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를 반대하는 중국 조정의 서관란의 상소
과도관(科道官) 등이 강화(講和)해서는 안 된다는 뜻으로 아뢰는 자가 많았다. 그러자 공과급사중(工科給事中) 서관란(徐觀瀾)이 상소를 올렸는데, 그 상소의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다.
"폐하(陛下)께서는 동정(東征)의 군대를 왜 일으켰던가를 생각해 보십시오. 왜노(倭奴)들이 우리 외번(外藩)을 짓밟아서가 아니었습니까? 그렇다면 왜노는 조선(朝鮮)의 원수이자 우리의 원수인 것입니다. 과거의 원수를 오늘에 와서 봉(封)한다면 이것은 원수를 봉하는 일입니다. 신이 보기에 조선은 안으로는 대국의 원조를 잃고 밖으로는 교활한 적병에게 몰려 있으면서 호소할 곳도 의지할 곳도 없게 되면 반드시 꺾이어 왜노들 수중에 들어가고 말 것입니다. 중국에 부속되었던 나라를 적에게 넘겨주어 교활한 원수인 적들에게 조선이 보태어지게 한다면 이는 적에게 칼을 빌려주고 도둑에게 식량을 대어주는 격입니다. 슬기로운 자라면 과연 그렇게 하겠습니까. 근래 조선에서 청병(請兵)해 온 상소문을 보면 왜노들이 현재 진취(進取)할 계책을 꾸미고 있다고 자세히 진술하고 있습니다. 총독 고양겸(顧養謙)은 왜노들이 이미 다 돌아갔다고 보고하였습니다만 어떤 사람의 말에 의하면 제독(提督) 이여송(李如松)은 벽제(碧蹄) 싸움에서 패배한 후로는 감히 싸움에 대하여 말을 못하고 있고, 경략(經略) 송응창(宋應昌)은 여송이 패배한 것에 징계되어 서둘러 강화를 논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리하여 시정(市井)의 무뢰배인 심유경(沈惟敬)을 내세워 왜영(倭營)을 오가면서 감언(甘言)으로 달래기도 하고 후리(厚利)로 꾀기도 하면서 날마다 왜노들의 표문(表文)만을 애걸하고 있는데 거기에 응창 역시 양겸의 협조를 얻어 힘을 합해 봉공(封貢)을 성공시키려 하고 있으므로 양겸 역시 사실대로 보고를 않고 있는 것입니다.
이는 동정(東征)에 임한 제신(諸臣)들이 저희들끼리 말을 꾸며 본병(本兵)을 속이고 있는 것이며 본병은 그들 꾀에 빠져 살피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모두 나라를 그르치기에 알맞을 뿐입니다. 거기에다 당사자들은 남의 말이 두려워서 봉공에 대하여 불편한 점을 말하는 자가 있으면 곧 따지기를 ‘당장 군대도 없고 군량도 없는 처지에 봉공 외에 달리 무슨 계책이 있다는 말인가. 만약 국가가 전성한 시기라면 내가 왜 군대와 군량이 없다는 구실로 대계(大計)를 망치겠는가.’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말을 하는 자들은 이땅에 왜노들이 오지 않았기에 그렇게 말하는 것입니다. 만약 왜노들이 당장 들이닥친다면 그때도 그들은 군대가 없다고 해명만 하겠습니까."
- 【태백산사고본】 29책 50권 28장 A면【국편영인본】 22책 258면
- 【분류】군사-통신(通信) / 외교-명(明) / 외교-왜(倭)
○科道官等, 多陳不可講和之意。 工科給事中徐觀瀾疏略曰:
陛下試思東征之師, 何爲而擧? 豈非倭奴之殘我外藩乎? 是倭奴者, 朝鮮之仇, 亦我之仇也。 昔以爲仇, 今從而封之, 是封其仇也。 臣且見朝鮮, 內失大邦之援, 外迫狡寇之兵, 控訴無門, 歸依無地, 必折而入于倭。 以中國素附之邦而資敵, 以仇敵之狡, 而益之朝鮮, 借寇兵而資盜糧, 智者果如是乎? 近觀朝鮮請兵之疏, 備述倭奴方爲進取之計。 總督顧養謙, 則報倭已盡歸, 說者謂提督李如松, 自碧蹄戰敗之後, 不敢言戰; 經略宋應昌, 懲如松之敗, 亟議講和。 于是遣市井無賴之沈惟敬, 往返倭營, 誘以甘言, 啗以厚利, 日惟倭奴之表是乞, 而應昌亦援意養謙, 欲協謀以成封貢, 故養謙亦不以實報。 是東征諸臣, 連類飾詞, 以欺本兵, 本兵墮于其計而不察, 適足以誤國而已矣。 當事者, 畏懼人言, 見語及封貢不便者, 輒難之曰: ‘目下無兵、無餉, 舍封貢之外, 策將安施?’ 夫國家當全盛之時, 何得藉口兵餉之乏, 以妨大計? 爲此語者, 不過倭奴之未至也。 有如倭奴長驅入犯, 斯時也, 將以無兵爲解乎?
- 【태백산사고본】 29책 50권 28장 A면【국편영인본】 22책 258면
- 【분류】군사-통신(通信) / 외교-명(明) / 외교-왜(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