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숙종실록33권, 숙종 25년 7월 15일 임오 2번째기사 1699년 청 강희(康熙) 38년

송현수와 권전에게 사제하도록 명하다

대신(大臣)과 비국(備局)의 제신(諸臣)들을 인견(引見)하였다. 이에 앞서 여량 부원군(礪良府院君) 송현수(宋炫壽)권전(權專)에게 사제(賜祭)의 명이 있었는데, 예조 참판(禮曹參判) 오도일(吳道一)이 주달하기를,

"묘소(墓所)와 자손(子孫)들을 찾아보았으나 알 수가 없었고, 성명(成命) 또한 폐기할 수가 없으니, 허위(虛位)를 진설하고 제사지내 주는 것도 크게 해로울 것은 없겠습니다만, 이 또한 전례가 없습니다."

하고, 예조 참의(禮曹參議) 이인엽(李寅燁)은 아뢰기를,

"고로(故老)들이 서로 전해 오는 말에 의하면 과천(果川) 땅에 송현수(宋炫壽) 부인(夫人)의 묘가 있는데, 표석(表石)의 자형(字形)이 희미하여 식별할 수가 없다고 합니다."

하니, 영의정(領議政) 유상운(柳尙運)이 아뢰기를,

"예조(禮曹)의 낭관(郞官)을 보내어 상세히 묻고 간심(看審)하게 하소서."

하자, 임금이 옳게 여겼다. 그곳에 가서 간심하여 보니 과연 송가(宋家)의 선산(先山)이었고, 모두 표석(表石)이 있었다. 부인의 묘에도 표석이 있었는데, 거기에 ‘여주(驪州) 민씨(閔氏)의 묘’라고 씌어 있었는데, 비록 희미하기는 하였으나 그래도 헤아려 알 수가 있었다. 오도일이 또 주달하기를,

"여량 부원군이 이미 죄를 받아 죽었으므로, 장사(葬死)에도 반드시 예(禮)를 갖추지 못하였을 것이니, 같은 산 안에 있다 하더라도 식별하기가 어려울 것입니다. 허위(虛位)를 진설하고 사제(賜祭)한 전례가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고사(古事)로 말하건대 전대의 인물에 대해 감동을 받아 사제한 경우도 있고, 이국(異國)에서 전사(戰死)한 사람에게 사제한 경우도 있는데, 이것이 어찌 묘소가 있어서 제사할 수 있는 것입니까? 더구나 이 송가(宋家)의 선산(先山)은 다른 곳과 다른 것이겠습니까? 신의 생각에는 제문(祭文)에다 이러한 내용을 기재하여 묘하(墓下)에다 허위를 진설하고 사제하는 것도 불가할 것이 없다고 여겨집니다. 그러나 대신(大臣)에게 하문하여 조처하소서."

하니, 유상운(柳尙運)이세백(李世白)이 모두 아뢰기를,

"허위를 진설하고 제사지내준 것은 그런 전례가 없습니다만, 그래도 제사를 폐기하여 흠전(欠典)이 되는 것보다는 낫습니다."

하였는데, 임금이 옳게 여겼다. 뒤에 분묘(墳墓)를 수축(修築)할 것을 명하였으나, 권전(權專)의 묘를 오래도록 찾지 못하였다. 뒤에 우의정(右議政) 이세백(李世白)장릉(莊陵)에서 돌아와 아뢰기를,

"안동 부사(安東府使) 홍득우(洪得禹)의 말에 의하면 안동 땅에 분묘가 있는데, 표석(表石)이 완연하다고 합니다."

하니, 드디어 제사지내 주는 일을 거행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36책 33권 28장 A면【국편영인본】 39책 535면
  • 【분류】
    왕실-사급(賜給) / 인사-관리(管理) / 풍속-예속(禮俗) / 역사-사학(史學)

    ○引見大臣、備局諸臣。 先是, 礪良府院君 宋炫壽權專, 有賜祭之命。 禮曹參判吳道一奏言: "墓所及子孫, 訪問不得, 成命亦不可廢閣, 設虛位賜祭, 雖無大妨, 而此亦無前例矣。" 禮曹參議李寅燁曰: "故老相傳, 果川地有宋炫壽夫人墓, 而表石字形, 漫漶不可識認云矣。" 領議政柳尙運, 請發遣禮曹郞官, 詳問看審, 上可之。 及往審, 果是家先山, 而皆有表石, 夫人墓亦有表石, 書曰驪州 閔氏之墓。 雖已漫漶, 猶可揣知。 道一又奏: "礪良旣以罪死, 葬必不備禮, 雖在一山之內, 有難識別。 設位賜祭, 雖未知有前例, 以古事言之, 或有曠感前代而賜祭者, 或有戰亡異國而賜祭者, 此豈有墓所之可祭乎? 況此是家先山, 與別處有異? 臣意以此措辭于祭文中, 就墓下爲位賜祭, 未見其不可。 請詢大臣而處之。" 柳尙運李世白皆言: "設位致祭, 雖無前例, 猶勝於廢閣致祭之爲欠典。" 上可之, 後又命修築墳墓。 權專墓, 久訪不得。 後右議政李世白莊陵還奏: "安東府使洪得禹言, 在安東地, 表石宛然。" 於是始行致祭。


    • 【태백산사고본】 36책 33권 28장 A면【국편영인본】 39책 535면
    • 【분류】
      왕실-사급(賜給) / 인사-관리(管理) / 풍속-예속(禮俗) / 역사-사학(史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