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현종개수실록6권, 현종 2년 윤7월 8일 을유 2번째기사 1661년 청 순치(順治) 18년

여러 도감의 상격을 논하고 포상을 시행하다

여러 도감의 상격(賞格)을 논하였다. 【부묘 도감(祔廟都監)·양 대비 존숭 도감(兩大妃尊崇都監)·중전 책례 도감(中殿冊禮都監)이다.】 부묘 도감 도제조 심지원(沈之源)·이경석(李景奭)에게는 숙마를 하사하고, 제조 허적(許積)·여이재(呂爾載)·조계원(趙啓遠)은 가자하고, 홍중보(洪重普)·정치화(鄭致和)와 도청(都廳) 이민적(李敏迪)·곽지흠(郭之欽)·오시수(吳始壽)·목겸선(睦兼善)에게는 숙마를 하사하고, 나머지 사람들에게도 차등있게 상을 주었다. 【존숭 책례 도감과 부묘 도감의 당상과 낭청을 겸하였다.】 부묘할 때의 아헌관 정태화에게는 안구마를 하사하고, 종헌관 평운군(平雲君) 이구(李俅), 진폐 찬작관(進幣瓚爵官) 윤강(尹絳)·김수항(金壽恒), 천조관(薦俎官) 허적(許積), 전폐 찬작관(奠幣瓚爵官) 조복양(趙復陽), 예의사(禮儀使) 김남중(金南重), 당상 집례(堂上執禮) 오정위(吳挺緯)에게는 숙마를 하사하고, 도승지 남용익(南龍翼), 예방 승지 이익한(李翊漢), 제10실 대축(大祝) 윤비경(尹飛卿)에게는 가자하고, 나머지 사람들에게는 차등있게 상을 주었다. 자의 대비(慈懿大妃) 존숭 때의 정사인 정태화에게는 안구마를 하사하고, 부사 이일상(李一相)에게는 숙마를 하사하고, 옥책문 제술관 이일상과 서사관 김좌명(金佐明)은 가자하고, 악장 제술관 유계(兪棨), 옥보 전문 서사관 여성제(呂聖齊), 책보 봉진관 원만석·박세모에게는 숙마를 하사하고, 나머지 사람들에게는 차등있게 상을 주었다. 중전 책례 때의 정사인 정태화와 부사 조형(趙珩)에게는 안구마를 하사하고, 전교관(傳敎官) 박세모, 옥책문 제술관 김수항, 서사관 오준, 교명문 제술관(敎命文製述官) 이일상, 서사관 송준길에게는 숙마를 하사하고, 나머지 사람들에게는 차등있게 상을 주었다. 그러나 한 사람이 몇 가지 일을 겸했더라도 중첩해서 주지는 않았다.


  • 【태백산사고본】 6책 6권 10장 B면【국편영인본】 37책 243면
  • 【분류】
    인사-관리(管理) / 왕실-사급(賜給) / 왕실-종사(宗社) / 왕실-비빈(妃嬪)

    ○論諸都監賞格。 【祔廟、兩大妃尊崇、中殿冊禮。】 祔廟都監都提調沈之源李景奭, 賜熟馬, 提調許積呂爾載趙啓遠、加資, 洪重普鄭致和、都廳李敏迪郭之欽吳始壽睦兼善, 賜熟馬, 餘行賞有差。 【尊崇冊禮都監, 與祔廟都監堂郞兼察。】 祔廟時亞獻官鄭太和, 賜鞍具馬, 終獻官平雲君 、進幣瓚爵官尹絳金壽恒、薦俎官許積、奠幣瓚爵官趙復陽、禮儀使金南重、堂上執禮吳挺緯, 賜熟馬, 都承旨南龍翼, 禮房承旨李翊漢, 第十室大祝尹飛卿, 加資, 餘行賞有差。 慈懿大妃尊崇時, 正使鄭太和, 賜鞍具馬, 副使金南重, 賜熟馬, 玉冊文製述官尹順之, 書寫官吳竣, 加資, 樂章文製述官南龍翼, 玉寶篆文書寫官金壽恒、冊寶捧進官元萬石朴世模, 賜熟馬, 餘行賞有差。 孝肅大妃尊崇時, 正使鄭太和, 賜鞍具馬, 副使李一相, 賜熟馬, 玉冊文製述官李一相、書寫官金佐明, 加資。 樂章製述官兪棨、玉寶篆文書寫官呂聖齊、冊寶捧進官元萬石朴世模, 賜熟馬, 餘行賞有差。 中殿冊禮, 正使鄭太和, 副使趙珩, 賜鞍具馬, 傳敎官朴世模、玉冊文製述官金壽恒、書寫官吳竣、敎命文製述官李一相、書寫官宋浚吉, 賜熟馬, 餘行賞有差, 而一人雖兼數事, 不得疊授。


    • 【태백산사고본】 6책 6권 10장 B면【국편영인본】 37책 243면
    • 【분류】
      인사-관리(管理) / 왕실-사급(賜給) / 왕실-종사(宗社) / 왕실-비빈(妃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