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인지 등에게 《시경》을, 정창손 등에게 《서경》의 구결을 교정하게 하다
임금이 편전(便殿)에 나아가서, 하동군(河東君) 정인지(鄭麟趾)·전 예조 판서(禮曹判書) 강희맹(姜希孟)·성균 대사성(成均大司成) 김예몽(金禮蒙)·중추부 첨지사(中樞府僉知事) 정자영(鄭自英)·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 양성지(梁誠之)와 유신(儒臣) 이극기(李克基)·최지(崔池)·유윤겸(柳允謙)·이맹현(李孟賢)·최자빈(崔自濱)·이종산(李鍾山)·김귀(金龜)·성현(成俔)·이숙감(李淑瑊)에게 명하여 《시경(詩經)》의 구결(口訣)을 교정(校正)하게 하고, 봉원군(蓬原君) 정창손(鄭昌孫)·행 상호군(行上護軍) 송처관(宋處寬)·행 호군(行護軍) 구종직(丘從直)·호조 참판(戶曹參判) 이파(李坡)·우승지(右承旨) 이극증(李克增)과 유신(儒臣) 유진(兪鎭)·유희익(兪希益)·이형원(李亨元)·민정(閔貞)·손차면(孫次綿)·권호(權瑚)·이경동(李璟仝)·고태정(高台鼎)·김계창(金季昌)에게 명하여 《서경(書經)》의 구결(口訣)을 교정(校正)하게 하고, 또 성균관(成均館) 유생(儒生) 10인과 잡학인(雜學人)의 닦은 학업(學業)을 강(講)하게 하였다. 임금이 전지(傳旨)하기를,
"성균관 유생이 강(講)한 데 대해서는 이미 과거(科擧)에 응시하게 하라고 명령했다. 다만 잡학(雜學)이 강(講)한 것은 홀로 아무 소용이 없으니 이제부터는 수직(受職)할 때 쓰도록 하라."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16책 44권 44장 A면【국편영인본】 8책 148면
- 【분류】왕실-경연(經筵) / 어문학-문학(文學)
○癸巳朔/御便殿, 命河東君 鄭麟趾、前禮曹判書姜希孟、成均大司成金禮蒙、中樞府僉知事鄭自英、司憲府大司憲梁誠之及儒臣李克基ㆍ崔池ㆍ柳允謙ㆍ李孟賢ㆍ崔自濱ㆍ李鐘山ㆍ金龜ㆍ成俔ㆍ李淑瑊, 校正《詩》口訣。 蓬原君 鄭昌孫、行上護軍宋處寬、行護軍丘從直、戶曹參判李坡、右承旨李克增及儒臣兪鎭ㆍ兪希益ㆍ李亨元ㆍ閔貞ㆍ孫次綿ㆍ權瑚ㆍ李瓊仝ㆍ高台鼎ㆍ金季昌, 校正《書》口訣。 又講成均館儒生十人及雜學人所業。 傳曰: "成均儒生講畫, 已令通於科擧, 但雜學講畫, 獨無所用, 自今用於受職時。"
- 【태백산사고본】 16책 44권 44장 A면【국편영인본】 8책 148면
- 【분류】왕실-경연(經筵) / 어문학-문학(文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