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선조실록37권, 선조 26년 4월 4일 무자 3번째기사 1593년 명 만력(萬曆) 21년

윤근수가 의주에서 오자 인견하고 중국의 강화 논리, 송 경략의 학문을 논의하다

예조 판서 윤근수(尹根壽)의주에서 왔다. 상이 인견하고 이르기를,

"저들이 강화하려 하니 내 마음이 매우 안타깝다. 직접 가서 하소연하려고 하였으나 지금 서장(書狀)을 보니 냉랭하게 대할 것 같다고 하니 어떻게 하면 좋겠는가?"

하니, 윤근수가 아뢰기를,

"사체가 다른 장관(將官)과는 달리 계속 중문(重門)을 닫아걸고 매번 장 기고(張旗鼓)를 시켜 말을 전할 뿐이니 이 점이 답답합니다."

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중원(中原)의 일을 알 수는 없으나 풍신수길을 왕으로 봉하려고 한다니, 이렇게 한다면 누구인들 임금을 시해하지 않겠으며 누구인들 천하를 엿보지 않겠는가. 이는 그렇게 하도록 권장하는 것이다. 중국의 의논이 이와 같으니 한 때의 인심을 알 만하다."

하니, 근수가 아뢰기를,

"외국의 일은 반드시 자기들이 관여하지 않는다고 여겨서 이와 같이 하는 것입니다. 왕 통판(王通判)이 ‘중국은 모두를 평등하게 보아 똑같이 사랑한다. 따라서 양국의 일은 강화하는 것을 제일로 삼는다.’ 하였습니다."

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설령 외국이라 하더라도, 중국은 부모와 같고 우리 나라와 일본은 똑같이 외국으로 자식과 같은 것이다. 부모와 자식간의 관계로 말한다면 우리 나라는 효자이고 일본은 적자(賊子)이니, 부모가 자식에 대해서 자애롭게 한다 하지만 그렇다고 어찌 적자를 효자와 똑같이 사랑하는 이치가 있겠는가. 내가 이 때문에 저 사람은 학식이 밝지 못해서 더불어 이야기할 만한 자가 못 된다고 여기는 것이다. 우리 나라에 온 자들 중에 볼 만한 자가 없는데 오유충(吳惟忠)만이 조금 칭찬할 만한 자이다. 나는 그가 우리 나라 일에 힘쓴다고 해서 그를 칭찬하는 것이 아니다. 낙상지(駱尙志)동양정(佟養正)도 그 다음가는 인물이다."

하고, 또 이르기를,

"유정은 남쪽 사람인가?"

하니, 근수가 아뢰기를,

"산서(山西) 사람입니다. 이번에 사천(泗川)·귀주(貴州) 병사와 섬라국(暹羅國) 사람들이 모두 왔습니다. 유정의 사람됨은 가장 아담(雅淡)해서 조금도 남의 것을 범하지 않습니다."

하고, 또 아뢰기를,

"소신의 생각으로 헤아려 보면 강화는 분명히 이루지지 않을 것 같습니다."

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어째서 그러한가?"

하니, 근수가 아뢰기를,

"가등청정은 애걸하지 않으니 그의 뜻은 소서행장과 다릅니다. 송 시랑은 ‘저들의 우두머리 한 사람을 인질로 삼아 서울에 머물러 있게 하고 관백의 항서(降書)가 오기를 기다리겠다.’고 하는데, 만일 행장을 머물러 두게 한다면 그가 어찌 순순히 응하겠습니까."

하였다. 홍진(洪進)이 아뢰기를,

"오늘은 거가(車駕)가 잠시 이곳에 머물러 기다리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하니, 상이 이르기를,

"내가 답답하고 절박한 마음으로 경략을 찾아가 보려 하는데 그가 만일 문을 닫고 받아주지 않는다면 잘못은 그에게 있는 것이다."

하고, 근수에게 이르기를,

"경의 뜻은 어떠한가?"

