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선조실록 175권, 선조 37년 6월 25일 갑진 7번째기사 1604년 명 만력(萬曆) 32년

대대적으로 공신을 봉하니 명칭은 호성 공신, 선무 공신, 청난 공신이다

공신(功臣)들의 명칭을 정하여 대대적으로 봉(封)했는데, 서울에서 의주까지 시종(始終) 거가(車駕)를 따른 사람들을 호성 공신(扈聖功臣)으로 하여 3등급으로 나누어 차등이 있게 명칭을 내렸고, 왜적을 친 제장(諸將)과 군사와 양곡을 주청(奏請)한 사신(使臣)들은 선무 공신(宣武功臣)으로 하여 3등급으로 나누어 차등이 있게 명칭을 내렸고, 이몽학(李夢鶴)을 토벌하여 평정한 사람은 청난 공신(淸難功臣)으로 하고 3등급으로 나누어 차등 있게 명칭을 내렸다.

호성 공신 1등은 이항복(李恒福)·정곤수(鄭崐壽)인데 충근정량갈성효절협력호성 공신(忠勤貞亮竭誠效節協力扈聖功臣)이라 하고, 2등은 신성군(信城君) 이후(李珝)·정원군(定遠君) 이부(李桴)·이원익(李元翼)·윤두수(尹斗壽)·심우승(沈友勝)·이호민(李好閔)·윤근수(尹根壽)·유성룡(柳成龍)·김응남(金應南)·이산보(李山甫)·유근(柳根)·이충원(李忠元)·홍진(洪進)·이괵(李𥕏)·유영경(柳永慶)·이유징(李幼澄)·박동량(朴東亮)·심대(沈岱)·박숭원(朴崇元)·정희번(鄭姬藩)·이광정(李光庭)·최흥원(崔興源)·심충겸(沈忠謙)·윤자신(尹自新)·한연(韓淵)·해풍군(海豊君) 이기(李耆)·순의군(順義君) 이경온(李景溫)·순령군(順寧君) 이경검(李景儉)·신잡(申磼)·안황(安滉)·구성(具宬)인데 충근정량효절협책호성 공신(忠勤貞亮効節協策扈聖功臣)이라 하고, 3등은 정탁(鄭琢)·이헌국(李憲國)·유희림(柳希霖)·이유중(李有中)·임발영(任發英)·기효복(奇孝福)·최응숙(崔應淑)·최빈(崔賓)·오정방(吳定邦)·이응순(李應順)·절신정(節愼正) 수곤(壽崐)·송강(宋康)·고희(高曦)·강인(姜絪)·내시(內侍) 김기문(金起文)·내시 최언준(崔彦俊)·내시 민희건(閔希蹇)·의관(醫官) 허준(許浚)·이연록(李延祿)·이마(理馬) 김응수(金應壽)·이마 오치운(吳致雲)·내시 김봉(金鳳)·내시 김양보(金良輔)·내시 안언봉(安彦鳳)·내시 박충경(朴忠敬)·내시 임우(林祐)·내시 김응창(金應昌)·내시 정한기(鄭漢璣)·내시 박춘성(朴春成)·내시 김예정(金禮楨)·내시 김수원(金秀源)·내시 신응서(申應瑞)·내시 신대용(辛大容)·내시 김새신(金璽信)·내시 조구수(趙龜壽)·의관(醫官) 이공기(李公沂)·내시 양자검(梁子儉)·내시 백응범(白應範)·내시 최윤영(崔潤榮)·내시 김준영(金俊榮)·내시 정대길(鄭大吉)·내시 김계한(金繼韓)·내시 박몽주(朴夢周)·이사공(李士恭)·유조생(柳肇生)·양순민(楊舜民)·경종지(慶宗智)·내수사 별좌(內需司別坐) 최세준(崔世俊)·사알(司謁) 홍택(洪澤)·이마 전용(全龍)·이마 이춘국(李春國)·이마 오연(吳連)·이마 이희령(李希齡)인데 충근정량호성 공신(忠勤貞亮扈聖功臣)이라 하여, 각각 작위(爵位)를 내리고 군(君)으로 봉했다. 모두 86인인데 내시(內侍)가 24명, 이마(理馬)가 6명, 의관이 2명이고, 별좌(別坐)와 사알(司謁)이 또 2명이다.

