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숙종실록 44권, 숙종 32년 8월 27일 임자 1번째기사 1706년 청 강희(康熙) 45년

인정전에서 진연하여 예를 받고 여흥을 즐기다

인정전(仁政殿)에서 진연(進宴)하여 아홉 번 술잔을 돌리고 파하였다. 하루 전에 액정서(掖庭署)에서 어좌(御座)를 인정전의 북벽(北壁)에 남향으로 설치하였다. 장악원(掌樂院)에서 헌현(軒懸)을 전정(殿庭)에 벌여 설치하였다. 전설사(典設司)에서 왕세자(王世子)의 위차(位次)를 어좌 동남에 서향으로, 2품(品) 이상인 종친(宗親)·의빈(儀賓)의 자리를 왕세자의 뒤 북과 남에, 2품 이상인 문관(文官)·무관(武官)의 자리를 어좌 서남에 모두 겹줄로 서로 향하고 북이 위가 되게, 승지(承旨)의 자리를 서남 모퉁이에 북향으로 동이 위가 되게, 사관(史官)은 그 뒤에, 당상(堂上) 3품인 종친의 자리를 전계(殿階) 위 동에, 당상 3품관인 문관·무관의 자리를 전계 위서에, 시신(侍臣) 당하(堂下) 3품 이하의 자리를 전계 위 동과 서에, 전(殿)에 오르지 않는 자의 자리를 남계(南階) 위 동·서에다 매등(每等)·매위(每位)가 겹줄로 서로 향하고 북이 위가 되게 설치하였다. 이날 초엄(初嚴)335) 을 북치니, 병조(兵曹)에서 제위(諸衛)를 정제하여 정계(正階)와 전정에 노부(鹵簿)·의장(儀仗)을 벌이고 동서로 군사를 진열시키되 모두 정식대로 하고, 태복정(太僕正)이 전정 중도(中道)의 좌우에 여련(與輦)과 장마(仗馬)를 진배(進徘)하였다. 이엄(二嚴)을 북치니, 종친·문관·무관이 모두 문 밖으로 나아가고, 왕세자가 나와서 인정전 문 밖으로 나아갔다. 중엄(中嚴)에 임금이 익선관(翼善冠)·곤룡포(袞龍袍)를 갖추고 선정전(宣政殿)에 나아가니, 근시(近侍)와 집사관(執事官)이 합문(閤門) 안에서 전정에 들어와서 사배(四拜)하고 나가고, 전악(典樂)이 공인(工人)을 거느리고 들어와서 자리에 나아갔다. 삼엄(三嚴)에 집사관이 먼저 자리에 나아가고, 3품 이하인 종친·문관·무관이 동서의 편문(偏門)을 거쳐 들어가 배위(拜位)에 나아가고, 왕세자가 막차(幕次)에서 나와 서향하여 섰다. 북소리가 그치니, 내문(內門)·외문(外門)을 닫았다. 임금이 여(輿)를 타고 나오니, 이때에 의장이 움직이고 음악은 여민락만(與民樂慢)을 연주하였다.