하니, 아뢰기를,

"소신이 올린 장계에 저의 뜻을 모두 아뢰지 못하였기 때문에 지금 온 것입니다. 대개 경략은 조금이라도 자기의 뜻을 거스리기만 하면 성을 냅니다. 전하께서 지금 만나러 가신다면 그가 어떻게 할지를 모르겠습니다."

하였다. 홍진이 아뢰기를,

"소신의 생각으로는, 가령 나아가서 머무신다 하더라도 곧바로 가서는 안 될 것이요, 먼저 사람을 보내어 ‘우리 나라에 왔으니 곧바로 가서 인사해야 마땅하나 대인의 몸이 편치 않다는 말을 듣고 관원을 보내어 문안드리는 것이다.’라고 한 뒤에 가서 만나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하니, 상이 이르기를,

"이미 승지를 보내서 문안하게 하였으니, 우선 기다리라."

하고, 또 이르기를,

"그가 굳이 나를 만나지 않으려고 하는 것은 무슨 이유인가? 우리 나라가 불행하게도 이와 같은 사람을 만났으니, 이것은 인력(人力)으로 어떻게 할 도리가 없구나. 내가 돌아가는 것은 어렵지 않으나 여기까지 왔다가 곧바로 돌아가면 성의가 없는 것 같으니 의주(義州)로 가서 형세를 보아가며 하는 것이 어떻겠는가?"

하니, 근수가 아뢰기를,

"의주로 가시는 것은 옳지 않을 듯합니다. 만약 양책관(良策館)으로 진주하신다면 먼저 관원을 보내어 안부를 묻고 행차 여부를 결정하시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경략이 동쪽으로 향하여 가지 않겠는가?"

하니, 근수가 아뢰기를,

"알 수 없습니다. 제 생각으로는 약속한 날짜를 기다리는 것 같습니다."

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날짜란 강화하는 날을 뜻하는가? 8일에는 적들이 과연 철병하고 돌아가겠는가?"

하니, 근수가 아뢰기를,

"적이 물러가면 중국군으로 하여금 서울을 지키게 하고 부산포도 지키게 하겠다고 합니다."

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그렇다면 우리 나라의 피폐가 더욱 극심해질 것이다."

하고, 또 이르기를,

"강화의 일에 대해 중국 조정에 보고하였는가?"

하니, 홍진이 아뢰기를,

"자세히 알 수는 없으나 이미 조정에 통보했다고 합니다."

하였는데, 상이 이르기를,

"그렇다면 어렵다. 우리 나라는 중국에 있어서 울타리이고 우리 나라 백성들은 중원(中原)의 백성과 같은데, 어찌 자기의 울타리를 제거하고 자기의 백성을 죽이는데도 구원하지 않을 사람이 있겠는가?"

하였다. 근수가 아뢰기를,

"중국군의 남군(南軍)과 북군(北軍)은 서로 사이가 좋지 않습니다. 평양 전투에서 남군들이 먼저 성에 올라가 힘껏 싸웠는데 수급(首級)을 얻은 자는 모두 북군이었습니다. 그래서 남군이 분하고 억울해서 이와 같이 하는 것입니다."

하니, 상이 이르기를,

"제독이 권율(權慄)의 공을 빼앗고자 하여 ‘내가 화약 등의 물품을 보냈으므로 승리한 것이다.’고 한다니 그의 사람됨을 알 수 있다."

하고, 또 이르기를,

"의주의 백성들이 모두 도망하여 흩어졌다고 하는데 과연 그러한가?"

하니, 근수가 아뢰기를,

"모르겠습니다."

하고, 홍진이 아뢰기를,

"신이 보니, 마을이 모두 비어 있었고 행재시(行在時)에 쓰시던 빈청(賓廳) 등도 모두 훼손되어 있어서 지난번에 온 길도 기억할 수가 없었습니다."

하니, 상이 이르기를,

"그렇다면 그 말이 사실이구나."

하였다. 또 이르기를,

"경략 역시 글을 잘 하는가?"

하니, 근수가 아뢰기를,

"학문이 있다고 합니다."

하고, 홍진이 아뢰기를,

"그는 저에게 강관(講官)을 보내어 경학을 배워오도록 하라고 하였습니다."

