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선조실록26권, 선조 25년 5월 4일 계해 2번째기사 1592년 명 만력(萬曆) 20년

승지 및 비변사 당상과 평양으로 옮기는 일을 논의하다

승지와 비변사 당상(備邊司堂上)을 인견하였다. 윤두수가 아뢰기를,

"중로(中路)에는 신할(申硈)·황윤용(黃允容)과 해주 목사(海州牧使) 등이 병사 1천 명을 이끌고 가게 되어 있으니 다시 대장(大將)을 보낼 필요는 없습니다. 오늘 대가(大鴐)가 보산관에 닿는다면 매우 편하실 것입니다."

하고, 이헌국(李憲國)은 아뢰기를,

"해가 바야흐로 길어지니, 안성(安城)을 지나 용천(龍泉)에서 자고 내일 황주(黃州)에서 자면 모레는 평양에 들어가실 수 있을 것입니다. 다만 길을 가기에만 힘쓰시고 음식을 드시지 않으신다면 옥체가 상할까 염려됩니다."

하고, 두수는 아뢰기를,

"난을 당하면 임금은 마땅히 진려(振勵)해야 하고 신하는 마땅히 사직과 함께 죽어야 합니다. 성상께서 요동(遼東)으로 건너가실 계획을 세우지 않으신다면 신들이 어찌 감히 치첩(雉堞)009) 을 지키지 않겠습니까. 신들이 천안(天顔)이 초췌함을 보니 이루 말할 수 없이 걱정스럽습니다."

하니, 상이 이르기를,

"여기서 용천이 얼마나 남았는가?"

하였다. 노직이 아뢰기를,

"저물녘에 들어가게 된다면 인마(人馬)가 다 굶게 됩니다."

하니, 상이 이르기를,

"가다가 보산(寶山)에서 묵자."

하였다. 두수가 아뢰기를,

"마땅히 황해 감사에게 물어봐야 합니다."

하고, 김응남은 아뢰기를,

"지나는 곳마다 백성들이 모두 눈물짓는 것을 보니 인심을 알 수 있습니다."

하고, 두수는 아뢰기를,

"고려현종(顯宗)은 거란의 침입을 받아 나주(羅州)로 파천하였으나 결국은 중흥을 이룩했습니다. 도성(都城)은 잃었지만 평양은 지킬 수 있습니다."

하고, 헌국은 아뢰기를,

"밤이지만 용천(龍泉)까지 가지 않을 수 없습니다."

하였다. 두수가 또 아뢰기를,

"용천까지 가면 사람과 말이 다 피곤하여 변이 있게 될까 염려됩니다."

하고, 정창연(鄭昌衍)은 아뢰기를,

"사람과 말이 지친다면 곤란합니다."

하니, 상이 이르기를,

"한갓 의논들만 할 것인가?"

하였다. 홍인상(洪麟祥)이 아뢰기를,

"황해도 인심이 흐트러지지 않은 것은 수령이 감사의 명을 잘 따랐기 때문입니다. 감사가 잘한 것이니 은전(恩典)이 없을 수 없습니다."

하였다. 상이 하문하기를,

"대동강 상류에 다른 길이 있는가?"

하니, 두수가 아뢰기를,

"삼등(三登)으로 가는 길이 있습니다."

하고, 이충원(李忠元)은 아뢰기를,

"평안도는 험한 곳이 세 군데 있는데 성천(成川)·평양·영변이 그곳입니다."

하고, 두수는 아뢰기를,

"우리가 한 발짝 물러서면 적들은 한 발짝 따라오기 마련인데, 신할(申硈)이 나가 싸우지 않고 그냥 왔으니 매우 놀라운 일입니다."

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그들로 하여금 오지 못하게 하라. 경들은 아직 경성 소식을 못 들었는가?"

하니, 충원이 아뢰기를,

"적병이 동대문으로 들어갔다고 들었습니다."

하고, 두수는 아뢰기를,

"역로(驛路)가 단절되었으니 사람을 보내어 탐지해 오게 해야 합니다."