임금이 여에서 내려서 좌에 오르니, 노연(爐煙)이 오르고, 위관(衛官)들이 입시(入侍)하였다. 왕세자가 동문을 거쳐 들어와 배위에 나아가고, 2품 이상인 종친·문관·무관이 동편문(東偏門)을 거쳐 들어와 배위에 나아갔다. 전의(典儀)가, ‘사배(四拜)하라.’ 하고, 찬의(贊儀)가, ‘국궁(鞠弓)·사배·흥(興)·평신(平身)하라.’고 창(唱)하니, 왕세자와 종친·문관·무관이 다 사배하였다. 이때에 사옹 제조(司饔提調)가 주기(酒器)를 바치니 음악이 시작되고, 바치고 나니 음악이 그쳤다. 왕세자 이하가 모두 끓어앉고, 제조가 휘건함(揮巾函)을 받드니 음악이 시작되고, 어좌 앞에 나아가 꿇어앉고 내시(內侍)가 꿇어앉아 바치고 나니 음악이 그쳤다. 제조가 찬안(饌案)을 바치니 음악이 시작되고, 별행과(別行果)를 바치고 나니 음악이 그쳤다. 예방 승지(禮房承旨) 심극(沈極)이 화반(花盤)을 받들고 어좌 앞에 나아가 꿇어앉으니 음악이 시작되고, 내시가 꽃을 받아 익선관 오른쪽에 꽂으니 음악이 그쳤다. 제조가 염수(鹽水)를 바치니 음악이 시작되고, 공안(空案)을 찬안(饌案) 오른쪽에 놓으니 음악이 그쳤다. 왕세자 이하가 전과 같이 꿇어앉고 제조가 소찬(小饌)을 바치니 음악은 천년만세곡(千年萬歲曲)을 연주하고, 바치고 나니 음악이 그쳤다. 왕세자가 첫 잔[爵]을 바치고 대치사관(代致詞官)이 바쁜 걸음으로 어좌 앞에 나아가 꿇어앉아 치사하기를, ‘왕세자 모(某)는 삼가 천천세(千千歲)의 수(壽)를 올립니다.’ 하고, 임금이 잔을 드니 헌가(軒架)336) 에서 음악을 시작하여 여민락 만을 연주하고, 제조가 점(坫)337) 에 잔을 도로 놓으니 음악이 그쳤다. 왕세자 이하가 꿇어앉고 제조가 고기를 베어 꿇어앉아 찬안 오른쪽에 바치니 음악이 시작되고, 만두(饅頭)를 바치고 나니 음악이 그쳤다.

반수(班首)인 영의정(領議政) 최석정(崔錫鼎)이 둘째 잔을 바치고 처음과 같이 대치사(代致詞)하고, 승지가 어좌 앞에 나아가 꿇어앉아 전명(傳命)을 아뢰고 나와 전계(殿階)에 임하여 서향해서 선교(宣敎)하기를, ‘경(卿)들의 잔[觴]을 공경히 들라.’ 하고, 임금이 잔을 첫 잔 때와 같이 들고, 점에 잔을 도로 놓으니 음악이 그쳤다. 왕세자 이하삼고두(三叩頭)338) 하고 공수(拱手)하여 이마에 대고 세 번 산호(山呼)하기를, ‘천세(千歲), 천세, 천천세(千千歲)!’ 하니, 악공(樂工)·군교(軍校)가 큰소리로 호응하였다. 왕세가 이하가 사배한 뒤에 왕세자가 어좌 동편으로 올라가 서향하여 앉고, 승지·사관이 물러가 전계 위에 나아가 북향하여 앉고, 종친·문관·무관이 각각 동서의 반차(班次)에 나아갔다. 사옹 부제조(司饔副提調)가 왕세자에게 찬탁(饌卓)을 바치고, 보덕(輔德)이 꽃을 바치고 집사자(執事者)가 종친·문관·무관이 찬탁에 나아가 꽃을 뿌렸다. 임금이 전교(傳敎)를 내리기를, ‘시위(侍衛)하는 제장(諸將)에게 꽃을 내리라.’ 하고, 또 전교하기를, ‘시위하는 제장은 자리에 나아가라.’ 하였다. 제조가 탕(湯)을 바치니 음악이 시작되었는데 곡은 소찬을 바칠 때와 같았다. 왕세자 이하가 자리를 떠나 부복(俯伏)하였는데, 무릇 탕을 바치고 잔을 바칠 때에는 다 이와 같이 하며 음악을 연주하고 그쳤다. 연잉군(延礽君)이 세째 잔을 바치고 임금이 잔을 드니, 음악은 오운개서조곡(五雲開瑞朝曲)을 연주하고 무동(舞童)이 들어와 초무(初舞)를 추었다. 술을 내리니, 왕세자 이하가 자리를 떠나 꿇어앉아 마셨다. 탕을 바치니 음악은 청평곡(淸平曲)을 연주하였다. 연령군(延齡君) 이훤(李昍)이 네째 잔을 바치고 임금이 잔을 드니, 음악은 정읍 만기(井邑慢機)를 연주하고 무동이 들어와 아박(牙拍)을 추었다. 이하 여섯 번 잔을 바치고 술을 내릴 때에도 위의 의식과 같이 하였다. 탕을 바치니, 음악은 환환곡(桓桓曲)을 연주하였다. 판부사(判府事) 이유(李濡)가 다섯째 잔을 바치고 임금이 잔을 드니, 음악은 보허자영(步虛子令)을 연주하고 무동이 들어와 향발(嚮鏺)339) 을 추었다.

