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예종실록4권, 예종 1년 3월 17일 신축 1번째기사 1469년 명 성화(成化) 5년

환관 신운을 보내 최안 등에게 별하정 및 모마장 등을 내려 주다

환관(宦官) 신운(申雲)을 보내어 최안(崔安) 등에게 별하정(別下程) 및 모마장(毛馬粧)·유안롱(油鞍籠) 1부(部), 궁전모(弓箭帽) 2부, 유지석(油紙席) 3장, 우구(雨具) 1, 선자(扇子) 20파(把), 유롱(油籠) 5, 모불자(毛拂子) 3을 주고, 두목에게도 각각 선자 5파, 유지석 1장을 주고, 인하여 말하기를,

"전하께서 요사이 친히 위로하고자 하였으나, 마침 기체(氣體)가 편찮으셔서 실행하지 못하고 신을 보내어 적은 물건을 가지고 정성을 표하게 하였습니다."

하니, 최안 등이 말하기를,

"전일 금강산에 갔을 적에 준 것이 많았고 또 노상(路上)에 특별히 대신을 보내어 후하게 음식을 대접하였으니, 전하의 은덕이 하늘과 같은데, 이제 또 많은 물건을 거듭 내리시니, 몸이 가루가 된다 한들 보답하기 어렵습니다."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2책 4권 35장 B면【국편영인본】 8책 353면
  • 【분류】
    외교-명(明)

    ○辛丑/遣宦官申雲, 贈崔安等別下程及毛馬粧ㆍ油鞍籠一部、弓箭帽二部、油紙席三張、雨具一、扇子二十把、油籠五、毛拂子三。 頭目亦各贈扇子五把、油紙席一張。 仍語曰: "殿下近欲親慰, 適氣體違和未果, 遣臣將薄物表誠。" 等曰: "前日金剛山之行, 多所贈遺, 又於路上, 別遣大臣厚饋, 殿下恩德如天, 今又賜物稠疊, 粉身難報。"


    • 【태백산사고본】 2책 4권 35장 B면【국편영인본】 8책 353면
    • 【분류】
      외교-명(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