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조실록44권, 세조 13년 10월 27일 기미 1번째기사 1467년 명 성화(成化) 3년

세자가 6공신을 거느리고 북단에서 회맹하다

세자(世子)가 6공신(功臣)338) 을 거느리고 북단(北壇)에서 회맹(會盟)하였다. 그 의주(儀注)는 이러하였다.

"왕세자는 산재(散齋)가 4일이고 치재(致齋)가 3일이며, 여러 공신(功臣)과 집사관(執事官)과 시종관(侍從官)으로서 응당 따라서 올라갈 자는 모두 산재(散齋)가 4일이고 치재(致齋)가 3일이다. 전 2일에 전설사(典設司)에서 왕세자(王世子)의 위차(位次)를 단(壇) 밖의 남쪽에 동쪽 가까이 서향(西向)하여 설치하고, 여러 공신(功臣)의 위차(位次)를 단(壇) 밖의 동남쪽에 북향(北向)하여 설치하고, 찬만(饌幔)은 단(壇)의 동쪽에 설치한다. 전(前) 1일에 전의(典儀)가 왕세자(王世子)의 판위(版位)를 단(壇) 아래 길 동쪽으로 남쪽 가까이 북향(北向)하여 설치하고, 찬자(贊者)가 여러 공신(功臣)의 【친공신(親功臣)과 6공신(功臣)의 친자(親子)·적장(嫡長)이다. 아래도 이와 같다.】 자리를 단(壇) 남쪽에 겹줄로 북향(北向)하여 설치하되 서쪽이 위가 된다. 【작질(爵秩)을 사용한다.】 또 전의(典儀)·찬자(贊者)·찬인(贊引)의 자리를 동쪽 계단의 서쪽에 북쪽 가까이 서향(西向)하여 설치하되, 북쪽이 위가 된다. 장생령(掌牲令)이 대뢰(大牢)·소뢰(小牢)와 회맹(會盟)의 희생(犧牲)을 【수탉·돼지이다.】 이끌고 서소(誓所)에 나아간다. 전사관(典祀官)이 재인(宰人)을 거느리고 대뢰(大牢)·소뢰(小牢)를 할육(割肉)하기를 보통 때와 같이 하고, 회맹의 희생을 묻을 구덩이[坎]를 단(壇) 북쪽 임방(壬方)의 땅에 설치하는데, 모나게 깊이 파서 제물(祭物)을 수용할 만하게 한다. 혈반안(血盤案)을 단(壇) 아래 서쪽에 설치한다. 그날 아직 행사(行事)하기 전에 전사관(典祀官)이 신위(神位)를 단(壇) 위에 남향(南向)하여 설치하되, 왕골자리를 깔고 서문(誓文)을 신위(神位)의 오른쪽에 전(奠)드린다. 【점(坫)이 있다.】 향로(香爐)·향합(香合)과 아울러 초[燭]를 신위(神位) 앞에 설치하고, 다음에 생갑(牲匣)을 설치하되, 서쪽을 위로 한다. 【먼저 소이고 다음이 양(羊)이고 다음이 돼지인데, 모두 완석(莞席)을 깐다.】 작(爵) 하나를 생갑(牲匣) 앞에 두고 【점(坫)이 있다.】 전(奠)을 단(壇) 위 동남쪽 모퉁이에 북향(北向)하여 설치하는데, 작(勺)과 멱(冪)을 가(加)하고 세(洗)를 동쪽 계단의 동남쪽에 북향(北向)하여 설치한다. 【관세(盥洗)는 동쪽에 있고 작세(爵洗)는 서쪽에 있는데, 반이(槃匜)가 있다.】 뇌(罍)가 세(洗)의 동쪽에 있는데, 작(勺)을 가(加)하고 비(篚)가 세(洗)의 서남쪽에 있는데, 수건을 담아 둔다. 【만약 작세(爵洗)의 비(篚)면 작(爵)을 담고 점(坫)이 있다.】 또 집사(執事)의 관세(盥洗)를 동남쪽에 북향(北向)으로 설치한다.

