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조 판서 이이의 졸기
이조 판서 이이(李珥)가 졸하였다. 이이는 병조 판서로 있을 때부터 과로로 인하여 병이 생겼는데, 이때에 이르러 병세가 악화되었으므로 상이 의원을 보내 치료하게 하였다. 이때 서익(徐益)이 순무 어사(巡撫御史)로 관북(關北)에 가게 되었는데, 상이 이이에게 찾아가 변방에 관한 일을 묻게 하였다. 자제들은 병이 현재 조금 차도가 있으나 몸을 수고롭게 해서는 안 되니 접응하지 말도록 청하였다. 그러나 이이는 말하기를,
"나의 이 몸은 다만 나라를 위할 뿐이다. 설령 이 일로 인하여 병이 더 심해져도 이 역시 운명이다."
하고, 억지로 일어나 맞이하여 입으로 육조(六條)의 방략(方略)을 불러주었는데, 이를 다 받아 쓰자 호흡이 끊어졌다가 다시 소생하더니 하루를 넘기고 졸하였다. 향년 49세였다.
상이 이 소식을 듣고 너무도 놀라서 소리를 내어 슬피 통곡하였으며 3일 동안 소선(素膳)을 들었고 위문하는 은전을 더 후하게 내렸다. 백관의 요우(僚友)와 관학(館學)의 제생(諸生), 위졸(衛卒)·시민(市民), 그 밖의 서관(庶官)·이서(吏胥)·복례(僕隸)들까지도 모두 달려와 모여 통곡했으며, 궁벽한 마을의 일반 백성들도 더러는 서로 위로하며 눈물을 흘리면서 ‘우리 백성들이 복이 없기도 하다.’ 하였다. 발인하는 날 밤에는 멀고 가까운 곳에서 집결하여 전송하였는데, 횃불이 하늘을 밝히며 수십 리에 끊이지 않았다. 이이는 서울에 집이 없었으며 집안에는 남은 곡식이 없었다. 친우들이 수의(襚衣)와 부의(賻儀)를 거두어 염하여 장례를 치룬 뒤 조그마한 집을 사서 가족에게 주었으나 그래도 가족들은 살아갈 방도가 없었다. 서자(庶子) 두 사람이 있었다. 【부인 노씨(盧氏)는 임진 왜란 때에 죽었는데 그 문에 정표(旌表)하게 했다.】
이이의 자는 숙헌(叔獻)이고 호는 율곡(栗谷)이다. 나면서부터 신이(神異)하였고 확연히 큰 뜻이 있었다. 총명하여 지혜가 숙성해 7세에 이미 경서(經書)를 통달하고 글을 잘 지었다. 천성이 지극히 효성스러워 12세 때 아버지가 병들자 팔을 찔러 피를 내어 드렸고 조상의 사당에 나아가 울면서 기도하였는데 아버지의 병이 즉시 나았다. 학문을 하면서 문장 공부에 힘쓰지 않았어도 일찍부터 글을 잘 지어 사방에 이름이 알려졌다.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비탄에 잠긴 나머지 잘못 선학(禪學)에 물이 들어 19세에 금강산에 들어가 불도(佛道)를 닦았는데, 승려들 간에 생불(生佛)이 출현했다고 소문이 자자하였다. 그러나 얼마 후에는 잘못된 행동임을 깨닫고 돌아와 정학(正學)에 전념하였는데, 스승의 지도를 받지 않고서도 도의 큰 근본을 환하게 알고서 정미하게 분석하여 철저한 신념으로 힘써 실행하였다.
과거에 급제한 후에는 청현직(淸顯職)을 여러 번 사양하였으며, 그 도를 작게 쓰고자 아니하여 해주(海州)의 산중으로 물러가 살면서 강학(講學)하며 후학을 교육시켰다. 이에 은병 정사(隱屛精舍)를 세워 주자(朱子)를 사사(祠祀)하며 정암(靜菴)·퇴계(退溪)를 배향(配享)하여 본보기로 삼았는데, 나아가고 물러남과 사양하고 받아들이는 일을 한결같이 옛 사람이 하던 대로 하는 것을 스스로의 규범으로 삼았다.
어려서부터 장공예(張公藝)가 구세 동거(九世同居)한 것001) 을 사모하여 항상 그림을 걸어놓고 완미하였는데, 이때에 와서 맏 형수에게 신주(神主)를 받들어 함께 살기를 청하여 모시고 아우과 자질(子姪)을 모아 의식(衣食)을 함께 하면서 세시(歲時)와 초하루 보름에는 이른 아침에 찾아 배알하는 등 한결같이 《주자가례(朱子家禮)》대로 하였다.
