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광해군일기[중초본]80권, 광해 6년 7월 27일 정축 6번째기사 1614년 명 만력(萬曆) 42년

사헌부가 이승·심현 등에게 상으로 내린 가자를 개정할 것을 청하다

사헌부가 아뢰기를,

"벼슬을 상으로 주는 것은 임금이 세상을 면려하는 데에 쓰는 도구입니다. 그런데 근래에 미세한 공로로 갑자기 높은 벼슬자리에 오르고 있으므로 식자들이 한심하게 여긴 지 오래되었습니다.

병기(兵器)를 준비하고 군량을 저축하고 성곽을 쌓고 갱도를 파는 등의 일은 그들이 당연히 해야 할 일이고 또한 자신의 재산을 내거나 귀신을 부린 것이 아닙니다. 비록 보답할 만한 공적을 세웠다 하더라도 거기에 알맞는 상이 있기 마련인데 더구나 5품에서 당상관까지는 현격한 차이가 있는데 말할 것이 있겠습니까. 가선(嘉善)에서 자헌(資憲)에 오르는 것과 당상에서 가선에 오르는 것은 조종조 이래로 경솔하게 베풀지 않았는데 이게 곧 관작을 중하게 한 것입니다. 지난번에 이승(李昇)·심현(沈誢)·김류(金瑬)·이충립(李忠立)·이종일(李宗一)·김경서(金景瑞)·이흥립(李興立)·송안정(宋安廷)·김신국(金藎國) 등에게 상으로 내린 가자(加資)가 너무 지나쳐 물정이 놀라고 이상스럽게 여기고 있으니 개정하라 명하소서.

황주(黃州)에 성을 쌓는 역사가 지금 3년이 되었는데도 아직 완료하지 못하였고 쌓은 곳이 십분의 일도 채 되지 않는데 백성들의 노고가 극도에 달하여 원성이 하늘에까지 닿고 있습니다. 지금 중국이 군사를 징발하는 때를 당하여 군사의 조발(調發)을 대부분 양서에다 책임지우고 있으니 지금 잘 대처하지 않으면 장차 민심을 수습할 수 없을 것입니다. 특별이 풍채가 있는 어사를 파견하여 성 쌓은 상황을 살피고 백성들의 실정을 수소문하여 자세하게 계문하게 하고, 감사와 병사에게 물어 처치하라고 한 명을 환수하소서.

가주서(假注書)의 직책은 다른 가관(假官)과는 비교가 되지 않는 것으로 전하의 가까운 자리에서 사실을 기록하는 책임을 맡고 있기 때문에 전부터 특별히 가려 뽑은 것은 그 의도가 있었던 것입니다. 그런데 근래에는 전혀 인물을 가려 뽑지 않아 용렬한 인물로 채워 의망하니 매우 온당하지 않습니다. 해당 주서를 추고하고, 앞으로는 특별히 가려서 차임하게 하소서."

하니, 답하기를,

"이승 등의 일은 관례를 참조하여 상을 내렸으니 번거롭게 논하지 말라. 성을 쌓는 일은 순검사(巡檢使)가 머지 않아 내려갈 것인데 무엇 때문에 또 어사를 보내겠는가. 물어서 하도록 하유한 것이 좋다. 여타 사항은 아뢴 대로 하라."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29책 29권 54장 B면【국편영인본】 32책 330면
  • 【분류】
    인사-관리(管理) / 인사-임면(任免) / 군사-군정(軍政) / 군사-관방(關防) / 사법-치안(治安) / 사법-탄핵(彈劾) / 행정-중앙행정(中央行政) / 행정-지방행정(地方行政)

    掌令南橃 司憲府啓曰: "爵賞乃人主礪世之具, 而近來以微勞細功, 輒陞金玉之班, 識者之寒心久矣。 備兵器、儲軍糧、築城郭、鑿溝洫, 乃其分內事, 而亦非出己財, 役神鬼也。 雖或有別可酬之績, 自有相當之賞, 而況五品之於堂上, 等級懸絶。 堂上之陞嘉善, 嘉善之陞資憲, 自祖宗以來, 亦不輕施, 乃其所以重名器也。 頃者李昇沈誢金瑬李忠立李宗一金景瑞李興立宋安廷金藎國等, 賞加太濫, 物情駭異, 請竝命改正。 黃州築城之役, 今至三年, 尙未完了, 所築之處, 未滿十分之一, 而民勞已極, 怨聲徹天。 當此上國徵兵之日, 凡百調發, 多責兩西, 若不及今善處, 將無以收拾人心。 請特遣風力御史, 使之看審功役, 採訪民情, 詳悉啓聞, 還收下問于監兵使處置之命。 假注書之職, 非他假官之比, 在近密之地, 掌記事之任, 自前選擇, 其意有在。 近來專不擇人, 庸雜備擬, 殊甚未便。 請當該注書推考, 今後各別擇差。" 答曰: "李昇等事, 照例施賞, 勿爲煩論。 築城事, 巡檢使不久下去, 豈可又遣御史? 下諭問之可矣。 餘他事依啓。"


    • 【태백산사고본】 29책 29권 54장 B면【국편영인본】 32책 330면
    • 【분류】
      인사-관리(管理) / 인사-임면(任免) / 군사-군정(軍政) / 군사-관방(關防) / 사법-치안(治安) / 사법-탄핵(彈劾) / 행정-중앙행정(中央行政) / 행정-지방행정(地方行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