임금이 막차에 들어가 사알(司謁)을 시켜 전교하기를, ‘공인(工人)들에게 음식을 먹이라,’ 하였다. 한참 뒤에 임금이 전좌(殿坐)하고, 탕을 바치니, 음악은 하운봉(夏雲峰)을 연주하였다. 임양군(臨陽君) 이환(李桓)이 여섯째 잔을 바치고 임금이 잔을 드니, 음악은 여민락 만을 연주하고 무동이 들어와 무고(舞鼓)를 추었다. 탕을 바치니, 음악은 낙양춘(洛陽春)을 연주하였다. 동평위(東平尉) 정재륜(鄭載崙)이 일곱째 잔을 바치고 임금이 잔을 드니 음악은 보허자 을 연주하고 무동이 들어와 광수(廣袖)를 추었다. 탕을 바치니 음악은 유황곡(維皇曲)을 연주하였다. 영돈녕(領敦寧) 김주신(金柱臣)이 여덟째 잔을 바치고 임금이 잔을 드니, 음악은 여민락 을 연주하고 무동이 들어와 향발을 추었다. 탕을 바치니, 음악은 정동방지곡(靖東方之曲)을 연주하였다. 호조 판서(戶曹判書) 조태채(趙泰采)가 아홉째 잔을 바치고 임금이 잔을 드니, 음악은 보허자 을 연주하고, 무동이 들어와 광수를 추었다. 소선(小饍)을 물리고 대선(大饍)을 바치니, 음악은 태평년지악(太平年之樂)을 연주하였다. 이어서 여민락을 연주하고 처용무(處容舞)를 바치었다. 철악(徹樂)하고, 최석정이 나아가 영만(盈滿)하여 편안할 때에 위망(危亡)을 잊지 않는다는 뜻으로 진계(陳戒)하니, 임금이 가납(嘉納)하였다. 심국(沈極)이 기구 제신(耆舊諸臣)과 시연 제신(侍宴諸臣)의 부모로서 나이가 70세 이상인 자에게는 모두 음식을 내리고, 영부사(領府事) 남구만(南九萬)은 길이 멀기 때문에 미처 올라 오지 못하였으므로, 또한 별유(別諭)를 내려 불러오기를 청하니, 임금이 윤허하였다. 철안(徹案)하고서 왕세자 이하가 내려가 배위에 나아가서 사배를 행하였다. 좌통례(左通禮)가 꿇어앉아 예(禮)가 끝났음을 고하니, 임금이 대내(大內)로 돌아갔다.

진연(進宴)에 참여한 신하들은 동벽(洞壁)은 연잉군(延礽君) 이금(李昑)·연령군(延齡君) 이훤(李昍)·임창군(臨昌君) 이혼(李焜)·임양군(臨陽君) 이환(李桓)·회원군(檜原君) 이윤(李倫)·동평위(東平尉) 정재륜(鄭載崙)·해창휘(海昌尉) 오태주(吳泰周)·금평위(錦平尉) 박필성(朴弼成)·전성군(全城君) 이혼(李混)·동원군(東原君) 이집(李潗)·영창군(瀛昌君) 이침(李沈)·영신군(靈愼君) 이형(李瀅)·진평군(晋平君) 이택(李澤)·임원군(林原君) 이표(李杓)·해풍군(海豊君) 이수(李燧)·오성군(烏城君) 이형연(李炯淵)·운흥군(雲興君) 이영(李서천군(西川君) 이황(李榥)·화춘군(花春君) 이정(李瀞)·능흥군(綾興君) 이순형(李純馨)·성평군(星坪君) 이탁(李濯)·영운군(靈雲君) 이의천(李義天)·대원군(帶原君) 이광윤(李光胤)·밀성군(密城君) 이식(李栻)·전산군(全山君) 이심(李深)·화릉군(花陵君) 이조(李洮)·금천군(錦川君) 이지(李榰)·밀창군(密昌君) 이직(樴李)·능풍군(綾豊君) 이순겸(李純謙)·화평군(花坪君) 이시헌(李時憲)·여창군(驪昌君) 