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인조실록42권, 인조 19년 7월 12일 병술 1번째기사 1641년 명 숭정(崇禎) 14년

금주성의 전황

명나라 장수 조대수(祖大壽)가 그의 아우와 함께 금주성(錦州城)에 들어가 수비하였는데 청인(淸人)이 포위하였다. 조대수가 나성(羅城)을 잃자 항복했던 몽고(蒙古) 사람들을 의심하여 한인(漢人)을 시켜 감시하게 하였는데, 몽고인들이 성을 나가 투항하는 자가 매우 많았다. 중국 조정이 10만의 군대를 발동시켜 일곱 명의 총병(摠兵)이 거느리게 하여 금주성을 구원하게 하였다. 우진왕(右眞王)이 대대적으로 원병이 온다는 말을 듣고 우리 나라의 포수(砲手) 4백 명을 선봉으로 삼아 남산(南山)을 굳게 지키게 하였다. 그리고 그들 군대를 두 대(隊)로 나누어 일대는 탑산(塔山)의 귀로를 방비하게 하고 일대는 금주로 들어오는 길을 차단하게 하였으며, 진중(陣中)에 기와집을 지어 오래 머무를 계획임을 보였다. 이때 우리 군대는 이미 여러 달을 노숙(露宿)하여 병들고 부상하지 않은 자가 없었고 죽는 자가 속출하였다. 조정에서 듣고 본도로 하여금 휼전(恤典)을 거행하게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42책 42권 28장 B면【국편영인본】 35책 121면
  • 【분류】
    외교-명(明) / 외교-야(野) / 군사-전쟁(戰爭) / 군사-휼병(恤兵)

    ○丙戌/天將祖大壽與其弟, 入守錦州城, 淸人圍之。 大壽自失羅城, 疑蒙古之降者, 使漢人監之, 而蒙古之出城投虜者甚多。 中朝發十萬兵, 以七摠兵領之, 來救錦州右眞王聞援兵大至, 以我國砲手四百人爲先鋒, 堅守南山。 分其軍爲二隊, 一以防塔山之歸路, 一以遮錦州之來路, 作瓦家於陣中, 以示久住之計。 時, 我軍露宿已累朔, 無不傷病、死者相繼。 朝廷聞之, 令本道擧行恤典。


    • 【태백산사고본】 42책 42권 28장 B면【국편영인본】 35책 121면
    • 【분류】
      외교-명(明) / 외교-야(野) / 군사-전쟁(戰爭) / 군사-휼병(恤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