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명종실록28권, 명종 17년 8월 10일 임술 1번째기사 1562년 명 가정(嘉靖) 41년

사인이 이충작과 손여성에게 참상직을 제수하기를 청하니 윤허하다

사인(舍人)이 삼공(三公)의 뜻으로 아뢰기를,

"승문원 저작 이충작(李忠綽)은 학문이 해박하고 조행이 특이하여 일찍이 상중(喪中)에 있을 때 너무 슬퍼하여 시력(視力)이 상하기까지 하였으며 【이충작이 상중에 있을 적에 매우 슬퍼하였고 그의 행실이 소탈하여 꾸밈이 없었으니 그 진실함을 칭찬할 만하다.】 , 권지 부정자(權知副正字) 손여성(孫汝誠) 【그의 아비가 병을 앓을 적에 똥이 단가 쓴가 맛을 보고, 목욕하고서 하늘에 아비의 병을 자기가 대신 앓도록 해달라고 비니 아비의 병이 나았다.】 도 효행이 상당히 알려져 이미 본도 【청홍도.】 의 계본이 있었으니, 이들에게 참상직(參上職)을 특별히 제수하시어 퇴폐된 풍속을 격려하소서."

하니, 답하기를,

"아뢴 뜻이 지당하니 아뢴 대로 하라."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17책 28권 32장 B면【국편영인본】 20책 626면
  • 【분류】
    인사-임면(任免)

    ○壬戌/舍人以三公意啓曰: "承文院著作李忠綽, 學問該博, 操行卓異。 嘗居憂過哀, 至於損明, 【忠綽執喪, 甚哀慼, 其行已踈淡, 不自修飾, 而信實可稱。】 權知副正字孫汝誠, 【其父患病, 嘗糞甘苦, 沐浴禱天, 願以身代, 父病果差。】 孝行亦頗著聞, 已有本道 【淸洪道。】 啓本。 請竝特授參上職, 激礪頹俗。" 答曰: "啓意至當。 如啓。"


    • 【태백산사고본】 17책 28권 32장 B면【국편영인본】 20책 626면
    • 【분류】
      인사-임면(任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