이형협(李炯協)·영순군(靈順君) 이유(李浟)·동창군(東昌君) 이정(李炡)·광선군(光善君) 이장(李漳)·함릉군(咸陵君) 이극(李極)·함평군(咸平君) 이홍(李泓)·영창군(靈昌君) 이익형(李翼馨)·해성군(海城君) 이억(李檍)·여흥군(驪興君) 이해(李垓)·파릉 도정(坡陵都正) 이삼(李槮)·파산 도정(坡山都正) 이삼(李杉)·창녕 도정(昌寧都正) 이장(李樟)·기안 도정(杞安都正) 이구(李構)·밀풍 도정(密豊都正) 이탄(李坦)·익녕 도정(益寧都正) 이제(李梯)·서릉 도정(西陵都正) 이욱(李煜)·유천 도정(儒川都正) 이정(李濎)·광산 도정(光山都正) 이하(李河)·영원 도정(靈原都正) 이헌(李櫶) 【이상 종친(宗親)이다.】 ·지제교(知製敎) 허경(許熲)·심중량(沈仲良)·조식(趙湜)·정내상(鄭來祥) 【이상 통정 대부(通政大夫)이다.】 ·보덕(輔德) 최계옹(崔啓翁)·필선(弼善) 이웅징(李熊徵)·문학(文學) 조태억(趙泰億)·사서(司書) 이태좌(李台佐)·설서(說書) 이세덕(李世德), 지제교 유헌장(柳憲章)·이준(李浚)·최창대(崔昌大)·이하원(李夏源)·정시윤(丁時潤)·박행의(朴行義)·이대성(李大成)이고, 서벽(西壁)은 판중추(判中樞) 유상운(柳尙運)·서문중(徐文重), 영의정(領議政) 최석정(崔錫鼎)·판중추 이유(李濡)·좌의정(左議政) 서종태(徐宗泰) 【이상 상신(相臣)이다.】 ·경은 부원군(慶恩府院君) 김주신(金柱臣)·호조 판서(戶曹判書) 조태채(趙泰采)·병조 판서(兵曹判書) 조상우(趙相愚) 【이상 숭정 대부(崇政大夫)이다.】 ·좌참찬(左參贊) 엄집(嚴緝)·판윤(判尹) 민진후(閔鎭厚) 【이상 정헌 대부(正憲大夫)이다.】 ·지중추(知中樞) 강현(姜鋧)·유득일(兪得一), 이조 판서(吏曹判書) 이인엽(李寅燁)·부사직(副司直) 윤세기(尹世紀)·예조 판서(禮曹判書) 서문유(徐文𥙿) 【이상 자헌 대부(資憲大夫)이다.】 ·동지돈녕(同知敦寧) 김석연(金錫衍)·부제학(副提學) 이돈(李墩)·호조 참판(戶曹參判) 황흠(黃欽), 부호군(副護軍) 이진휴(李震休)·홍시주(洪時疇), 동지중추(同知中樞) 이홍술(李弘述)·훈련 도정(訓鍊都正) 원진수(元振殊) 【이상 가의 대부(嘉義大夫)이다.】 ·예조 참판(禮曹參判) 홍만조(洪萬朝)·한성군(韓城君) 이기하(李基夏)·부사직(副司直) 김중기(金重器), 부호군(副護軍) 황진문(黃震文)·김중원(金重元)·민함(閔涵)·박선흥(朴宣興)·남필성(南弼星)·남치훈(南致熏)·박권(朴權), 돈녕 도정(敦寧都正) 이홍일(李弘逸)·좌윤(佐尹) 이사영(李思永)·우윤(右尹) 이건명(李健命)·형조 참판(刑曹參判) 강선(姜銑)·병조 참판(兵曹參判) 윤이도(尹以道)·경기 관찰사(京畿觀察使) 김우항(金宇杭)·공조 참판(工曹參判) 김연(金演)·이조 참판(吏曹參判) 최석항(崔錫恒)·강화 유수(江華留守) 민진원(閔鎭遠)·개성 유수(開城留守) 한성우(韓聖佑)·남계군(南溪君) 홍숙(洪璹), 【이상 가선 대부(嘉善大夫)이다.】 ·황해 관찰사(黃海觀察使) 허지(許墀)·충청 관찰사(忠淸觀察使) 이언경(李彦經)·충청 병사(忠淸兵士) 이홍조(李弘肇), 부사과(副司果) 이국방(李國芳)·윤정화(尹鼎和)·성관(成瓘), 부호군(副護軍) 박창한(朴昌漢), 임윤원(任胤元)·조태동(趙泰東)·김홍정(金弘楨)·임호(林濩)·권상유(權尙游)·최중태(崔重泰), 예조 참의(禮曹參議) 윤덕준(尹德駿)·호조 참의(戶曹參議) 이동암(李東馣)·병조 참의(兵曹參議) 신임(申銋)·참지(參知) 여필용(呂必容)·판결사(判決事) 원성유(元聖兪)·형조 참의(刑曹參議) 이희무(李喜茂)·대사성(大司成) 이만성(李晩成)·이조 참의(吏曹參議) 윤지인(尹趾仁) 【이상 통정 대부(通政大夫)이다.】 ·집의(執義) 이사상(李師尙)·장령(掌令) 이익한(李翊漢)·지평(持平) 이정제(李廷濟)·헌납(獻納) 박휘등(朴彙登)·정언(正言) 한배주(韓配周)·응교(應敎) 이집(李㙫), 교리(校理) 오명준(吳命峻)·이조(李肇), 부교리(副校理) 유봉휘(柳鳳輝)·임수간(任守幹), 수찬(修撰) 남취명(南就明)·조태일(趙泰一), 지제교(知製敎) 이탄(李坦)·이의만(李宜晩), 협률랑(協律郞) 장악정(掌樂正) 이덕영(李德英)·도승지(都承旨) 이동욱(李東郁)·좌승지(左承旨) 임순원(任舜元)·우승지(右承旨) 심극(沈極)·좌부승지(左副承旨) 박필명(朴弼明)·우부승지(右副承旨) 김상직(金相稷)·동부승지(同副承旨) 조태로(趙泰老)·주서(注書) 구만리(具萬理)·봉교(奉敎) 이재(李縡), 대교(待敎) 홍우서(洪禹瑞)·이진검(李眞儉), 검열(檢閱) 이택(李澤)·홍치중(洪致中)·신정하(申靖夏)·가주서(假注書) 송성명(宋成明)·이제(李濟)이고, 전계(殿階)에 오르지 않은 자는 진연청 낭청(進宴廳郞廳) 김창국(金昌國)·윤택(尹澤)·이수대(李遂大), 감조관(監造官) 정수기(鄭壽期)·홍가상(洪可相)·이정좌(李鼎佐), 예빈 주부(禮賓主簿) 유재화(柳載和)·선공 가감역(繕工假監役) 신재(申載), 통례(通禮) 민진원(閔震元)·홍경렴(洪景濂), 상례(相禮) 성환(成瑍), 주탁관(酒卓官) 권익륭(權益隆)·홍중형(洪重亨)·조하기(曹夏奇)·박수의(朴守義)·장진환(張震煥)·임원(任謜)·익위사간(翊衛司官) 임선(任敾)·이기익(李箕翊)·정희선(鄭希先)·이제열(李齊說)·박태성(朴泰成)·맹숙하(孟淑夏)·조정의(趙正誼)·홍우녕(洪禹寧)·이당(李當)·신사영(申思永)·송요좌(宋堯佐)·조두빈(趙斗彬)·서종선(徐宗選), 병조 낭관(兵曹郞官) 신필현(申弼賢)·민진동(閔鎭東)·황익재(黃翼再)·서명우(徐命遇)·한지(韓祉), 도총부관(都摠府官) 안상한(安相漢)·한성흠(韓聖欽), 상서 직장(尙瑞直長), 한숙(韓璛)·이노성(李老成), 치사관(致詞官) 윤식(尹植)·조성복(趙聖復), 선전관(宣傳官) 이석관(李碩寬)·유윤흥(柳胤興)·한날(韓㻋)·홍원익(洪元益)·예모관(禮貌官) 조이중(趙彛重)·박성기(朴省己)·정달행(丁達行)·권성규(權聖揆)·조이하(趙彝和)·이세망(李世望)·이득하(李得夏)·이세방(李世芳)·송우석(宋禹錫)이었다.

