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예종실록5권, 예종 1년 4월 22일 을해 7번째기사 1469년 명 성화(成化) 5년

평안 동서도 절도사에게 변진의 방어를 배가하여 조치하도록 유시하다

평안 동서도 절도사(平安東西道節度使)에게 유시(諭示)하기를,

"함길도(咸吉道)고령진(高嶺鎭) 성밑에 사는 알타리(斡朶里)가 와서 고(告)하기를, ‘올량합(兀良哈)이 군사 7백여 명을 모아 이번 4월에 중국[中朝]을 침구(侵寇)하려 하고, 지나는 길에 군사가 적은 곳도 또한 덮치려 한다.’고 하니, 경은 이런 뜻을 알고 변진(邊鎭)의 방어를 배가(倍加)하여 조치하라. 또 사신이 회정(回程)할 때에 초략(抄掠)할까 두려우니, 정예병(精銳兵)을 더 뽑아 혹 차질(蹉跌)이 없도록 하되, 그 수효는 전례(前例)에 의거하여 60명을 초정(抄定)하게 하라."

하였다. 또 유시하기를,

"사은사(謝恩使) 홍윤성(洪允成)의 행차에도 영래군(迎來軍)을 상정(詳定)한 수에 의거하여 뽑아 보내되, 사신이 돌아갈 때의 호송군(護送軍)도 또한 홍윤성이 돌아오기를 기다려서 보호해 오게 하라."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2책 5권 11장 B면【국편영인본】 8책 361면
  • 【분류】
    군사-군정(軍政) / 외교-야(野)

    ○諭平安東西道節度使曰: "咸吉道 高嶺鎭城底住斡朶里來告: ‘兀良哈聚兵七百餘, 今四月欲寇中朝, 所經路間兵少處, 亦欲作耗。’ 卿知此意, 邊鎭防禦, 倍加措置。 又於使臣回程時, 恐其抄掠, 益選精銳, 毋或蹉跌, 其數則依前六十名抄定。" 又諭曰: "謝恩使洪允成之行, 迎來軍依詳定數抄送, 使臣之還護送軍, 亦待允成還護來。"


    • 【태백산사고본】 2책 5권 11장 B면【국편영인본】 8책 361면
    • 【분류】
      군사-군정(軍政) / 외교-야(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