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실록33권, 인조 14년 7월 4일 병오 2번째기사
1636년 명 숭정(崇禎) 9년
김류에게 제색군을 제외한 속오군 중 2만 명을 가려 유사시 사용케하다
김류가 각도의 속오군 2만 명을 가려 뽑아 불시에 사용할 수 있게 하도록 주청하였다. 상이 묻기를,
"그 수가 어째서 이뿐인가?"
하니, 김류가 대답하기를,
"신이 팔도의 군안(軍案)을 모두 살펴보니, 출무(出武)·연무(演武)·장무(壯武)·충장(忠壯)·충익(忠翊)·충순(忠順)·충찬(忠贊)·업무(業武)·신선(新選) 등 제색군(諸色軍)을 속오군과 함께 계산하니 도합 11만 8천 8백 25명인데, 평안도와 각도의 제색군을 제외하면 속오군은 8만 6천 73명입니다. 이번의 선발은 속오군 중에서만 뽑아내었으므로 그 수가 4분의 1입니다."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33책 33권 4장 A면【국편영인본】 34책 639면
- 【분류】군사-군정(軍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