사신은 논한다. "임금이 즉위한 지 이제 32년이 되었는데, 조석(朝夕)으로 가까이 닥친 근심은 없으나, 인사(人事)가 여러 번 잘못되어 구징(咎徵)이 자주 나타나고, 기근(饑饉)·여역(癘疫)이 없는 해가 없으므로, 민생의 곤궁이 참으로 이미 극진한데다가, 군비(軍備)가 정제되지 않고 변방에 대한 계책이 오랫동안 허술한 것을 식자가 한심하게 여기니, 또한 태평하여 무시한 때가 아니다. 그런데 이번에 진연(進宴)한 일 또한 풍형 예대(豊亨豫大)340) 한 때의 일에 가깝지 않겠는가? 그러나 위로 왕세자로부터 아래로 신하에 이르기까지 모두 여러 번 청한 뒤에야 허락하였고, 겸허한 덕이 시사(詩詞)에까지 보이며, 밖으로는 기악(妓樂)을 쓰지 않고 안으로는 명부(命婦)를 줄여 절목(節目)을 마련할 때에 많이 검약(儉約)을 따랐으니, 또한 절약하는 성덕(盛德)을 알 수 있다."


  • 【태백산사고본】 51책 44권 11장 A면【국편영인본】 40책 225면
  • 【분류】
    왕실-의식(儀式) / 역사-사학(史學) / 예술-음악(音樂)

  • [註 335]
    초엄(初嚴) : 의식을 행할 때 처음에 울리는 북소리, 광화문(光化門)의 큰 북을 두드리는데, 초엄에는 백관이 모이고, 이엄(二嚴)에는 문밖에 나오고, 삼엄(三嚴)에는 뜰에 들어오는 것임.
  • [註 336]
    헌가(軒架) : 악현(樂懸)의 하나. 편종(編鍾)·편경(編磬)·북을 시렁에 걸어놓고 축(柷)·어(敔)·약(籥)·생(笙)·우(竽)·소(簫)·적(篴)·지(篪)·부(缶)·훈(壎) 등의 관현(管絃)을 갖추어서 연주하는 것.
  • [註 337]
    점(坫) : 빈 잔을 엎어 놓는 대(臺).
  • [註 338]
    삼고두(三叩頭) : 머리를 숙여 땅에 대는 절을 세 번 함.
  • [註 339]
    향발(嚮鏺) : 향발(嚮鈸).
  • [註 340]
    풍형 예대(豊亨豫大) : 천하가 태평하여 백성의 향락이 극대함.

○壬子/進宴於仁政殿, 九觴乃罷。 前一日, 掖庭署設御座於仁政殿北壁向南。 掌樂院展軒懸於殿庭。 典設司設 王世子位次於御座東南西向, 宗親、儀賓二品以上位於王世子後北南, 文、武二品以上位於御座西南, 俱重行, 相向北上, 承旨位於西南隅, 北向東上, 史官在其後, 宗親堂上三品位於殿階上之東, 文、武堂上三品官位於殿階上之西, 侍臣堂下三品以下位於階上東西, 不陞殿者位於南階上東西, 俱每等每位重行, 相向北上。 皷初嚴, 兵曹勒諸衛, 陳鹵簿、儀仗於正階及殿庭, 東西列軍士, 竝如式, 太僕正進輿輦及仗馬於殿庭中道左右。 皷二嚴, 宗親、文武之官, 俱就門外, 王世子出就仁政殿門外。 中嚴, 上具翼善冠、袞龍袍, 御宣政殿, 近侍及執事官內閣入庭, 四拜而出, 典樂率工人入就位。 三嚴, 執事官先就位, 宗親、文武三品以下, 由東西偏門入就拜位, 王世子出次西向立。 皷聲止, 闢內、外門。 