하였다. 상이 하문하기를,

"적병이 얼마나 되던가? 절반은 우리 나라 사람이라고 하던데 사실인가?"

하니, 두수가 아뢰기를,

"그 말의 사실 여부는 모르겠습니다. 내시위(內侍衛)나 사복(司僕)은 오로지 견마(牽馬)에 관한 일을 관리하게 되어 있는데 다들 도망치고 단지 이마(理馬)010) 4인만 남았습니다. 경기 감사를 시켜 잡아 보내게 하소서."

하였다. 상이 이르기를,

"황해 감사 조인득(趙仁得)은 가자(加資)하고, 이마(理馬) 김응수(金應壽)·오치운(吳致雲)은 동반(東班)에 서용하라."

하니, 충원이 아뢰기를,

"어찌 잡인(雜人)을 동반에 서용할 수 있습니까. 아무리 어지러운 때이지만 명기(名器)부터 먼저 더럽힐 수는 없습니다."

하였는데, 상이 이르기를,

"승지의 말이 옳다. 그러나 지금은 상규를 지킬 수만은 없다."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13책 26권 5장 B면【국편영인본】 21책 486면
  • 【분류】
    외교-왜(倭) / 군사(軍事) / 왕실-행행(行幸) / 인사-임면(任免) / 인사-관리(管理)

  • [註 009]
    치첩(雉堞) : 성가퀴.
  • [註 010]
    이마(理馬) : 사복시의 정6품 잡직.

○引見承旨及備邊司堂上。 尹斗壽曰: "中路則申硈黃允容, 海州牧使等, 皆率千兵以往, 不必更遣大將矣。 今日大駕若次寶山館, 則甚便矣。" 李憲國曰: "日晷方長, 過安城, 宿龍泉, 明日宿黃州, 又明日當入平壤矣。 但務爲前進, 不爲進膳, 則恐傷玉體。" 斗壽曰: "人君所當振勵, 臨亂則臣子當同死社稷。 自上若不爲渡之計, 臣等敢不各守雉堞乎? 臣等仰瞻天顔憔悴, 不勝憂懼。" 上曰: "去龍泉幾里?" 盧稷曰: "若暮入, 則人馬皆不得飮食矣。" 上曰: "往宿寶山。" 斗壽曰: "宜問于黃海監司。" 金應南曰: "所過民, 皆涕泣, 人心可見。" 斗壽曰: "高麗 顯宗, 遭丹兵, 播遷羅州, 而卒致中興。 都城雖失守, 平壤則可守矣。" 憲國曰: "雖夜, 不可不往龍泉。" 斗壽曰: "若往龍泉, 人馬疲困, 恐或有變。" 鄭昌衍曰: "人馬疲窘, 則難矣。" 上曰: "徒爲議論而已乎?" 洪麟祥曰: "黃海道人心無潰散之意, 守令用命監司之賢也。 恩典不可無。" 上曰: "大同江上流, 有他路乎?" 斗壽曰: "有三登之路。" 李忠元曰: "平安道有三處據險, 成川平壤寧邊是也。" 斗壽曰: "我退一步, 則賊進一步, 申硈不爲進戰而來, 事可駭也。" 上曰: "使之不來矣。 卿等未聞京城消息乎?" 忠元曰: "聞賊兵入自東大門。" 斗壽曰: "驛路斷絶, 宜差人探聽。" 上曰: "賊兵幾何? 半是我國人云, 然耶?" 斗壽曰: "此言, 不知虛實矣。 內侍衛司僕, 專管牽馬, 而皆逃去, 只有理馬四人。 令京畿監司捕送。" 上曰: "黃海監司趙仁得加資, 理馬金應壽吳致雲, 東班敍用。" 忠元曰: "豈可使雜人, 混於東班? 雖在搶攘, 不可先汚名器。" 上曰: "承旨言是矣。 然不可守常規。"


  • 【태백산사고본】 13책 26권 5장 B면【국편영인본】 21책 486면
  • 【분류】
    외교-왜(倭) / 군사(軍事) / 왕실-행행(行幸) / 인사-임면(任免) / 인사-관리(管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