선무 공신(宣武功臣) 1등은 이순신(李舜臣)·권율(權慄)·원균(元均) 세 대장인데 효충장의적의협력선무 공신(效忠仗義迪毅協力宣武功臣)이라 하고, 2등은 신점(申點)·권응수(權應銖)·김시민(金時敏)·이정암(李廷馣)·이억기(李億祺)인데 효충장의협력선무 공신(效忠仗義協力宣武功臣)이라 하고, 3등은 정기원(鄭期遠)·권협(權悏)·유사원(柳思瑗)·고언백(高彦伯)·이광악(李光岳)·조경(趙儆)·권준(權俊)·이순신(李純信)·기효근(奇孝謹)·이운룡(李雲龍)인데 효충장의선무 공신(效忠仗義宣武功臣)이라 하였다. 각각 관작을 내리고 군(君)으로 봉했는데 모두 18인이다.

청난 공신(淸難功臣) 1등은 홍가신(洪可臣)인데 분충출기합모적의청난 공신(奮忠出氣合謀迪毅淸難功臣)이라 하고, 2등은 박명현(朴名賢)·최호(崔湖)인데 분충출기적의청난 공신(奮忠出氣迪毅淸難功臣)이라 하고, 3등은 신경행(辛景行)·임득의(林得義)인데 분충출기청난 공신(奮忠出氣淸難功臣)이라 하였다. 각각 관작을 내리고 군으로 봉했는데 모두 5인이다.

사신은 논한다. 국가가 임진년의 왜변을 만나 종사(宗社)가 전복되고 승여(乘輿)가 파천했으며 원릉(園陵)이 화를 입었고 생령들이 해독을 받았으니, 말하기에도 참혹한 일이다. 다행히 황은(皇恩)이 멀리 미침을 힘입어 팔도(八道)가 다시 새로워졌으니, 임금의 도리에 있어 논공 행상(論功行賞)하여 공로에 보답하는 특전을 그만둘 수 없을 것 같다. 그러나 호종신(扈從臣)을 80여 명이나 녹훈(錄勳)하였고 그 가운데 중관(中官)이 24명이며 미천한 복례(僕隷)들이 또 20여 명이나 되였으니, 또한 외람한 일이 아니겠는가. 이몽학(李夢鶴)의 난에 이르러서는 주군(州郡)에서 불러 모은 도적떼에 지나지 않는 것이니, 그것을 토평한 것이 어찌 공이 될 수 있는 일이겠는가. 단서철권(丹書鐵券)을 만든 것이 당초 어찌 이처럼 구차한 데에 쓰려고 한 것이겠는가. 아, 김응남(金應南)신묘년100) 에 부경(赴京)하였을 적에 정신(廷臣)들의 의논을 극력 변론하여 실제 상황을 들어 주문(奏聞)함으로써 마침내 황상(皇上)이 감림(監臨)하게 하였으니, 그의 공이 진실로 크다. 그리고 신점(申點)은 중국에 있다가 국가가 병화(兵火)를 당했다는 말을 듣고서 7일 동안이나 먹지도 않고 울면서 구원병을 보내줄 것을 주청했으니, 중국군이 나오게 된 것은 과연 누구의 공이겠는가. 정곤수(鄭崐壽)는 구원병을 주청하고 군량을 주청한 공로가 있고, 이호민(李好閔)은 사명(辭命)을 전담한 공로가 있고, 이순신·원균·권율은 혈전(血戰)한 공이 있었다. 그리고 당시 삼공(三公)은 조금이나마 대책을 결단한 일이 있었으니 부득이하다면 이들 몇 사람만 녹훈했어야 했다.