上乘輿以出, 於是仗動樂奏《與民樂慢》。 上降輿陞座, 爐烟升, 諸衛官入侍。 王世子由東門, 入就拜位, 宗親、文武及二品以上, 由東偏門入就拜位。 典儀曰四拜, 贊儀唱鞠躬四拜興平身, 王世子及宗親、文武官, 皆四拜。 於是, 司饔提調進酒器, 樂作, 進訖, 樂止。 王世子以下皆跪, 提調奉揮巾函, 樂作, 詣座前跪, 內侍跪進訖, 樂止。 提調進饌案, 樂作, 進別行果訖, 樂止。 禮房承旨沈極奉花盤詣座前跪, 樂作, 內侍受花, 揷于翼善冠之右, 樂止。 提調進鹽水, 樂作, 以空案置饌案之右, 樂止。 王世子以下, 跪如前, 提調進小饌, 樂奏《千年萬歲曲》, 進訖, 樂止。 王世子進第一爵, 代致詞官趨詣御座前跪, 致詞曰: " 王世子某, 謹上千千歲壽。" 上擧爵, 軒架作樂, 奏《與民樂慢》, 提調復爵於坫, 樂止。 王世子以下跪, 提調割肉跪進于饌案之右, 樂作, 進饅頭訖, 樂止。 班首領議政崔錫鼎進第二爵, 代致詞如初, 承旨詣座前跪, 啓傳命出臨階西向, 宣敎曰: "敬擧卿等之觴。" 上擧爵如第一爵, 復爵於坫, 樂止。 王世子以下, 三叩頭, (控)〔拱〕 手加額, 山呼者三, 曰千歲千歲千千歲, 樂工、軍校, 高聲應之。 王世子以下四拜後, 王世子升詣御座東偏西向坐, 承旨、史官, 退就殿階上北向坐, 宗親、文武官, 各就東西班次。 司饔副提調供王世子饌卓, 輔德供花, 執事者詣宗親、文武官饌卓散花。 上下傳敎曰: "侍衛諸將賜花。" 又傳曰: "侍衛諸將就位。" 提調進湯, 樂作, 曲如進小饌。 王世子以下, 離位俯伏, 凡進湯進爵時, 皆同, 樂止。 延礽君進第三爵, 上擧爵, 樂奏《五雲開瑞朝曲》, 舞童入作初舞。 賜酒, 王世子以下, 離位跪飮, 進湯, 樂奏《淸平曲》延齡君 , 進四爵, 上擧爵, 樂奏《井色慢機〔井邑慢機〕, 舞童入作牙拍。 以下六爵, 賜酒如上儀。 進湯, 樂奏《桓桓曲》。 判府事李濡進第五爵, 上擧爵, 樂奏《步虛子令》, 舞童入作嚮鏺。 上入幕次, 令司謁傳敎曰: "工人等饋饌。" 良久 上殿坐進湯, 樂奏《夏雲峰》臨陽君 , 進第六爵, 上擧爵, 樂奏《與民樂慢》, 舞童入作舞鼓, 進湯, 樂奏《洛陽春》東平尉 鄭載崙進第七爵, 上擧爵, 樂奏《步虛子令》, 舞童入作廣袖, 進湯, 樂奏《維皇曲》。 領敦寧金柱臣進第八爵, 上擧爵, 樂奏《與民樂令》, 舞童入作響鏺, 進湯, 樂奏《靖東方之曲》。 戶曹判書趙泰采進第九爵, 上擧爵, 奏樂《步虛子令》, 舞童入作廣袖, 退小饍, 進大饍, 樂奏《太平年之樂》。 仍奏《與民樂》, 處容舞進。 徹樂, 錫鼎進陳戒盈滿安不忘危之意, 上嘉納。 請耆舊諸臣及侍宴諸臣父母年七十以上者, 皆賜食物, 領府事南九萬以路遠未及上來, 亦賜別諭招來, 上可之。 徹案, 王世子以下, 降就拜位, 行四拜。 左通禮跪告禮畢, 上還內。 參宴諸臣, 東壁, 延礽君 延齡君 臨昌君 臨陽君 檜原君 東平尉 鄭載崙海昌尉 吳泰周錦平尉 朴弼成全城君 東原君 瀛昌君 靈愼君 晋平君 林原君 海豐君 烏城君 炯淵雲興君 西川君 花春君 綾興君 純馨星坪君 靈雲君 義天帶原君 光胤密城君 全山君 花陵君 錦川君 密昌君 綾豐君 純謙花坪君 時憲驪昌君 炯協靈順君 東昌君 光善君 咸陵君 咸平君 靈昌君 翼馨海城君 驪興君 坡陵都正 坡山都正 昌寧都正 杞安都正 密豐都正 益寧都正 西陵都正 儒川都正 光山都正 靈原都正 , 【以上宗親。】 