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성종실록10권, 성종 2년 6월 30일 신미 1번째기사 1471년 명 성화(成化) 7년

한치형·이서장·박건·손순효·김수녕·성준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한치형(韓致亨)을 가정 대부(嘉靖大夫) 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으로, 이서장(李恕長)을 가선 대부(嘉善大夫)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으로, 박건(朴楗)을 가선 대부(嘉善大夫)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으로, 손순효(孫舜孝)를 통정 대부(通政大夫) 형조 참의(刑曹參議)로, 김수녕(金壽寧)을 가정 대부(嘉靖大夫) 사간원 대사간(司諫院大司諫)으로, 성준(成俊)을 절충 장군(折衝將軍) 행 대호군(行大護軍)으로, 이육(李陸)을 절충 장군(折衝將軍) 행 대호군(行大護軍)으로, 정은(鄭垠)을 통훈 대부(通訓大夫)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로, 김영견(金永堅)을 통훈 대부(通訓大夫)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으로, 박숭질(朴崇質)을 통훈 대부(通訓大夫)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으로, 홍귀달(洪貴達)을 통훈 대부(通訓大夫)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으로, 김수손(金首孫)을 중훈 대부(中訓大夫)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으로, 김이정(金利貞)을 조산 대부(朝散大夫)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으로, 최한정(崔漢禎)을 중훈 대부(中訓大夫)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으로, 남윤종(南潤宗)을 통선랑(通善郞)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으로, 박형장(朴亨長)을 통덕랑(通德郞)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으로, 이철견(李鐵堅)을 자헌 대부(資憲大夫) 경기 관찰사(京畿觀察使)로, 오백창(吳伯昌)을 자헌 대부(資憲大夫)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로, 김양경(金良璥)을 가선 대부(嘉善大夫)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로 삼았다.


  • 【태백산사고본】 3책 10권 47장 B면【국편영인본】 8책 586면
  • 【분류】
    인사-관리(管理)

    ○辛未/以韓致亨爲嘉靖司憲府大司憲, 李恕長嘉善漢城府左尹, 朴楗嘉善漢城府右尹, 孫舜孝通政刑曹參議, 金壽寧嘉靖司諫院大司諫, 成俊折衝行大護軍, 李陸折衝行大護軍, 鄭垠通訓司憲府執義, 金永堅通訓司諫院司諫, 朴崇質通訓司憲府掌令, 洪貴達通訓司憲府掌令, 金首孫中訓司憲府持平, 金利貞朝散司憲府持平, 崔漢禎中訓司諫院獻納, 南潤宗通善司諫院正言, 朴亨長通德司諫院正言, 李鐵堅資憲京畿觀察使, 吳伯昌資憲慶尙道觀察使, 金良璥嘉善全羅道觀察使。


    • 【태백산사고본】 3책 10권 47장 B면【국편영인본】 8책 586면
    • 【분류】
      인사-관리(管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