하니, 상이 이르기를,

"강관을 보내어서 이단(異端)의 학문을 배워오라는 말인가? 그가 말하는 명덕(明德)·친민(親民) 등의 말을 보니 【친(親)을 신(新)으로 써야 한다는 것을 잘못이라고 하였다. 】 그의 학문을 알 수 있다. 비록 양명학(陽明學)089) 을 했다 하지만 용병술을 양명과 같이 한다면, 우리 나라에서는 그를 우러러 볼 것이다."

하고, 홍진에게 이르기를,

"내가 지금 중도에서 정지하고 있기는 하지만 양책관(良策館)에 가서 기다릴 수는 없는가? 내가 가고자 하는 뜻을 그는 반드시 알 것이다."

하였다. 홍진이 아뢰기를,

"마음이 절박하면 사기(辭氣)가 노여움을 격발시키게 될까 걱정되니, 온순하고 간절한 마음으로 그의 마음을 감동시키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하니, 상이 이르기를,

"전일 내가 별로 잘못한 말이 없었다."

하였다. 윤근수가 송 경략이 왕 통판에게 준 편지를 진계(進啓)하였는데, 그 편지에,

"조선의 군신이 고집스럽게 나의 말을 듣지 않으니 한탄할 노릇이다. 조선 국왕이 서쪽으로 온다고 하는데 설령 오더라도 나는 그를 만나지 않을 것이다. 그가 오는 것은 아마도 나의 일을 지연시키고 그릇되게 만드는 것은 물론, 나의 마음을 어지럽히려는 의도일 것이다. 이미 윤 판서를 보내어 오는 것을 막게 하였는데 국왕이 내 말을 들을지 모르겠다. 오랑캐들을 이해시키기 어려움이 이와 같다."

하였다. 상이 근수를 보고 이르기를,

"사람이 안타까우면 반드시 음성에 나타나고 분주한 법이다. 어찌 저들이 싫어한다고 해서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20책 37권 7장 B면【국편영인본】 21책 681면
  • 【분류】
    외교-명(明) / 외교-왜(倭) / 외교-동남아(東南亞) / 군사-전쟁(戰爭) / 왕실-행행(行幸) / 사상-유학(儒學)

  • [註 089]
    양명학(陽明學) : 명나라 때에 왕수인(王守仁)이 제창한 학설을 가리킴. 왕수인의 자(字)는 백안(伯安)으로 양명 선생이란 칭호를 받았으며, 여요(餘姚) 출신이기 때문에 요강 학파(姚江學派)라 칭하기도 함. 주자는 이(理)를 중시하고 궁리(窮理)를 강조한 반면, 왕양명은 지행합일설(知行合一說)을 주장하여 존심(存心)을 더 강조하였으며, 심즉리설(心卽理說)·치양지설(致良知說)을 말하였음.

