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숙종실록 32권, 숙종 24년 11월 1일 임신 2번째기사 1698년 청 강희(康熙) 37년

집의 이정겸이 윤증을 배척한 정호를 파직할 것을 청하다

집의(執義) 이정겸(李廷謙)이 논핵하기를,

"좨주(祭酒) 윤증(尹拯)은 도를 지키는 산림(山林)으로서 세상의 대유(大儒)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사간 정호(鄭澔)가 성균관 유생들을 격노시켜 예봉(銳鋒)을 돌려 마구 공격하고 공공연히 거리낌없이 지척(詆斥)하기에 여력(餘力)을 두지 않습니다. 그가 말하는 것은 스승을 배반했다고 지목한 것인데, 그 근본은 추구하지 않고 다만 그 지말(枝末) 만을 들어 마치 사생(師生) 간에 이익을 보고 의리를 잊어버린 것이 있는 듯하여 그를 옳지 못하다는 죄과로 몰아가려고 합니다. 선대에 예우를 받던 신하들이 서로 이어 세상을 떠나고 오직 이 한 노성(老成) 만이 우뚝하게 홀로 남아 있으니, 성상(聖上)께서 반드시 그를 초치(招致)하려고 하는 것은 듣는 이들에게 빛을 주는데 지금 이에 그를 삼가고 공경하는 예로써 대우하는 것에 불만을 품고 불평하여, 전하께서 치의(緇衣)264) 를 대하는 정성이 처음과 같지 못하게 하니, 청컨대 파직하여 서용(敍用)하지 마소서."

하였으나, 임금이 따르지 않았다.


  • 【태백산사고본】 35책 32권 21장 A면【국편영인본】 39책 513면
  • 【분류】
    인사-임면(任免) / 사법-탄핵(彈劾)

  • [註 264]
    치의(緇衣) : 현인이나 어진 사람을 의미함. 본래 치의는 경대부(卿大夫)가 입는 검은 비단으로 만든 사복(私服)을 가리킨다. 정(鄭)나라 환공(桓公)과 무공(武公)이 서로 이어 주(周)나라의 사도(司徒)가 되어 직무를 잘 수행하니 주나라 백성들이 그들을 사랑하여 지은 시가 바로 《시경(詩經)》 정풍(鄭風) 치의편(緇衣篇)이다.

○執義李廷謙論: "祭酒尹拯, 守道山林, 爲世大儒。 司諫鄭澔, 激怒泮儒, 移鋒橫擊, 公肆詆斥, 不遺餘力。 其所爲言者, 目之以背師, 而不究其本, 只擧其末, 有若師生間見利忘義者然, 欲敺之於不韙之科。 先朝禮遇之臣, 相繼淪亡, 惟此一老, 巋然獨存, 聖上之必欲召致者, 有光聽聞, 而今乃以禮待之勤摯, 慍憾不平, 欲使殿下緇衣之誠, 不承權輿, 請罷職不敍。" 不從。


  • 【태백산사고본】 35책 32권 21장 A면【국편영인본】 39책 513면
  • 【분류】
    인사-임면(任免) / 사법-탄핵(彈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