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이이와 성혼을 문묘에 종향하고 반교문을 내리다
다시 이이(李珥)와 성혼(成渾)을 문묘(文廟)에 종향(從享)하였다. 이에 앞서 그들의 집에 사제(賜祭)했고 이어 제도(諸道)의 향교(鄕校)에 반교문(頒敎文)을 내리고 순찰사(巡察使)는 위판(位版)을 만들어 나누어 주도록 했기 때문에, 뒤좇아 길일(吉日)을 가려 거행하게 된 것이다. 대개 임술년325) 에 승배(陞配)할 때의 전례대로 한 것인데, 이날 백관(百官)의 하례를 받고 중외(中外)에 반교문을 내렸다. 그 글에 이르기를,
"왕(王)은 말한다. 도(道)를 장차 폐치(廢置)하게 되는 것도 천명(天命)이어서 성무(聖廡)의 사전(祀典)을 못올린 지 오래이다가, 하늘이 사문(斯文)을 없애버리지 않아, 학궁(學宮)의 갖가지 의식(儀式)을 거듭 시행하게 되었기에, 이렇게 대고(大誥)를 게시하여 널리 사방에 고한다. 세상의 도의(道義)가 낮아짐과 높아짐을 생각해 보건대, 진실로 유학(儒學)의 교화(敎化)가 일어나거나 쇠퇴하거나에 달렸다. 대뢰(大牢)326) 의 제사를 창시함으로써 한(漢)나라 왕실(王室)의 국운이 길게 되었고, 위학(僞學)을 금(禁)함이 크게 행해짐으로써 향해(香孩)327) 의 국조(國祚)가 짧아지게 되었다. 오직 만대(萬代) 득실(得失)의 자취에 역력하고 매우 분명하니, 돌아보건대, 후세 임금들이 감계(鑑戒) 삼아야 할 방도를 환희 고찰할 수 있다. 뒤돌아보건대, 우리 청구(靑丘)의 문교(文敎)는 본조(本祖)로부터 성대하게 일어나, 열성(列聖)들께서 인재를 배양한 공로는 먼 옛적과 짝이 되도록 아름다웠고, 진유(眞儒)가 성대하게 배출(輩出)되었음은 중화(中華)와 똑같이 아름다웠다. 선조(宣祖)께서 즉위하셨을 적에 두 신하가 한꺼번에 이 세상에 나왔다. 이 문성공(李文成公)은 총명하고 고매(高邁)하여 탁월하게 천품(天稟)이 높았고, 성 문간공(成文簡公)은 독후(篤厚)하고 장엄(莊嚴)하여 올바른 가정의 교훈을 체득(體得)한 바 있었다. 일찍부터 지란(芝蘭)의 교분을 맺었고 나중에는 여택(麗澤)328) 의 절차탁마(切磋琢磨)를 기약하여, 수사 낙민(洙泗洛閩)329) 의 글에 잠심(潛心)함으로써 바로 그 정맥(正脈)에 계합(契合)하였고, 천명(天命)과 인성(人性)의 이치를 부석(剖析)하여 도의 큰 근본을 환히 알아냈으며, 지행(知行)을 병진(幷進)하는 공부를 하여 명통공보(明通公溥)330) 하게 되고, 경(敬)과 의(義) 두 가지 다 견지(堅持)하기에 힘써 속이 곧고 겉이 반듯했다. 깊은 학식에서 나온 미묘(微妙)한 말들은 이전의 사람들이 밝히지 못한 것을 밝힘이 많았고, 큰 강령(綱領)을 크게 사용하여 전해지지 않고 끊어진 학문의 전승(傳承)을 스스로 담당했다. 충성을 하고 싶은 바는 임금이라 한평생의 포부를 펴 보려고 하여 무리에 들어오기 바랐으니, 천년토록 소융(昭融)한 것을 알 수 있었는데, 법연(法筵)에서 제일 먼저 아뢴 사항은 여원명(呂原明)331) 의 주대(奏對)와 같은 것이고, 시무(時務)에 관한 수천의 계책은 주고정(朱考亭)332) 의 봉장(封章)과 같은 것이었다. 