아래로 비복(婢僕)에 이르기까지 참알(參謁)하고 출입하는 데 모두 예식이 있었는데 별도로 훈사(訓辭)를 만들어 한글로 번역해서 가르쳤으며 규문(閨門)이 마치 관부와 같았다. 한 당(堂)에 모여 식사를 하고, 연주하고 노래하며 놀 때에도 모두 예절이 있었다. 당세에 예의를 강구하여 초상 때와 제사 때에 정성을 다한다고 이름난 사람이라도 가정 교육의 예절에 있어서는 모두 따를 수가 없었다. 매양 아버지를 일찍 여읜 것을 슬퍼하여 중형(仲兄)을 아버지 섬기듯이 하여 성심과 성의를 다하고 게을리함이 없었다. 그리고 서모(庶母)를 친어머니 섬기듯이 하여 겨울에는 따뜻하게 여름에는 시원하게 보살폈으며 저녁과 아침마다 정성으로 문안드렸다. 또 녹봉도 마음대로 처리하지 않았는데, 학자들이 그것은 예(禮)가 아니라고 하자, 이이는 말하기를,
"내 의견이 그러할 뿐인데, 본보기가 될 수는 없다."
하였다.
조정에 나아가서는 위를 섬김에 있어 갈충 진력하였으며 시골에 물러나 있을 때에도 애타는 심정으로 잊지 못하였다. 전후에 걸쳐 올린 봉장(封章)과 면대하여 아뢴 말들을 보면 그 내용이 간절하고도 강직한데, 치체(治體)를 논함에 있어 규모가 높고 원대하여 삼대(三代)의 정치를 회복하는 것으로 목표를 삼았다.
나라 형세가 쇠퇴해져 난리의 조짐이 있음을 분명히 알고는 항상 임금의 마음을 바르게 하고 풍속을 바로잡고 조정을 화합하게 하는 것을 근본으로 삼았고, 폐정을 고치고 생민을 구제하고 무비(武備)를 닦는 것으로 급무를 삼았다. 그리고 이를 반복해서 시종 일관 한 뜻으로 논계하였는데, 소인이나 속류의 배척을 당했어도 조금도 거들떠보지 않았다. 임금도 처음에는 견제를 가하였으나 늦게나마 다시 뜻이 일치되어 은총과 신임이 바야흐로 두터워지고 있는 때에 갑자기 졸한 것이다.
이이는 타고난 기품이 매우 고상한데다가 수양을 잘하여 더욱 높은 경지에 나아갔는데, 청명한 기운에 온화한 분위기가 배어나오고 활달하면서도 과감하였다. 어떤 사람이든 어떤 상황이든 한결같이 정성되고 신실하게 대하였으며, 은총과 사랑을 받거나 오해나 미움을 받거나 털끝만큼도 개의치 않았으므로 어리석거나 지혜있는 자를 막론하고 마음으로 그에게 귀의하지 않는 자가 없었다.
한 시대를 구제하는 것을 급선무로 여겼기 때문에 물러났다가 다시 조정에 진출해서도 사류(士類)를 보합(保合)시키는 것으로 자신의 임무를 삼아 사심없이 할 말을 다하다가 주위 사람들에게 꺼리는 대상이 되었는데, 마침내 당인(黨人)에게 원수처럼 되어 거의 큰 화를 면치 못할 뻔하였다. 이이는 인물을 논하고 추천할 때 반드시 학문과 명망과 품행을 위주로 하였으므로 진실되지 못하면서 빌붙으려는 자들은 나중에 많이 배반하였다. 그래서 세속의 여론은 그를 너무도 현실에 어둡다고 지목하였다.
그러나 이이가 졸한 뒤에 편당이 크게 기세를 부려 한쪽을 제거시키고는 조정을 바로잡았다고들 하였는데, 그 내부에서 다시 알력이 생겨 사분 오열이 되어 마침내 나라의 무궁한 화근이 되었다. 그리하여 임진 왜란 때에 이르러서는 강토가 무너지고 나라가 마침내 기울어지는 결과를 빚고 말았는데, 이이가 평소에 미리 염려하여 먼저 말했던 것이 사실과 부합되지 않는 것이 없었다. 그래서 그가 건의했던 각종 편의책(便宜策)들이 다시 추후에 채택되었는데, 국론과 민언(民言)이 모두 ‘이이는 도덕과 충의의 정신으로 꽉 차 있어 흠잡을 수 없다.’고 칭송하였다.
저서로 문집과 《성학집요(聖學輯要)》·《격몽요결(擊蒙要訣)》·《소학집주(小學集注)》 개정본이 세상에 전해 온다.
