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대권별
태조-철종
고종-순종
양주(楊州)의 유학(幼學) 이추(李樞) 등이 상소하여 문충공 김상용과 문정공 김상헌의 서원에 사액하기를 청하였는데, 상이 그 상소를 예조에 내렸다. 예조가 사액을 허락하여 포상(褒賞)의 뜻을 보이는 것이 옳겠다고 복계하였으나, 상이 허락하지 않았다.
○楊州幼學李樞等上疏, 請文忠公 金尙容、文正公 金尙憲書院賜額, 上, 下其疏於禮曹。 禮曹覆啓, 宜許賜額, 以示褒賞之意, 上不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