맹세하기 전 5각(刻)에 왕세자(王世子)가 출궁(出宮)하기를 보통의 의식과 같이 하고, 악차(握次)에 들어가면 산선(繖扇)과 시위(侍衛)를 보통 때와 같이 한다. 전 3각(刻)에 전사관(典祀官)이 재인(宰人)을 거느리고 회맹(會盟)의 희생(犧牲)을 할육(割肉)하고, 집사관(執事官)이 반(槃)으로써 【사반(沙槃)이다.】 혈(血)을 취(取)하여 안(案)에 둔다. 전 2각(刻)에 여러 공신(功臣)과 시종관(侍從官)·집사자(執事者)들이 각각 제복(祭服)을 입는다. 전 1각(刻)에 전의(典儀)·찬자(贊者)·찬인(贊引)이 먼저 단(壇)의 남쪽 배위(拜位)에 나아가서 겹줄로 북향(北向)하되, 서쪽을 위로 한다. 사배(四拜)하기를 끝마치고 자리에 나아가면, 찬자(贊者)가 창(唱)하고, 찬인(贊引)이 서문(誓文)을 읽을 관원과 집사자(執事者)를 인도하여 들어가 배위(拜位)에 나아간다. 전의(典儀)가 말하기를, ‘사배(四拜)하라’ 하면 【무릇 찬자(贊者)가 찬창(贊唱)하는 것은 모두 전의(典儀)의 말을 받는다.】 찬자(贊者)가 창(唱)하기를, ‘국궁(鞠躬)·사배(四拜)·흥(興)·평신(平身)하라.’ 하고, 서문(誓文)을 읽을 관원(官員) 이하가 국궁(鞠躬)하여 네 번 절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펴기를 끝마친다. 찬인(贊引)이 인도하여 관세위(盥洗位)에 나아가서 관세(盥洗)하기를 끝마치면, 각각 자리에 나아간다. 집사자(執事者)가 작세위(爵洗位)에 나아가서 작(爵)을 씻고 작(爵)을 털어서 비(篚)에 두고, 받들어 중계(中階)에 나아가 준소(奠所)에 둔다. 찬인(贊引)이 여러 공신(功臣)을 인도하여 자리에 나아가면, 봉례(奉禮)가 왕세자(王世子)의 자리 앞에 나아가서 부복(俯伏)하여 꿇어앉아 찬(贊)하여 행사(行事)하기를 청(請)한다. 왕세자(王世子)가 면복(冕服)을 갖추고 산선(繖扇)과 시위(侍衛)를 제(除)하고 나오고, 봉례(奉禮)가 왕세자를 인도하여 판위(版位)에 이른다. 【시종관(侍從官)이 따라 들어간다.】 전의(典儀)가 말하기를, ‘사배(四拜)하라.’ 하고, 찬자(贊者)가 ‘국궁(鞠躬)·사배(四拜)·흥(興)·평신(平身)하라.’고 창(唱)하면, 왕세자(王世子)와 여러 공신(功臣)이 국궁(鞠躬)하여 네 번 절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편다. 봉례(奉禮)가 왕세자(王世子)를 인도하여, 관세위(盥洗位)에 나아가서 북향(北向)하여 서고, 찬(贊)하여 진홀(搢笏)하기를 청(請)한다. 【만약 꽂기가 불편하면 시종관(侍從官)이 받들어 행한다. 뒤에도 이와 같다.】 시종관(侍從官) 1인이 꿇어앉아 이(匜)를 취하여 옥수(沃水)를 부으면 1인이 꿇어앉아 반(槃)을 취(取)하여 물을 받는다. 왕세자가 손을 씻고 시종관(侍從官)이 꿇어앉아 비(篚)에서 건(巾)을 취하여서 바친다. 왕세자가 손을 닦기를 끝마치면 시종관(侍從官)이 수건을 받아 비(篚)에 둔다.

