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당에서 친히 정사를 보고 3대신과 연루된 이의 석방과 서용을 명하다
임금이 시민당(時敏堂)에서 친히 정사(政事)를 보살폈다. 이조 판서(吏曹判書) 이의현(李宜顯), 참의(參議) 박사익(朴師益), 정랑(正郞) 홍현보(洪鉉輔), 병조 판서(兵曹判書) 홍치중(洪致中)이 입시(入侍)하였다. 임금이 말하기를,
"동중서(董仲舒)418) 가 말하기를, ‘올바른 일을 보고 올바른 말을 듣고 올바른 도리를 행하여야 한다.’고 하였으니, 춘방(春坊)419) ·계방(桂坊)420) 의 관원은 가려뽑지 않을 수 없다."
하니, 홍치중(洪致中)이 말하기를,
"세마(洗馬)421) 를 유학(幼學) 가운데서 문벌(門閥)과 재망(才望)422) 이 있는 자로 차출(差出)한 경우는 전에도 간혹 이런 사례가 있었습니다."
하고, 이의현(李宜顯)은 말하기를,
"신노(申魯)는 이름난 집안의 자제(子弟)로서 가장 명성이 있기 때문에 한림(翰林)423) 을 뽑는 전례에 의거하여 분관(分館)424) 하는 규례를 기다리지 않고 통의(通擬)425) 하였습니다."
하였다. 임금이 말하기를,
"3대신(三大臣)에 연좌(緣坐)된 자들은 일체(一體)로 석방하여 보내도록 하라."
하였다. 이의현(李宜顯)이 모두 서용(敍用)하기를 청하니, 그대로 허락하였다. 또 귀양갔다가 석방된 사람을 함께 서용하도록 청하자, 서용하도록 명하였다. 뒤에 조도빈(趙道彬)·조관빈(趙觀彬)·조정빈(趙鼎彬)·신무일(愼無逸)·이정소(李廷熽)·윤양래(尹陽來)·유척기(兪拓基)·유성추(兪星樞)·이명회(李明會)·이명익(李明翼)·이홍매(李弘邁)·이홍선(李弘選)·이세유(李世裕)·이세복(李世福)·이관명(李觀命)·오중주(吳重周)를 의망(擬望)하니, 모두 서용하였다. 이재(李縡)를 이조 참판(吏曹參判)으로, 이교악(李喬岳)·윤양래(尹陽來)·정형익(鄭亨益)을 승지(承旨)로, 김간(金幹)을 찬선(贊善)으로, 조도빈(趙道彬)을 공조 판서(工曹判書)로, 이성조(李聖肇)를 광주 부윤(廣州府尹)으로, 민제장(閔濟章)을 통제사(統制使)로, 조수(趙脩)를 황해 병사(黃海兵使)로, 이재항(李載恒)을 경상 우병사(慶尙右兵使)로, 최도장(崔道章)을 전라 병사(全羅兵使)로, 심수현(沈壽賢)을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로 삼았다.
- 【태백산사고본】 4책 4권 10장 A면【국편영인본】 41책 483면
- 【분류】인사(人事) / 사법(司法) / 변란(變亂)
- [註 418] 동중서(董仲舒) :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학자.[註 419] 춘방(春坊) : 세자 시강원(世子侍講院)의 별칭.[註 420] 계방(桂坊) : 세자 익위사(世子翊衛司)의 별칭.[註 421] 세마(洗馬) : 세자 익위사의 정9품 관직.[註 422] 재망(才望) : 재능과 명망.[註 423] 한림(翰林) :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의 별칭.[註 424] 분관(分館) : 조선조 때 새로 문과(文科)에 급제한 사람을 승문원(承文院)·성균관(成均館)·교서관(校書館)의 삼관(三館)에 배치시켜 권지(權知)라는 이름으로 실무(實務)를 익히게 하던 일.[註 425] 통의(通擬) : 통망인(通望人)의 후보자로 추천함.
○上親政于時敏堂。 吏曹判書李宜顯、參議朴師益、正郞洪鉉輔、兵曹判書洪致中入侍。 上曰: "董仲舒曰: ‘見正事, 聞正言, 行正道。’ 春、柱坊官, 不可不擇也。" 致中曰: "洗馬以幼學中有門閥才望者差出, 前亦或有此例矣。" 宜顯曰: "申魯以名家子, 最有名稱, 故依翰林不待分館例, 通擬矣。" 上曰: "三大臣緣坐, 一體放送。" 宜顯請竝敍用, 許之。 又請被謫蒙放人, 竝敍用, 命敍用。 後擬望趙道彬、趙觀彬、趙鼎彬、愼無逸、李廷熽、尹陽來、兪拓基、柳星樞、李明會、李明翼、李弘邁、李弘選、李世裕、李世福、李觀命、吳重周, 竝敍用。 以李縡爲吏曹參判, 李喬岳、尹陽來、鄭亨益爲承旨, 金榦爲贊善, 趙道彬爲工曹判書, 李聖肇爲廣州府尹, 閔濟章爲統制使, 趙脩爲黃海兵使, 李載恒爲慶尙右兵使, 崔道章爲全羅兵使, 沈壽賢爲知中樞。
- 【태백산사고본】 4책 4권 10장 A면【국편영인본】 41책 483면
- 【분류】인사(人事) / 사법(司法) / 변란(變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