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성종실록275권, 성종 24년 3월 22일 정해 1번째기사 1493년 명 홍치(弘治) 6년

병조에서 의주와 칠참의 방비에 대해 아뢰다

병조(兵曹)에서 아뢰기를,

"의주(義州)가 적도(赤島)에서는 서강(西江)과 압록강(鴨綠江)이 교류(交流)하는 안에 있고, 또 적강(狄江)은 도적들이 다니는 길을 가로질러 흐르고 있으므로, 도적이 쉽게 건널 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읍성(邑城)과는 겨우 강(江) 하나를 사이에 두고 있으므로 갔다 오기가 편리합니다. 이보다 앞서서는 백성들로 하여금 농사를 짓게 하고 세금을 거두어서 공사(公私)간에 이익을 취하였는데, 지금은 수호(守護)하기를 꺼려서 농사짓는 것을 허락하지 않고 있으니, 호조(戶曹)로 하여금 편부(便否)를 의논하여 아뢰게 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의주는 북쪽으로 야인(野人)과 인접(隣接)하고 서쪽으로 중국[上國]과 연결되어 한 지역의 큰 진(鎭)이 되는 한편, 중국 사신이 왕래(往來)하는 곳입니다. 그러므로 진실로 산하(山河)에 웅거(雄據)하여 성곽(城郭)을 넓게 쌓아서 형세(形勢)를 장대(壯大)하게 해야 할 것인데, 현재의 읍성(邑城)은 낮고 협소하니 만약에 예기치 않던 변란(變亂)이라도 생긴다면 수만(數萬)의 병갑(兵甲)을 어떻게 수용할 수 있겠습니까? 그 읍성을 증수(增修)하고, 또 의순관(義順館) 이하 장성(長城)을 쌓는 것의 편부에 대해 관찰사(觀察使)로 하여금 살펴보고 결정하여 계문(啓聞)케 한 다음에 다시 의논하여 시행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하고, 또 아뢰기를,

"황해도(黃海道)의 칠참(七站)은 경계가 서쪽 변경과 연하여 있으므로 군기(軍機)의 비보(飛報)라든가 사신(使臣)의 왕래(往來)가 끊임없이 계속되는데, 금교역(金郊驛)이 더욱 조잔(凋殘)하게 되었으므로, 소복(蘇復)할 사이 정병(正兵) 20호(戶)를 1년 동안 번갈아가며 조역(助役)시키는데, 이는 특히 한때의 임시 방법으로 마련된 것이지 원대(遠大)한 계획으로 마련된 법은 아닙니다. 그런데 연로(沿路)의 각참(各站)에서는 그것을 예로 삼아 군액(軍額)을 줄이고 있으니, 이는 매우 옳지 못한 일입니다. 지금 바야흐로 군적(軍籍)을 고치고 있으니, 그 수에 차지 않는 일수(日守)248) ·조역(助役)은 현재의 한역인(閑役人)에 더하여 우선적으로 충정(充定)하시고, 그 제장(諸將)과 군관(軍官)의 행차(行次)에 지공(支供)하는 쌀과 콩을 해당 고을의 창고의 곡식으로 주도록 하는 일을 호조(戶曹)로 하여금 상의하여 시행하게 하소서."

하니, 전교하기를,

"앞서 의논한 재상(宰相)에게 다시 의논하게 하라."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43책 275권 17장 A면【국편영인본】 12책 288면
  • 【분류】
    군사-군정(軍政) / 군사-관방(關防) / 군사-군역(軍役) / 군사-병참(兵站) / 교통-육운(陸運) / 외교-명(明) / 외교-야(野) / 재정-창고(倉庫)

  • [註 248]
    일수(日守) : 조선조 때 지방 관청에 딸려 천한 일을 하던 하인들. 일수 양반(日守兩班)이라고도 부름.

○丁亥/兵曹啓曰: "義州 於赤島西江鴨江交流之內, 又有狄江截流於賊路, 賊未易渡, 且與邑城纔隔一江, 往返便易。 前此令民耕穫收稅, 公私取利, 今憚於守護, 而勿許起耕, 令戶曹議便否以啓何如? 義州北接野人, 西連上國, 爲一方巨鎭, 而中朝使臣往來之處, 固宜雄據山河, 廣築城郭, 以壯形勢, 而邑城低微窄狹, 脫有不虞之變, 數萬兵甲, 何以用之? 其增修邑城, 又築義順館以下長城便否, 令觀察使審定啓聞後, 更議施行何如?" 又啓曰: "黃海道七站, 境連西鄙, 軍機飛報及使臣往來, 絡繹不絶, 而金郊驛尤爲凋殘, 故蘇復間, 正兵二十戶, 一年相遞助役, 此特一時權宜, 非經遠之法, 而沿路各站, 借此爲例, 以損軍額, 此甚未便。 今方改軍籍, 其未充數日守助役, 以加現閑役人爲先充定, 其諸將軍官之行, 支供米豆, 以所在邑倉穀題給事, 令戶曹商議施行。" 傳曰: "更示前議宰相。"


  • 【태백산사고본】 43책 275권 17장 A면【국편영인본】 12책 288면
  • 【분류】
    군사-군정(軍政) / 군사-관방(關防) / 군사-군역(軍役) / 군사-병참(兵站) / 교통-육운(陸運) / 외교-명(明) / 외교-야(野) / 재정-창고(倉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