봉례(奉禮)가 찬(贊)하여 집홀(執笏)하기를 청(請)하면 왕세자(王世子)를 인도하여 동계(東階)로부터 올라가 준소(奠所)에 나아가서 서향(西向)하여 선다. 집사자(執事者) 1인이 술을 받든다. 봉례(奉禮)가 왕세자(王世子)를 인도하여 신위(神位)앞에 나아가서 북향(北向)하여 서면 ‘꿇어앉으라.’고 찬(贊)하고, 집사자(執事者) 1인이 향로(香爐)를 받들고 1인이 향합(香合)을 받들면 ‘삼상(三上)하라.’고 찬(贊)한다. 집사자(執事者)가 향로(香爐)를 전(奠)드리고 집사자(執事者)가 작(爵)을 꿇어앉아 드린다. 왕세자(王世子)가 작을 잡고 작을 드리면 작을 집사자에게 주어서 신위(神位) 앞에 전(奠)드린다. 봉례(奉禮)가 ‘부복(俯伏)·흥(興)·평신(平身)하라.’고 찬하고, 인도하여 내려와서 자리로 돌아간다. 찬자(贊者)가 ‘꿇어앉으라.’고 창(唱)하면, 왕세자(王世子)와 여러 공신(功臣)이 꿇어앉는다. 찬자(贊者)가 ‘진홀(搢笏)하라.’고 창(唱)하면, 왕세자와 여러 공신이 홀을 꽂는다. 집사자(執事者)가 혈반(血槃)을 왕세자(王世子)에게 바치면 왕세자가 삽혈(歃血)339) 하고, 【피를 입 옆에 묻힌다.】 여러 공신이 차례로 삽혈(歃血)하기를 끝마친다. 찬자(贊者)가 ‘출홀(出笏)하라.’고 창(唱)하면, 왕세자와 여러 공신이 홀(笏)을 꺼내고 서문(誓文)을 읽는 관원이 신위(神位)의 오른쪽에서 서문(誓文)을 취(取)하여, 북향(北向)하여 꿇어앉아 읽기를 끝마친다. 찬자(贊者)가 ‘부복(俯伏)·흥(興)·평신(平身)하라.’고 창(唱)하면, 왕세자와 여러 공신이 부복하였다가 일어나서 몸을 바로 편다. 전의(典儀)가 말하기를, ‘사배(四拜)하라.’ 하고, 찬자(贊者)가 ‘국궁(鞠弓)·사배(四拜)·흥(興)·평신(平身)하라.’고 창(唱)하면, 왕세자와 여러 공신이 국궁(鞠弓)하여 사배(四拜)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편다. 찬자(贊者)가 ‘예(禮)가 끝났다.’고 창(唱)하면, 봉례(奉禮)가 왕세자를 인도하여 나가서 자리에 돌아간다. 찬인(贊引)이 여러 공신을 인도하여 나가고 찬인이 서문(誓文)을 읽는 관원을 인도하여 서문을 취(取)하여 희생(犧牲) 위에 얹고 구덩이에 묻고 흙을 채운다. 서문(誓文)을 읽는 관원과 집사자(執事者)가 함께 배위(拜位)에 나아가고, 찬자(贊者)가 ‘국궁(鞠弓)·사배(四拜)·흥(興)·평신(平身)하라.’ 하면, 서문(誓文)을 읽는 관원 이하가 국궁(鞠躬)하여 네 번 절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편다. 찬인(贊引)이 전의(典儀)·찬자(贊者)·찬인(贊引)을 인도하여 나가 배위(拜位)에 나아가서 네 번 절하고 나간다. 전사관(典祀官)이 거두어 치우고 왕세자(王世子)가 환궁(還宮)한다."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16책 44권 19장 A면【국편영인본】 8책 136면
  • 【분류】
    왕실-의식(儀式)

  • [註 338]
    6공신(功臣) : 조선조 초기의 개국 공신(開國功臣)·정사 공신(定社功臣)·좌명 공신(佐命功臣)·정난 공신(靖難功臣)·좌익 공신(佐翼功臣)·적개 공신(敵槪功臣)을 말함.
  • [註 339]
    삽혈(歃血) : 맹세할 때에 희생(犧牲)을 잡아 그 피를 입술에 바르고서, 서약(誓約)을 꼭 지킨다는 단심(丹心)을 신(神)에게 맹세하는 일.