○禮曹判書尹根壽, 來自義州。 上引見曰: "彼欲講和, 予甚悶迫。 欲親自往訴, 今見書狀, 似爲落落, 如何?" 尹根壽曰: "事體非如他將官, 長閉重門, 每令張旗皷傳言而已, 是可悶也。" 上曰: "中原之事, 不可知, 至於欲封秀吉爲王云, 如此則誰不爲弑君, 誰不窺覘天下? 是勸之也。 論議如是, 可知一時人心矣。" 根壽曰: "外國之事, 必以爲不關而如是矣。 王通判謂: ‘中國一視同仁。 兩國之事, 以和爲上。’" 上曰: "設使以外國言之, 中國父母也, 我國與日本, 同是外國也, 如子也。 以言其父母之於子, 則我國孝子也, 日本賊子也, 父母之於子, 雖止於慈, 豈有愛其賊子, 同於孝子之理乎? 予是以謂這人學識不明, 不足與言者也。 來此之人, 無可觀者, 但有吳惟忠, 稍可稱者。 予非以力於我國事, 而稱譽之也。 駱尙志佟養正, 亦其次也。" 上曰: "劉綎亦南人耶?" 根壽曰: "山西人也。 泗川貴州之兵及暹羅國人皆來。 之爲人, 最爲雅淡, 秋毫不犯。" 又曰: "以小臣之意度之, 和不可成明矣。" 上曰: "何爲其然耶?" 根壽曰: "淸正等不爲哀乞, 其志與行長各異。 侍郞謂: ‘質其巨酋一人, 留置王京, 待關白降書。’ 云, 其欲留置行長, 則彼豈肯從?" 洪進曰: "今日, 車駕姑留于此, 以待之如何?" 上曰: "予以悶迫之意, 往見經略, 彼若閉門不納, 曲在彼矣。" 謂根壽曰: "卿意如何?" 對曰: "小臣於狀啓中, 未盡志意, 故今自來詣。 大槪經略小拂其意, 輒生怒焉。 今者往見, 未知其何如也。" 曰: "小臣之意, 假使進駐, 未宜直往。 先使人問安曰: ‘來臨境上, 卽當詣拜, 而聞大人氣不平, 使人候之。’ 云云, 然後可往見。" 上曰: "旣遣承旨問安, 姑待之。" 上曰: "彼必欲不見予, 何也? 我國不幸得逢如此之人, 是亦不容人力處也。 予之還歸不難, 而但來此便還, 似爲不誠, 往義州觀勢爲之, 如何?" 根壽曰: "往義州, 似爲不可。 若進駐良策, 遣人問安, 以決行止, 如何?" 上曰: "經略不爲東向去耶?" 根壽曰: "不可知也。 意者, 似是待其日限也。" 上曰: "日限者, 講和之日耶?" 八日, 則賊可撤兵而歸耶?" 根壽曰: "賊去, 則當以天兵留守京城, 釜山浦亦當守之云。" 上曰: "若然, 則我國之弊滋甚矣。" 上曰: "講和之事, 告于朝廷耶?" 洪進曰: "不能詳知, 已通于朝廷云矣。" 上曰: "然則難矣。 我國於中朝藩籬也, 我國之民, 中原之赤子也, 烏有人撤其藩籬, 殺其赤子而不救也哉?" 根壽曰: "南北軍不相能矣。 平壤之役, 南人先登力戰, 而得首級者, 皆是北人。 故南軍憤鬱而如是也。" 上曰: "提督又欲奪權憟之功曰: ‘我送火藥等物, 以此致捷。’ 云, 可知其爲人也。" 上曰: "義州之民, 盡逃散云, 然耶?" 根壽曰: "不知也。" 曰: "臣見其籬落皆空, 行在時賓廳等處, 皆毁之, 疇昔行逕, 亦不能記。" 上曰: "然則其言是也。" 上曰: "經略亦能文耶?" 根壽曰: "有學問云矣。" 進曰: "彼謂我送講官, 來學云矣。" 上曰: "遣講官, 學異學而來耶? 其言明德、親民等語, 【以親作新爲非云云。】 可知其爲學也。 雖爲陽明之學, 用兵亦如陽明, 則我國當瞻仰之矣。" 上謂洪進曰: "今雖停止, 獨不可進良策館以待耶? 予所欲進之意, 彼必知之。" 進曰: "心有所切迫, 則辭氣之間, 恐激彼怒, 當以溫遜懇惻之心, 感動彼心, 如何?" 上曰: "前日, 別無悞了之言爾。" 尹根壽, 以宋經略王通判書進啓, 其辭曰: "朝鮮君臣, 固執不聽, 可嘆可嘆。 國王西來云, 雖來不與見。 蓋遲悞我機, 曲亂我心。 已遺尹判書阻住其來, 未知國王聽否? 裔夷之難解也如此哉!" 上見謂根壽曰: "人有悶迫之意, 則必發聲而奔走。 豈可只以渠之厭惡, 而不爲其所當爲也?"


  • 【태백산사고본】 20책 37권 7장 B면【국편영인본】 21책 681면
  • 【분류】
    외교-명(明) / 외교-왜(倭) / 외교-동남아(東南亞) / 군사-전쟁(戰爭) / 왕실-행행(行幸) / 사상-유학(儒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