장차 한때에 큰 정치가 있게 될 것 같았는데, 애석하게도 할 수 없었던 것은 천명이라, 하늘을 어찌하지 못해 혜택이 민생들에게 미치지 못하였고 독설(毒舌)이 몹시 극성을 부려 밝은 임금의 때를 만났던 것도 끝을 마치지 못하였다. 그의 풍성(風聲)은 없어지지 않아 백대(百代)에 사법(師法)이 될 수 있기에 조두(俎豆)의 자리에 배향(配享)할 것을 다사(多士)들이 모두 호소했으나, 여러 조정을 거치면서 미처 막중한 제전(祭典)을 차리지 못하다가 과인(寡人)의 몸에 이르러 비로소 대중의 심정에 따르니, 학궁(學宮)에 빛이 나고 온 나라 사람들이 긍식(矜式)할 데가 있게 되었으며, 사림(士林)들의 기세가 증가하여 문풍(文風)이 일어날 시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지난번에 편당하는 사람이 조정을 담당하매 교묘하게 참소하는 말이 나의 뜻을 현혹함을 면하지 못하여, 상례의 제사를 오래 폐하매 영령(英靈)들이 편안히 의지할 데가 없게 되었고, 우리 도(道)가 장차 궁해지게 되매 선량한 사류(士類)들의 숨은 고통이 한이 없었다. 비록 거짓말이 올바른 것을 더럽히게 된 것이기는 하지만, 이 죄를 면할 수 없다. 돌아보건대, 한쪽 말만 듣는 통에 간계(奸計)를 부리게 된 것이기에, 내 마음에 부끄럽게 여긴다. 이번에 경장(更張)하는 날을 당하여 즉시 잘못을 뉘우치기 시작하여, 무릇 갖가지의 죄악을 다스리고 충성을 표양하는 일을 혹시라도 거행하지 않는 것이 없게 하는데, 하물며 이런 유현(儒賢)을 존숭하고 덕을 숭상하는 일을 더욱 어찌 조금이라도 늦출 수 있겠는가? 진실로 이미 마음속에 말없이 결단하여 새로워지기를 도모하여 구습(舊習)을 버리기도 했기에, 아래서 일제히 누누한 글발과 긴 소장(疏章)을 올리기를 기다릴 것이 없었다. 이에 길일을 가려 다시 성대한 제전(祭典)을 거행하여, 6년 동안을 바라던 큰 소망에 답하자 중외(中外)가 모두 기뻐하게 되고, 만세토록 태평할 기초를 열어 놓으매 신하들이 다 같이 축하하게 되었다. 춘추(春秋)에 제사 받들면서는 마땅히 분주하게 범절을 차리게 될 것이고, 장보(章甫)들은 바라보며 의지하여 의술(蛾述)의 교화(敎化)333) 를 돕게 될 것이다. 아! 천운(天運)은 밝아지기도 하고 어두워지기도 하는 것이기에 비록 한때 억울하게 되었지만, 사람의 마음속에는 옮음과 그름이 본시 훤한 것이다. 어찌 백세(百歲)토록 기다렸다 정해지겠는가? 오직 정상(精爽)334) 은 어둡지 않은 것이므로 혹은 이러한 정성에 밝게 감동하게 될 것이니, 광진(光塵)335) 을 뒤따르게 되어 사도(斯道)를 우익(羽翼)해 주었으면 하고, 유신(維新)의 경사를 우악(優渥)하게 답해 주어 오래도록 태평한 기쁨을 내리게 되기를 바란다. 그래서 이처럼 교시(敎示)하노니, 마땅히 알지어다."
하였다. 【예문관 제학(藝文館提學) 오도일(吳道一)이 지어 올린 것이다.】
- 【태백산사고본】 29책 27권 15장 B면【국편영인본】 39책 334면
- 【분류】사상-유학(儒學) / 교육-인문교육(人文敎育) / 어문학-문학(文學) / 인물(人物) / 인사-관리(管理) / 왕실-사급(賜給)
- [註 325]임술년 : 1682 숙종 8년.
