수차(袖箚)를 올려 고묘(告廟)·반시(頒示)하려고 했는데, 신은 마음속으로 잘못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상소하여 논했던 것입니다. 하지만 지금 보건대, 민진원이 말한 바는 순리(順理)인 것이었습니다."
하니, 임금이 말하기를,
"그때 경(卿)과 정석삼(鄭錫三)의 상소가 아니었더라면 내가 반드시 대단히 후회했을 것이다. 이것은 곧 차마 제기할 수 없는 일로서 경 등의 상소를 보고 비로소 깨달았던 것이다. 그러나 이쪽은 경상(經常)이 되고 저쪽은 권변(權變)이 되므로 청한 바를 따르지 않았던 것이다. 민진원이 당론(黨論)에 심하기는 했지만 애초부터 경종께 두 마음을 가졌던 사람은 아니었다. 경이 민진원의 마음을 알고 있으니, 내가 매우 가상하게 여긴다."
하였다. 검토관(檢討官) 윤동형(尹東衡)이 말하기를,
"재작년의 대처분(大處分)은 마땅히 백세(百世)에 전하여 변경되지 않을 것이온데, 지금 변개(變改)하는 뜻을 가지시니, 마음속으로 매우 개연(慨然)스럽게 여깁니다."
하니, 임금이 말하기를,
"비록 대처분이라 하더라도 옳은 것 가운데 잘못된 것이 있고 잘못된 것 가운데 옳은 것이 있으니, 참작해서 절충한다면 불가할 것이 없다."
하였다. 송인명이 말하기를,
"황소(黃熽)의 상소를 신민(臣民)들이 누군들 분개하고 원통스럽게 여기지 않겠습니까만, 전하께서 만약 마음에 머물러 두시고 오랫동안 잊지 않으신다면 병(病)이 될 것입니다."
하니, 임금이 말하기를,
"재신(宰臣)은 아직도 나의 마음을 알지 못하고 있다. 보잘것없는 무리가 감히 이런 말을 한 것은 그 마음의 소재처(所在處)가 삼성(三聖)212) 의 혈속(血屬)이 없음을 생각하지 않은 것이다. 건저(建儲)·대리(代理)의 청이 나라를 위하는 데서 나왔다면, 내가 어찌 이 따위의 말에 동요되겠는가? 그러나 만약 협잡(挾雜)이 있었다면 충신(忠臣)이 아니다. 나의 마음을 일찍이 송(宋)나라 태종(太宗)의 ‘짐(朕)을 어느 곳에 두는 것인가?’라는 말을 편협하다고 생각했다. 내가 어찌 이런 일로써 마음속에 묶어 두겠는가?"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17책 21권 29장 A면【국편영인본】 42책 111면
- 【분류】왕실-경연(經筵) / 왕실-국왕(國王) / 변란(變亂) / 정론-간쟁(諫諍)
- [註 210]
○行晝講。 講訖, 同知事宋寅明曰: "建儲、代理, 光明正大, 此則非逆也。 喜之、器之輩, 締結無賴, 蹤跡陰秘, 國人疑之, 金昌集、李頤命, 有悖子、逆孫, 入其中, 其知與不知, 何以知之? 死後復官, 乃褒奬也。 追奪雖曰一律, 今不可復議復官。 李健命、趙泰采, 無出於鞫招之事, 以聯箚歸之逆, 不亦冤乎?" 上曰: "建儲、代理, 其時大臣, 若無私心而出於純心, 則爲忠臣, 不可謂之逆矣。 一邊人如世良, 天無二日等說, 此出於黨論畏禍之心, 而是中有非, 非中有是矣。 卿於其時, 在小官, 領相知之而不言, 此則非矣。 李健命、鏡黨, 以四箚爲出於將心, 中道賜劍冤矣。 拔之宜矣。 趙泰采則冤痛矣。 領相以趙泰采事陳達, 而予心則終以爲太過。 彼人之以領相爲凶惡者, 亦不怪矣。" 寅明曰: "閔鎭遠, 乙巳後, 欲一反景廟時政, 進袖箚欲爲告廟、領示, 臣心以爲非, 故上疏論之矣。 以今見之, 鎭遠所言順矣。" 上曰: "其時非卿及鄭錫三疏, 則予必大段追悔。 此乃不忍提起之事, 見卿等之疏, 始覺。 此爲經, 彼爲權, 故不從所請矣。 鎭遠甚於黨論, 初非有二心於景廟者也。 卿知鎭遠之心, 予甚嘉之矣。 檢討官尹東衡曰: "二昨年大處分, 當垂百世不易, 而今有變改之意, 心甚慨然矣。" 上曰: "雖大處分, 是中有非, 非中有是, 參酌折衷, 未爲不可。" 寅明曰: "黃熽疏, 臣民孰不憤痛, 而殿下若留心, 久而不忘, 則爲病矣。" 上曰: "宰臣猶不知予心矣。" 幺摩輩, 敢爲此言者, 其心所在, 不念三聖之無血屬也。 建儲、代理之請, 出於爲國, 則予豈動於此等說乎? 若有挾雜, 則非忠也。 予心則嘗以宋 太宗置朕何地之說, 爲褊狹矣。 予豈以此事, 係着於心乎?"
- 【태백산사고본】 17책 21권 29장 A면【국편영인본】 42책 111면
- 【분류】왕실-경연(經筵) / 왕실-국왕(國王) / 변란(變亂) / 정론-간쟁(諫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