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성종실록87권, 성종 8년 12월 7일 경자 5번째기사 1477년 명 성화(成化) 13년

휴흠·유실된 물건 등을 그 사로 하여금 검거·징납토록 호조·한성부에 전지하다

호조와 한성부에 전지(傳旨)하기를,

"의정부(議政府)와 충훈부(忠勳府)·의빈부(儀賓府)·돈녕부(敦寧府)·중추부(中樞府)·의금부(義禁府)·육조(六曹)·도총부(都摠府)·사헌부(司憲府)·충익부(忠翊府)·승정원(承政院)·장례원(掌隷院)·사간원(司諫院)·성균관(成均館)·봉상시(奉常寺)·종부시(宗簿寺)·상의원(尙衣院)·사복시(司僕寺)·군기시(軍器寺)·내자시(內資寺)·내섬시(內贍寺)·사도시(司䆃寺)·예빈시(禮賓寺)·사섬시(司贍寺)·군자감(軍資監)·제용감(濟用監)·선공감(繕工監)·사재감(司宰監)·풍저창(豐儲倉)·광흥창(廣興倉)·장악원(長樂院)·내수사(內需司)·소격서(昭格署)·평시서(平市署)·의영고(義盈庫)·장흥고(長興庫)·장원서(掌苑署)·전생서(典牲署)·사축서(司畜署)·조지서(造紙署)·와서(瓦署)·귀후서(歸厚署), 이상의 제사(諸司)에는 이졸(吏卒)과 노비가 있으니, 금후로는 모든 관사(官司) 가운데에서 휴흠(虧欠)1133) ·유실(遺失)된 물건 중 금은(金銀)·유동 기명(鍮銅器皿)과 포백(布帛) 10필 이상, 미멸(米𥸴) 10석 이상으로, 본사(本司)에서 징수하기 어려운 것 외에는 모두 그 사(司)로 하여금 검거(檢擧)하여 징납(徵納)하게 하고, 관리가 체대(遞代)할 때에 해유(解由)1134) 에 아울러 기록하게 하며, 그 나머지 경연청(經筵廳)과 예문관(藝文館)·상서원(尙瑞院)·춘추관(春秋館)·홍문관(弘文館)·승문원(承文院)·통례원(通禮院)·훈련원(訓鍊院)·사옹원(司饔院)·내의원(內醫院)·관상감(觀象監)·전의감(典醫監)·시강원(侍講院)·사역원(司譯院)·종학(宗學)·전설사(典設司)·전함사(典艦司)·전연사(典涓司)·종묘서(宗廟署)·사직서(社稷署)·전교서(典校署)·사온서(司醞署)·사포서(司圃署)·혜민서(惠民署)·도화서(圖畫署)·전옥서(典獄署)·활인서(活人署)·사학(四學)·오부(五部)·문소전(文昭殿)·연은전(延恩殿)·소경전(昭敬殿), 이상의 제사(諸司)는 이졸(吏卒)이 없고, 노비도 또한 적으니, 자질구레한 잡물(雜物)외의 모든 징채(徵債)는 한성부로 하여금 옛 관례에 따라 강제로 징수하게 하라."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13책 87권 4장 A면【국편영인본】 9책 535면
  • 【분류】
    사법-탄핵(彈劾) / 행정-중앙행정(中央行政) / 인사-관리(管理)

  • [註 1133]
    휴흠(虧欠) : 정한 수에서 모자람이 생김.
  • [註 1134]
    해유(解由) : 관원들이 전직(轉職)할 때 재직중의 회계·물품 출납에 대한 책임을 해제받던 일. 인수 인계가 끝나고 호조나 병조에 보고하여, 이상이 없으면 이조에 통지하여 해유 문자(解由文字)를 발급하였음.

○傳旨戶曹、漢城府曰: "議政府、忠勳府、儀賓府、敦寧府、中樞府、義禁府、六曹、都摠府、司憲府、忠翊府、承政院、掌隷院、司諫院、成均館、奉常寺、宗簿寺、尙衣院、司僕寺、軍器寺、內資寺、內贍寺、司䆃寺、禮賓寺、司贍寺、軍資監、濟用監、繕工監、司宰監、豐儲倉、廣興倉、掌樂院、內需司、昭格署、平市署、義盈庫、長興庫、掌苑署、典牲署、司畜署、造紙署、瓦署、歸厚署, 已上諸司有吏卒奴婢, 今後凡司中虧欠遺失之物, 金銀鍮銅器皿、布帛十匹以上、米𥸴十碩以上, 本司難徵外, 竝令其司檢擧徵納, 官吏遞代時, 解由幷錄, 其餘經筵廳、藝文館、尙瑞院、春秋館、弘文館、承文院、通禮院、訓鍊院、司饔院、內醫院、觀象監、典醫監、侍講院、司譯院、宗學、典設司、典艦司、典涓司、宗廟署、社稷署、典校署、司醞署、司圃署、惠民署、圖畫署、典獄署、活人署、四學五部、文昭殿、延恩殿、昭敬殿, 已上諸司無吏卒, 奴婢亦少, 細瑣雜物外凡徵債, 令漢城府依舊生徵。"


  • 【태백산사고본】 13책 87권 4장 A면【국편영인본】 9책 535면
  • 【분류】
    사법-탄핵(彈劾) / 행정-중앙행정(中央行政) / 인사-관리(管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