- [註 326]
대뢰(大牢) : 나라 제사에 소를 통째로 바치던 일. 원래 소·양·돼지를 아울러 바치는 것을 대뢰라 하였으나, 뒤에 소만 바치는 것을 일컫게 되었음.- [註 327]
향해(香孩) : 송(宋)나라 태조(太祖)가 태어났을 때 사흘 동안 영중(營中)에 향기가 가득 찼다고 하는데, 곧 국조(國朝)의 창건을 뜻하는 것임.- [註 328]
여택(麗澤) : 나란히 있는 두 못의 물이 물기[水分]를 유지하는 데 서로 도움이 되듯이, 학문을 강구하고 덕을 닦아가기에 서로가 도움을 주는 것.- [註 329]
수사 낙민(洙泗洛閩) : 수사는 공자가 제자들에게 도를 가르치던 곳에 있는 수수(洙水)와 사수(泗水). 곧 공자와 맹자를 뜻하는 것. 낙민은 송(宋)나라 때의 학자 정호(程顥)·정이(程頤) 형제가 살던 낙양(洛陽)과 주희(朱熹)가 살던 민중(閩中)을 말한 것.- [註 330]
명통공보(明通公溥) : 성학(聖學) 공부의 순서. 《주자통서(周子通書)》의 "사욕(私欲)이 없어지면 안정할 참에는 마음이 텅 비게 되고 행동할 적에는 마음이 정직해지게 되는 것이다. 마음이 비면 ‘명(明)’하게 되고 명하면 ‘통(通)’하게 되는 법이며, 행동이 정직하면 ‘공(公)’하게 되고 공하면 ‘보(溥)’하게 되는 법이다."하였음.- [註 331]
여원명(呂原明) : 이름은 희철(希哲). 송 철종(宋哲宗) 때의 학자이자 명신(名臣). 궁행실천(躬行實踐)을 힘썼고, 정심(正心)과 성의(誠意)로 임금을 보필했음.- [註 332]
주고정(朱考亭) : 주자(朱子). 고정은 별호임.- [註 333]
의술(蛾述)의 교화(敎化) : 개미 새끼가 어미개미가 하는 짓을 배워 쉬지 않고 흙을 날라다가 개미둑을 쌓듯이, 사람도 항시 성현의 교훈을 배우며 익혀 가면 지덕(知德)이 향상하게 되는 것.- [註 334]
정상(精爽) : 영혼.- [註 335]
광진(光塵) : 그의 광채를 받으며 함께 지내는 것. 곧 그를 모시게 되는 것.○己未/復以李珥。 成渾從享于文廟, 先期, 賜祭于其家, 仍宣敎文諸道鄕校, 巡察使造位版以頒, 故追擇吉日擧行, 蓋用壬戌陞配時舊例也。 是日百官陳賀, 頒敎中外, 其文曰,
王若曰: "道之將廢也命, 聖廡之祀典久虧。 天其未喪斯文, 黌庠之縟儀重擧。 肆揭大誥, 誕告多方。 言念世道之汚隆, 實係儒化之興替。 太牢之祀肇創, 而漢室之籙綿。 僞學之禁大行, 而香孩之祚促。 帷萬代得失之跡, 歷歷甚明。 顧後王鑑戒之方, 班班可考。 眷玆靑丘之文敎, 奧自本朝而蔚興。 列聖培養之功, 儷美於隆古。 眞儒輩出之盛, 匹休於中華。 當宣廟履端之辰, 有二臣竝世而作。 李文成之光明超邁, 卓乎天分之高。 成文簡之篤厚莊嚴, 得之家訓之正。 夙許芝蘭之臭味, 終期麗澤之切磨。 沈潛乎洙、泗、洛、閩之書, 直契正脈。 剖析乎天人性命之理, 洞見大原。 知行兩造之工, 明通公溥。 敬義夾持之力, 內直外方。 遽識微言, 多是發前人之未發。 宏綱太用, 自任傳絶學之不傳。 欲忠者君, 庶展一生之抱負。 願入於黨, 可見千載之昭融。 法筵第一條, 呂原明之奏對。 時務數千策, 朱考亭之封章。 若將大有爲於時, 惜其所不能者命。 蒼天不憖, 利澤未究於生民。 赤舌孔甘, 際遭靡終於明主。 伊風聲之不泯, 百世可師。 故俎豆之同躋, 多士咸籲。 歷累朝而未遑重典, 逮寡躬而始循輿情。 學舍生輝, 國人有所矜式。 士林增氣, 文風佇期作興。 頃緣黨人之當朝, 未免巧讒之惑志。 常禋久廢, 英靈之妥揭無憑。 吾道將窮, 善類之隱痛靡極。 雖躛說之醜正, 厥罪莫逃。 顧偏聽之生奸, 予心有靦。 玆當更張之日, 卽發悔悟之端。 凡諸癉惡而旌忠, 莫或不擧。 矧此崇儒而尙德, 尤豈少徐? 固已默斷於中, 而圖新舍舊。 不待齊訴於下, 而累牘連章。 玆涓吉辰, 復擧盛典。 答六載顒若之望, 中外均歡。 開萬世太平之基, 臣隣共賀。 春秋奠祀, 宜處駿奔之儀。 章甫瞻依, 永裨蛾述之化。 於戲! 天運之顯晦相敓, 縱見屈於一時。 人心之是非自明, 豈待定於百歲? 惟精爽之不昧, 倘昭格于玆誠。 尙光塵之可追, 庶羽翼夫斯道。 蔚答維新之慶, 冀垂久安之休。 故玆敎示, 想宜知悉。
【藝文提學具道一製進。】
- 【태백산사고본】 29책 27권 15장 B면【국편영인본】 39책 334면
- 【분류】사상-유학(儒學) / 교육-인문교육(人文敎育) / 어문학-문학(文學) / 인물(人物) / 인사-관리(管理) / 왕실-사급(賜給)
- [註 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