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장 청정이 관북에 침입하다
왜장 청정(淸正)이 관북(關北)에 침입하여 함경 감사 유영립(柳永立)이 사로잡히고 병사 이혼(李渾)이 적민(賊民)에게 살해당하였다. 당초에 청정과 행장(行長) 등이 함께 임진강을 건너 상의 행차를 추격하면서 거가가 혹시라도 방향을 바꾸어 관북으로 갈 것을 염려하여 길을 나눠 군사를 진격시키기로 약속하였다. 청정은 용맹이 적군 가운데 으뜸이었으며 거느리는 군사도 더욱 날래고 사나웠다. 두 장수가 제비를 뽑아 향할 곳을 결정하였는데 청정이 함경도로 가게 되었다. 청정이 길에서 우리 백성 두 사람을 사로잡아 향도로 삼았는데 한 사람은 그 길을 모른다고 사절하자 적이 그를 죽였고 한 사람은 두려워서 그대로 따랐다. 그리하여 곡산(谷山) 지역을 좇아 노리현(老里峴)을 넘어 철령(鐵嶺)의 길로 들었는데 철령에 지키는 군사가 없었으므로 그대로 치달려 들어갔다.
감사 유영립은 산골짜기로 들어갔는데 토병들이 적병을 인도하여 습격해서 사로잡았다. 병사 이혼은 도망하여 갑산(甲山)으로 들어갔는데 반민(叛民)이 추격해 오자 밭 사이의 토굴(土窟)에 숨었으나 마침내 난민(亂民)과 싸우다 죽었다. 그리고 갑산 사람들은 부사를 베고 투항하였다. 이에 앞서 북도 사람들이 무리(武吏)들의 침학에 괴로움을 당해 가장 심하게 국가를 원망하였었다. 그러다가 왜국(倭國)이 새로운 임금을 세우고 국정(國政)을 개혁한다는 유언비어를 듣고는 민간에서 떠들썩하게 마음이 기울어 장수와 관리를 다투어 결박해서 적을 맞이하였다.
두 왕자는 적병이 바로 뒤에 있다는 소문을 듣고 북쪽을 향해 질주하여 마천령(摩天嶺)을 넘어갔는데 윤탁연(尹卓然)은 뒤에 쳐졌다. 당시 사대부(士大夫)로서 각력(脚力)이 있고 운반에 편리한 보물을 많이 가진 자들은 모두 가족을 북도로 보냈는데 이들 역시 토병들에게 대부분 약탈당하였다. 그러나 귀양온 사족(士族)들에 대해서는 국가를 원망하는 사람들이라고 여겨 용납했기 때문에 온전할 수 있었다.
상이 북도로 떠날 것을 의논하자, 이항복이 다시 대신들과 극력 논쟁하기를 ‘의주(義州)로 진주(進駐)해야만 중국 군사와 접할 수 있고, 불행하게 될 경우 내부(內附)해서 서서히 국토를 회복할 수 있으니 실계(失計)가 아니다.’ 했는데, 심충겸(沈忠謙) 역시 그 의견에 따랐다. 그날 저녁에 청대(請對)하여 항복이 다시 극언하기를,
"북관(北關)은 단지 한 가닥 길만 있으니 궁하게 될 경우 오랑캐 지역 외에는 갈 만한 곳이 없으니 의주로 진주하는 것만 못합니다."
하니, 상이 이르기를,
"나의 뜻도 본래 내부하려는 것이었으니 경의 말을 따르겠다. 다만 중전(中殿)이 이미 멀리 갔는데 어떻게 해야 하겠는가?"
하였다. 이에 여러 산하들이 빨리 따라가서 돌아오게 하기를 청하니 운산 군수(雲山郡守) 성대업(成大業)을 보내어 달려가게 하였다. 그런데 중전의 일행도 적이 이미 북도에 침범하였다는 소문을 들었으므로 감히 나아가지 못하고 돌아와 마침내 상을 박천(博川)에서 만났다. 상이 영변부에 머물렀을 때 요동의 진에서 또 임세록(林世祿)을 보내 자문(咨文)에 답하면서 구원병 보낼 것을 허락했는데, 유성룡으로 하여금 접응하게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6책 26권 16장 A면【국편영인본】 25책 618면
- 【분류】군사-전쟁(戰爭) / 외교-왜(倭) / 외교-명(明) / 왕실-행행(行幸) / 사법-치안(治安)
○倭將淸正入關北, 咸鏡監司柳永立被執, 兵使李渾爲賊民所殺。 初, 淸正、行長等同渡臨津, 追上行, 而慮車駕或轉北行, 約分路進兵。 淸正勇猛冠軍, 所領兵尤精悍。 二將拈鬮定所向, 淸正得咸鏡道, 擒我民二人爲向導。 一人辭以不識其路, 賊斬之, 一人懼而從之。 從谷山地, 踰老里峴, 出鐵嶺路, 嶺無守兵, 長驅以入。 監司柳永立退入山峽, 土兵引賊兵襲執之。 兵使李渾奔入甲山, 叛民偵逐, 匿田間土窟, 竟與亂民相戰而死。 甲山人又斬府使而降。 先是, 北土人苦武吏侵虐, 怨國最甚。 及聞訛言: "倭國立新主, 改國政。" 民間喧然傾向, 爭縛將吏以迎敵。 兩王子聞賊兵在後, 疾行向北, 踰磨天嶺去, 尹卓然落後。 時, 士大夫有脚力, 多輕寶者, 皆送家屬于北, 亦多被搶于土兵, 惟徒流士族, 則亂民以爲: "此是怨國人。" 容之得全。 上議向北路, 李恒福復力爭于大臣云: "進駐義州, 迎接天兵。 不幸則內附, 徐圖復國, 未爲失計也。" 沈忠謙從其言。 當夕請對, 恒福復極言: "北關只有一條路, 窮蹙則胡地外無可往, 莫如進駐義州。" 上曰: "予意本欲內附, 當從卿言。 但中殿行已遠奈何?" 諸臣請速追回, 乃遣雲山郡守成大業馳往, 則中殿行中亦聞賊已犯北路, 不敢進而還, 遂會上于博川, 上次寧邊府。 遼鎭又遣林世祿答咨, 許送援兵, 使柳成龍接應。
- 【태백산사고본】 6책 26권 16장 A면【국편영인본】 25책 618면
- 【분류】군사-전쟁(戰爭) / 외교-왜(倭) / 외교-명(明) / 왕실-행행(行幸) / 사법-치안(治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