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영조실록17권, 영조 4년 4월 14일 갑오 5번째기사 1728년 청 옹정(雍正) 6년

경상도 관찰사 황선을 좌찬성으로 추증하고 시호를 충렬로 하다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 황선(黃璿)이 졸(卒)하였으니, 이때 본도(本道)에 역란(逆亂)이 막 평정되어 그 남은 무리를 제치(除治)하고 있었다. 황선은 본디 병이 없었으며, 졸(卒)한 날에도 또한 일을 보살피고 손님을 접대하며 저녁에 이르기까지도 몸이 좋았는데, 날이 어두운 뒤 된죽을 먹고 나서 조금 있다가 병이 발작하여 갑작스럽게 죽었으며, 죽은 뒤에 중독(中毒)의 증상(症狀)이 많았으니, 듣는 사람들이 모두 의심하고 두려워하였다. 대신(臺臣)의 말에 따라 본영(本營)다비(茶婢)301)감선(監膳)302) 하는 아전을 경옥(京獄)으로 잡아와서 죄를 다스려 고문(拷問)하였으나 실상을 알아내지 못하였다. 황선은 조정(朝廷)에 있을 때 그다지 이름이 알려지지 않았으나, 일본(日本)에 사신으로 가서 신칙(申飭)과 면려(勉勵)로 칭찬을 받았으며, 후에 큰 번병(藩屛)을 맡게 되어 영적(嶺賊)이 갑자기 창궐하였으나, 조치가 마땅함을 얻어 흉추(凶醜)를 쳐 평정하여 변란(變亂)이 겨우 진정되었는데, 별안간 졸하였으므로, 사람들이 혹 그가 중독(中毒)되었는가를 의심하여 안핵(按覈) 조사하였으나, 마침내 실상을 알아내지 못하였던 것이다. 좌찬성(左贊成)으로 추증(追贈)하고 시호(諡號)를 ‘충렬(忠烈)’이라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14책 17권 17장 B면【국편영인본】 42책 43면
  • 【분류】
    인물(人物) / 사법(司法) / 변란(變亂) / 인사-관리(管理)

  • [註 301]
    다비(茶婢) : 관청의 식모(食母) 노릇을 하던 천비(賤婢).
  • [註 302]
    감선(監膳) : 음식을 감독하여 살핌.

慶尙道觀察使黃璿卒, 時, 本道逆亂新平, 鋤治餘黨。 而, 素無病, 卒之日, 亦治事接賓, 至夕平善, 昏後進糜食少許, 病發暴卒。 卒後多有中毒狀, 聞者皆疑懼。 從臺言拿治本營茶婢及監膳吏於京獄, 栲問不得實。 立朝無甚知名, 奉使日本, 以飭勵見稱, 及授大藩, 嶺賊卒然猖獗, 設施得宜, 凶醜勦平, 變亂甫定, 遽爾暴逝, 人或疑其中毒, 而按査竟不得實。 贈左贊成, 謚曰忠烈


  • 【태백산사고본】 14책 17권 17장 B면【국편영인본】 42책 43면
  • 【분류】
    인물(人物) / 사법(司法) / 변란(變亂) / 인사-관리(管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