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필상·허종·서거정·정효상·한치인 등에게 관작을 제수하다
윤필상(尹弼商)을 숭록 대부(崇祿大夫) 의정부 우찬성(議政府右贊成)으로, 허종(許琮)을 숭정 대부(崇政大夫) 양천군(陽川君)으로, 서거정(徐居正)을 숭정 대부(崇政大夫) 행 사헌부 대사헌(行司憲府大司憲)으로, 정효상(鄭孝常)을 정헌 대부(正憲大夫) 계림군(雞林君) 겸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로, 한치인(韓致仁)을 자헌 대부(資憲大夫)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로, 한치의(韓致義)을 자헌 대부(資憲大夫) 병조 판서(兵曹判書)로, 이숭원(李崇元)을 가선 대부(嘉善大夫) 행 승정원 도승지(行承政院都承旨)로, 신정(申瀞)을 통정 대부(通政大夫) 좌승지(左承旨)로, 유지(柳輊)를 통정 대부(通政大夫) 우승지(右承旨)로, 심한(沈澣)을 통정 대부(通政大夫) 좌부승지(左副承旨)로, 유권(柳睠)을 통정 대부(通政大夫) 우부승지(右副承旨)로, 김유(金紐)를 통정 대부(通政大夫) 동부승지(同副承旨)로, 정자원(鄭自源)을 통정 대부(通政大夫) 장례원 판결사(掌隸院判決事)로, 이극기(李克基)를 통정 대부(通政大夫) 예문관 부제학(藝文館副提學)으로, 이육(李陸)을 통정 대부(通政大夫)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으로, 현석규(玄碩圭)를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사헌부 집의(行司憲府執義)로, 박숭질(朴崇質)을 통훈 대부(通訓大夫) 행 사간원 사간(行司諫院司諫)으로, 김자정(金自貞)을 중직 대부(中直大夫) 행 사헌부 장령(行司憲府掌令)으로, 안호(安瑚)를 조봉 대부(朝奉大夫) 행 사헌부 지평(行司憲府持平)으로, 신중거(辛仲琚)를 봉직랑(奉直郞) 수 사헌부 지평(守司憲府持平)으로, 진지(陳祉)를 중훈 대부(中訓大夫) 행 사간원 정언(行司諫院正言)으로 삼았다.
- 【태백산사고본】 5책 25권 4장 A면【국편영인본】 8책 698면
- 【분류】인사-임면(任免)
○以尹弼商爲崇祿議政府右贊成, 許琮崇政陽川君, 徐居正崇政行司憲府大司憲, 鄭孝常正憲雞林君兼慶尙道觀察使, 韓致仁資憲知敦寧府事, 韓致義資憲兵曹判書, 李崇元嘉善行承政院都承旨, 申瀞通政左承旨, 柳輊通政右承旨, 沈澣通政左副承旨, 柳睠通政右副承旨, 金紐通政同副承旨, 鄭自源通政掌隷院判決事, 李克基通政藝文館副提學, 李陸通政成均館大司成, 玄碩圭通訓行司憲府執義, 朴崇質通訓行司諫院司諫, 金自貞中直行司憲府掌令, 安瑚朝奉行司憲府持平, 辛仲琚奉直守司憲府持平, 陳祉中訓行司諫院正言。
- 【태백산사고본】 5책 25권 4장 A면【국편영인본】 8책 698면
- 【분류】인사-임면(任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