  • 【태백산사고본】 99책 175권 19장 B면【국편영인본】 24책 623면
  • 【분류】
    인사(人事) / 역사-사학(史學)

○大封功名, 以自京城至義州, 終始隨駕者, 爲扈聖功臣, 分爲三等, 錫號有差; 以征諸將及請兵糧使臣, 爲宣武功臣, 分三等, 錫號有差; 以討平李夢鶴, 爲淸難功臣, 分三等, 錫號有差。 其扈聖一等, 李恒福鄭崐壽, 爲忠勤貞亮竭誠效節協力扈聖功臣; 二等, 信城君 定遠君 李元翼尹斗壽沈友勝李好閔、尹根壽柳成龍金應南李山甫柳根李忠元洪進李𥕏柳永慶李幼澄朴東亮沈岱朴崇元鄭姬藩李光庭崔興源沈忠謙尹自新韓淵海豐君 順義君 景溫順寧君 景儉申磼安滉具宬, 爲忠勤貞亮効節協策扈聖功臣; 三等, 鄭琢李憲國柳希霖李有中任發英奇孝福崔應淑崔賓吳定邦李應順節愼正 壽崐 高曦姜綑〔姜絪〕 、內侍金起文、內侍崔彦俊、內侍閔希謇、醫官許浚李延祿、理馬金應壽、理馬吳致雲、內侍金鳳、內侍金郞輔、內侍安彦鳳、內侍朴忠敬、內侍林祐、內侍金應昌、內侍鄭漢璣、內侍朴春成、內侍金禮楨、內侍金秀源、內侍申應瑞、內侍辛大容、內侍金璽信、內侍趙龜、壽醫官李公沂、內侍梁子儉、內侍白應範、內侍崔潤榮內侍金俊榮、內侍鄭大吉、內侍金繼韓、內侍朴夢周李士恭柳肇生楊舜民慶宗智、內需司別坐崔世俊、司謁洪澤、理馬全龍、理馬李春國、理馬吳連、理馬李希齡, 爲忠勤貞亮扈聖功臣, 各賜爵封君, 凡八十六人, 而內侍二十四人, 理馬六人, 醫官二人, 別坐司謁又二人。 其宣武一等, 李舜臣權慄元均三大將, 爲効忠仗義迪毅協力宣武功臣; 二等, 申點權應銖金時敏李廷馣李億祺, 爲効忠仗義協力宣武功臣; 三等, 鄭期遠權悏柳思瑗高彦伯李光岳趙儆權俊李純信奇孝謹李雲龍, 爲効忠仗義宣武功臣, 各賜爵封君, 凡十八人。 其淸難一等, 洪可臣, 爲奮忠出氣合謀迪毅淸難功臣; 二等, 朴名賢崔湖, 爲奮忠出氣迪毅淸難功臣; 三等辛景行林得義, 爲奮忠出氣淸難功臣, 各賜爵封君, 凡五人。

【史臣曰: "國家値壬辰之變, 宗社顚覆, 乘輿播遷, 禍及園陵, 毒被生靈。 所可道也, 言之慘也。 幸賴皇恩遠暢, 八路重新, 則在人君賞功酬勞之典, 似不可已也, 而扈從之臣, 至錄八十餘人, 而中官二十四人, 僕隷之賤, 又(不)是二十餘人, 則不亦濫乎? 至於潢池弄兵之賊, 不過州郡嘯聚之徒也, 則其所以攻之者, 烏足爲功也? 丹書鐵券之設, 初豈若此之苟也? 嗚呼! 金應南之辛卯赴京也, 力辨庭臣之論, 以實狀奏聞, 終致皇上之監臨, 則其功固大矣。 申點在中原, 聞國家被兵, 七日不食, 號泣請兵, 則天兵之發, 果誰之功歟? 鄭崐壽有請兵請糧之功, 李好閔有專掌辭命之功, 李舜臣元均權慄, 有血戰之功。 其時三公, 稍有決策之事, 必不得已, 則錄此數人可也。"】


  • 【태백산사고본】 99책 175권 19장 B면【국편영인본】 24책 623면
  • 【분류】
    인사(人事) / 역사-사학(史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