- 【태백산사고본】 4책 18권 1장 A면【국편영인본】 25책 536면
- 【분류】인물(人物) / 왕실-사급(賜給) / 왕실-국왕(國王)
- [註 001]장공예(張公藝)가 구세 동거(九世同居)한 것 : 장공예는 당(唐)나라 수장(壽張) 사람으로 9대가 한 집에서 살았는데, 고종(高宗)이 그 집에 찾아가 한 집에서 화목하게 살 수 있는 비결을 물으니, 인(忍) 자 1백 자를 써서 올렸다는 고사가 전해 온다. 《당서(唐書)》 권195.
○朔己卯/吏曹判書李珥卒。 珥自爲兵判, 盡瘁成疾。 至是疾甚, 上委醫救藥。 時, 徐益以巡撫御史, 赴關北, 上令就問邊事。 子弟以爲: "病方少間, 不宜勞動, 請辭接應。" 珥曰: "吾此身, 只爲國耳。 正復因此加重, 亦命也。" 强起延待, 口號六條方略以授之, 書畢而氣塞, 復甦踰日而卒。 年四十九。 上驚悼, 發聲哀哭, 進素膳三日, 恤典加厚。 百官僚友、館學諸生、衛卒市民、流外庶官、吏胥僕隷, 皆奔集奠哭。 窮閻小民, 往往相弔出涕曰: "民生無福矣。" 發靷之夜, 遠近會送, 炬火燭天, 數十里不絶。 珥京中無宅, 居家無餘粟。 親友襚賻殮葬, 且爲買小宅, 以與其家屬, 家屬猶不能存活。 有庶子二人。 【夫人盧氏, 死於壬辰倭難, 命旌其門。】 珥字叔獻, 號栗谷。 生而神異, 廓然有大志。 聰明夙慧, 七歲已能通經, 著書。 至性孝順, 十二歲父病, 刺臂出血, 泣禱先祠, 父病卽瘳。 爲學不事雕篆, 而文章夙成, 名聞四方。 因喪母悲毁, 誤染禪學, 十九歲入金剛山, 從事戒定, 山中譁言: "生佛出矣。" 旣而省悟其非, 反而專精正學, 不待師承, 洞見大原, 剖析精微, 篤信力行。 登第之後, 屢辭淸顯, 不欲小用其道, 退居海州山中, 講學授徒, 建隱屛精舍, 祠祀朱子, 配以靜菴、退溪, 以爲矜式地。 其出處、辭受, 一以古人自律。 少慕張公藝九世同居, 常揭圖看玩。 至是請伯嫂奉神主同居, 大會叔仲子姪, 與同衣食, 歲時、朔望晨朝, 展告謁拜, 一遵《家禮》。 下逮婢僕, 參謁出入, 具有禮式, 別作訓辭, 諺譯敎訓, 閨門如官府。 會食一堂, 絃歌游處, 皆有禮節。 雖當世之號爲講禮, 致謹喪祭者, 至於家敎之禮, 皆莫能及。 每慟早孤, 事仲兄如事嚴父, 服勤不懈; 事庶母如事母, 溫凊定省。 俸祿亦不自專, 學者規以非禮則珥曰: "我自意見如此, 不足爲法也。" 立朝事上, 竭忠盡力, 雖退處田里, 惓惓不忘。 前後封章面奏, 切直懇惻, 其論治體, 規模高遠, 以挽回三代爲期。 見國勢衰靡, 灼知亂兆, 常以格君、正俗, 和一朝廷爲本領, 而以更弊政、救生民、增修武備爲急務, 反覆論列, 終始一意, 雖被小人、俗流排沮, 而不少恤。 上始加裁抑, 晩復契合, 寵任方隆, 而遽卒矣。 珥資稟甚高, 充養益厚, 淸明和粹, 坦易英果。 待人處物, 一出於誠信, 恩嫌愛惡, 一毫不以介意, 人無愚智, 無不歸心。 由其急於濟時, 旣退復進, 以保合士類爲己任, 盡言無私, 左右觸忌, 遂爲黨人所仇, 幾不免大禍。 其論薦人物, 必以學問、名檢爲主, 故飾僞偸合者, 後多背貳。 以此, 流俗之論, 指爲疎闊, 然珥沒後, 偏黨大勝, 克去一邊, 謂爲朝廷已正, 而中自睽乖, 四分五裂, 竟爲國家無窮之禍。 至于壬辰之亂, 封疆自潰, 國遂以傾, 凡珥平日預慮而先言者, 無不符驗。 其所建請便宜之策, 頗見追思, 採用國論, 民言皆誦: "其道德忠義之實, 有不可枉者矣。" 所著有《文集》及《聖學輯要》、《擊蒙要訣》、《小學集註改本》, 行于世。
- 【태백산사고본】 4책 18권 1장 A면【국편영인본】 25책 536면
- 【분류】인물(人物) / 왕실-사급(賜給) / 왕실-국왕(國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