○己未/世子率六功臣, 會盟于北壇。 其儀:

王世子散齋四日, 致齋三日, 諸功臣執事官及侍從官, 應從升者, 竝散齋四日, 致齋三日。 前二日, 典設司設王世子次於壇外之南近東西向, 設諸功臣次於壇外東南北向, 設饌幔於壇東。 前一日, 典儀設王世子版位於壇下道東近南北向, 贊者設諸功臣 【親功臣及六功臣親子、嫡長。 下同。】 位於壇南重行北向, 西上。 【用爵秩。】 又設典儀、贊者、贊引位於東階西近北西向, 北上。 掌牲令牽大、小牢及盟牲, 【牡雞、豕。】 詣誓所。 典祀案率宰人, 割大、小牢如常, 設盟牲坎於壇北壬地, 方深取足容物。 設血盤案於壇下之西。 其日未行事前, 典祀官設神位於壇上南向, 席以莞, 奠誓文於神位之右。 【有坫。】 設香爐、香合, 幷燭於神位前, 次設牲匣, 以西爲上。 【先牛, 次羊, 次豕, 幷藉以莞席。】 爵一在牲匣前, 【有坫。】 設尊於壇上東南隅北向, 加勺羃, 設洗於東階東南北向。 【盥洗在東, 爵洗在西, 有槃匜。】 罍在洗東, 加勺, 篚在洗西南, 肆實以巾。 【若爵洗之篚, 則又實以爵, 有坫。】 又設執事盥洗於東南北向。 誓前五刻, 王世子出宮如常儀, 入次, 繖扇侍衛如常。 前三刻, 典祀官帥宰人, 割盟牲, 執事官以槃, 【沙槃。】 取血置於案。 前二刻, 諸功臣及侍從官、執事者, 各服祭服。 前一刻, 典儀、贊者、贊引, 先就壇南拜位, 重行北向, 西上。 四拜訖就位, 贊者唱, 贊引引讀誓文官及執事者, 入就拜位。 典儀曰四拜。 【凡贊者贊唱, 皆承典儀之辭。】 贊者唱鞠躬、四拜、興、平身。 讀誓文官以下, 鞠躬四拜興平身訖。 贊引引詣盥洗位, 盥洗訖, 各就位。 執事者詣爵洗位, 洗爵拭爵, 置於篚, 捧詣中階置於尊所。 贊引引諸功臣入就位, 奉禮詣王世子次前, 俯伏跪, 贊請行事。 王世子具冕服, 除繖扇侍衛以出, 奉禮引王世子至版位。 【侍從官從入。】 典議曰四拜。 贊者唱鞠躬、四拜、興、平身。 王世子及諸功臣, 鞠躬四拜興平身。 奉禮引王世子, 詣盥洗位北向立, 贊請搢笏。 【如搢不便, 侍從官承奉。 後同。】 侍從官一人, 跪取匜興沃水, 一人跪取槃承水。 王世子盥手, 侍從官跪取巾於篚以進。 王世子帨手訖, 侍從官受巾置於篚。 奉禮贊請執笏, 引王世子, 升自東階, 詣尊所西向立。 執事者一人酌酒, 一人受酒。 奉禮引王世子, 詣神位前北向立, 贊跪。 執事者一人奉香爐, 一人奉香合, 贊三上香。 執事者奠爐, 執事者以爵跪進。 王世子執爵獻爵, 以爵授執事者, 奠于神位前。 奉禮贊俯伏、興、平身。 引降復位。 贊者唱跪。 王世子及諸功臣跪。 贊者唱搢笏。 王世子及諸功臣搢笏。 執事者以血槃進王世子, 王世子歃血, 【以血塗口傍。】 諸功臣以次歃訖。 贊者唱出笏。 王世子及諸功臣出笏, 讀誓文官, 進神位之右, 取誓文, 北向跪讀訖。 贊者唱俯伏、興、平身。 王世子及諸功臣, 俯伏興平身。 典議曰四拜。 贊者唱鞠躬、四拜、興、平身。 王世子及諸功臣, 鞠躬四拜興平身。 贊者唱禮畢。 奉禮引王世子出還次。 贊引引諸功臣出, 贊引引讀誓文官, 取誓文加於牲上, 瘞於坎實土。 讀誓文官及執事者, 俱復拜位, 贊者唱鞠躬、四拜、興、平身。 讀誓文官以下, 鞠躬四拜興平身。 贊引引出典儀、贊者、贊引, 就拜位, 四拜而出。 典祀官撤退, 王世子還宮。


  • 【태백산사고본】 16책 44권 19장 A면【국편영인본】 8책 136면
  • 【분류】
    왕실-의식(儀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