知製敎許頻沈仲良趙湜鄭來祥, 【以上通政。】 輔德崔啓翁、弼善李熊徵、文學趙泰億、司書李台佐、說書李世德、知製敎柳憲章李浚崔昌大李夏源丁時潤朴行義李大成。 西壁, 判中樞柳尙運徐文重、領議政崔錫鼎、判中樞李濡、左議政徐宗泰, 【以上相臣。】 慶恩府院君 金柱臣、戶曹判書趙泰采、兵曹判書趙相愚, 【以上崇政。】 左參贊嚴、判尹閔鎭厚, 【以上正憲。】 知中樞姜鋧兪得一、吏曹判書李寅燁、副司直尹世紀、禮曹判書徐文𥙿, 【以上資憲。】 同知敦寧金錫衍、副提學李墪、戶曹參判黃欽、副護軍李震休洪時疇、同知中樞李弘述、訓鍊都正元振洙, 【以上嘉義。】 禮曹參判洪萬朝韓城君 李基夏、副司直金重器、副護軍黃震文金重元閔涵朴宣興南弼星南致熏朴權、敦寧都正李弘逸、左尹李思永、右尹李健命、刑曹參判姜銑、兵曹參判尹以道京畿觀察使金宇杭、工曹參判金演、吏曹參判崔錫恒江華留守閔鎭遠開城留守韓聖佑南溪君 洪璛, 【以上嘉善。】 黃海觀察使許墀忠淸觀察使李彦經忠淸兵使李弘肇、副司果李國芳尹鼎和成瓘、副護軍朴昌漢任胤元趙泰東金弘楨林濩權尙游崔重泰、禮曹參議尹德駿、戶曹參議李東馣、兵曹參議申銋、參知呂必容、判決事元聖兪、刑曹參議李喜茂、大司成李晩成、吏曹參議尹趾仁, 【以上通政。】 執義李師尙、掌令李翊漢、持平李廷濟、獻納朴彙登、正言韓配周、應敎李㙫、校理吳命峻李肇、副校理柳鳳輝任守幹、修撰南就明趙泰一、知製敎李坦李宜晩、協律郞掌樂正李德英、都承旨李東郁、左承旨任舜元、右承旨沈極、左副承旨朴弼明、右副承旨金相稷、同副承旨趙泰老、注書具萬理、奉敎李縡、待敎洪禹瑞李眞儉、檢閱李澤洪致中申靖夏、假注書宋成明李濟。 不陞殿者, 進宴廳郞廳金昌國尹澤李遂大、監造官鄭壽期洪可相李鼎佐、禮賓主簿柳載和、繕工假監役申載、通禮閔震元洪景濂、相禮成瑍、酒卓官權益隆洪重亨曹夏奇朴守義張震煥任謜、翊衛司官任敾李箕翊鄭希先李齊說朴泰成孟淑夏趙正誼洪禹寧李簹申思永宋堯佐趙斗彬徐宗選、兵曹郞官申弼賢閔鎭東黃翼再徐命遇韓祉、都摠府官安相漢韓聖欽、尙瑞直長韓璛李老成、致詞官尹植趙聖復、宣傳官李碩寬柳胤興韓㻋洪元益、禮貌官趙彛重朴省己丁達行權聖揆趙彛和李世望李得夏李世芳宋禹錫

【史臣曰: "上之卽位, 于今三十有二年, 雖無朝夕迫近之憂, 而人事屢失, 咎徵數見, 饑饉、癘疫, 無歲無之, 民生之困, 固已極矣。 加以戎備不飭, 邊謀久踈, 南憂北釁, 識者寒心, 亦非升平無事之時也。 今此進宴之擧, 無亦近於豐亨豫大之歸歟? 然上自王世子, 下至諸臣, 屢請而後乃許, 沖謙之德, 至見於詩詞, 至於外而不用妓樂, 內而減去命婦, 節目之間, 多從儉約, 又可見節省之盛德也。"】


  • 【태백산사고본】 51책 44권 11장 A면【국편영인본】 40책 225면
  • 【분류】
    왕실-의식(儀式) / 역사-사학(史學) / 예술-음악(音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