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명종실록28권, 명종 17년 8월 10일 임술 2번째기사 1562년 명 가정(嘉靖) 41년

평안도 관찰사 이윤경의 졸기

평안도 관찰사 이윤경(李潤慶)이 죽었다. 사람됨이 강유(剛柔)를 겸하고 덕행(德行)과 기국(器局)이 숙성(夙成)하였으며, 또 청렴 검소한 행실과 선을 좋아하는 마음이 있었다. 아우 이준경과 이웃하여 살면서 우애를 극진히 하였다. 을묘년032) 전주 부윤(全州府尹)으로 있을 때 영암(靈巖)에 외적이 들어왔다는 말을 듣고 즉시 달려가 싸웠다. 이때 이준경이 원수(元帥)가 되었는데 통제(統制)하기 어렵다고 여겨 영암에서 나오게 하였으나 ‘국가의 후한 은총을 입었으니 죽음으로 보답해야 한다.’고 하고 끝내 기이한 계책을 내어 많은 적의 목을 베었으므로 성이 완전할 수 있었다.


  • 【태백산사고본】 17책 28권 32장 B면【국편영인본】 20책 626면
  • 【분류】
    인물(人物)

平安道觀察使李潤慶卒。 爲人剛柔兼濟, 德器夙成, 且有淸儉之行, 好善之心。 與弟浚慶, 比屋同居, 克盡友愛。 乙卯之歲, 尹于全州, 而倭寇 靈巖, 聞變赴敵。 浚慶時爲元帥, 以節制爲難, 使之出來, 答以 "受國厚恩, 當以死報。" 竟出奇計, 斬馘甚多, 城賴以完。


  • 【태백산사고본】 17책 28권 32장 B면【국편영인본】 20책 626면
  • 【분류】
    인물(人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