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대권별
태조-철종
고종-순종
상이 우상(右相) 박순(朴淳)을 시켜 복상(卜相)하게 하였는데, 박순이 이탁(李鐸)·노수신(盧守愼)을 주의(注擬)하니, 상이 노수신에 낙점(落點)하였다. 그래서 박순을 좌의정(左議政)으로, 노수신을 우의정(右議政)으로, 정유길(鄭維吉)을 이조 판서(吏曹判書)로, 윤복(尹復)을 집의(執義)로, 신점(申點)을 사간(司諫)으로 삼았다.
○上令右相朴淳卜相。 朴淳以李鐸、盧守愼爲擬。 上落點于守愼。 於是朴淳爲左議政, 盧守愼爲右議政, 鄭惟吉爲吏曹判書, 尹復爲執義, 申點爲司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