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조실록 43권, 세조 13년 7월 17일 경진 1번째기사 1467년 명 성화(成化) 3년

경회루 아래에 나아가 유구국 사신을 연회하다. 유구국 사신을 접대하는 의주

경회루(慶會樓) 아래에 나아가서 유구국 사신(琉球國使臣)을 연회(宴會)하였다. 세자(世子)와 효령 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함양경(咸陽卿) 이포(李𧦞)·하동군(河東君) 정인지(鄭麟趾)·봉원군(蓬原君) 정창손(鄭昌孫)·고령군(高靈君) 신숙주(申叔舟)·능성군(綾城君) 구치관(具致寬)·연성군(延城君) 박원형(朴元亨)·영의정(領議政) 심회(沈澮)·좌의정(左議政) 최항(崔恒)·우의정(右議政) 홍윤성(洪允成)·중추부 지사(中樞府知事) 김수온(金守溫)·예조 판서(禮曹判書) 강희맹(姜希孟) 등이 시연(侍宴)하였다. 정사(正使)가 천축주(天竺酒)를 올리니, 임금이 말하기를,

"그대의 임금이 그대들을 사신으로 보내어 정성을 바치게 하고 예물(禮物)도 많이 가져 왔으니, 내가 매우 가상히 여기고 기뻐한다. 지금 내가 그대의 임금을 위하여 자리에서 일어나 이 술을 마시겠다."

하고, 인하여 묻기를,

"술을 천축주(天竺酒)라고 이름붙인 것은 무엇 때문인가?"

하니, 대답하기를,

"이 술이 천축국(天竺國)에서 나기 때문입니다."

하였다. 임금이 말하기를,

"천축국(天竺國)은 어느 방향에 있는가? 너희 나라와 도로의 상거(相距)가 얼마나 되는가? 또 너의 나라 사람이 항상 왕래하는가?"

하니, 대답하지 못하고 말하기를,

"천축국(天竺國)은 남쪽 지방에 아주 멀리 있는데, 우리 나라와는 서로 통하지 않습니다. 다만 그 경계 상에 이를 뿐입니다."

하였다. 잔치를 파(罷)하자, 임금이 종친(宗親)·재추(宰樞)에게 이르기를,

"이것은 천축주(天竺酒)가 아니다. 천축주가 진실로 이와 같지 않다면, 저들은 우리가 그것이 천축주가 아니라는 것을 알 줄로 어찌 생각하였겠는가? 반드시 스스로 우리를 속이는 것이 많을 것이다."

하였다.

그 의주(儀註)는 이러하였다.

"새벽녁에 사설(司設)이 어좌(御坐)를 설치하고, 악(樂)을 설치하고, 왕세자(王世子)와 시연관(侍宴官)의 자리를 설치한다. 때가 이르면 왕세자(王世子)와 시연관(侍宴官)이 시복(時服) 차림으로 모두 문외위(門外位)에 나아가고 사신(使臣)도 또한 문외위(門外位)에 나아간다. 조계청(朝啓廳) 앞 뜰에서 음악(音樂)을 연주하면 임금이 여(輿)를 타고서 나오고, 자리에 오르면 음악이 그치고 고각(鼓角)도 끝난다. 봉례(奉禮)가 왕세자를 인도하고, 인의(引儀)가 시연관(侍宴官)을 나누어 인도하고, 통사(通事)가 사신(使臣)을 인도하여 뜰 가운데로 나아가서 동서로 나누어, 자리를 달리하여 겹줄로 선다. 사신(使臣)이 동반(東班) 2품의 끝으로 나아가는데, 【상관인(上官人)과 부관인(副官人)은 한 줄로 하되 북쪽 가까이 자리를 설치한다. 선주(船主)와 압물(押物)과 시봉(侍奉)은 한 줄로 하고 반종인(伴從人)도 한 줄로 하여 남쪽 가까이에 설치한다. 매줄마다 통사(通事)가 거느리고 들어간다.】 음악이 연주된다. 인의(引儀)가 창(唱)하기를, ‘국궁(鞠躬)·사배(四拜)·흥·평신(平身)하라.’ 하면 왕세자·시연관·사신이 몸을 구부려 네번 절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펴고, 음악이 그친다. 사옹원 제조(司饔院提調)가 술그릇을 바치면 음악이 연주되고, 술을 올리기를 끝마치면 음악이 그친다. 연탁(宴卓)을 바치면 음악이 연주되고, 인의(引儀)가 창(唱)하기를, ‘궤(跪)하라.’ 하고, 【처음에 음악이 연주되면 궤(跪)하라고 창(唱)한다. 이하도 이와 같다.】 왕세자와 시연관·사신이 꿇어앉고 〈연탁〉을 바치기를 끝마치면 음악이 그친다. 승지(承旨)가 꽃을 바치면 음악이 연주되고, 꽃 바치기를 마치면 음악이 그친다. 인의(引儀)가 창(唱)하기를, ‘부복(俯伏)·흥(興)·평신(平身)하라.’ 하면, 왕세자와 시연관·사신이 부복(俯伏)하였다가 일어나서 몸을 바로 편다. 사옹원 제조(司饔院提調)가 반아(盤兒)를 바치면 음악이 연주된다. 인의(引儀)가 창(唱)하기를, ‘궤(跪)하라.’ 하면, 왕세자와 시연관·사신이 꿇어앉아 수라[膳]를 드리기를 끝마치고 음악이 그친다. 【무릇 수라[膳]를 바치면 음악이 연주되고, 바치기를 끝마치면 음악이 그친다.】 인의(引儀)가 창(唱)하기를, ‘부복(俯伏)·흥(興)·평신(平身)하라.’ 하면, 왕세자와 시연관·사신이 부복하였다가 일어나서 몸을 바로 편다. 인의(引儀)가 정사(正使)를 거느리고 주정(酒亭)의 동쪽에 나아가면 【인의는 계단(階段)아래에서 중지한다.】 음악이 연주되고, 인의가 창(唱)하기를 ‘궤(跪)하라.’ 하면, 왕세자와 시연관·부사(副使) 이하가 모두 꿇어앉는다. 정사가 작(爵)을 바치는데, 천축주(天竺酒)를 사용하며, 들기를 끝마치면 음악이 그친다. 인의가 창(唱)하기를, ‘부복(俯伏)·흥(興)·평신(平身)하라.’하고, 왕세자와 시연관·부사 이하가 부복하였다가 일어나 몸을 바로 편다. 정사(正使)가 주정(酒亭)의 동쪽으로 돌아가서 부복하였다가 일어나서 내려가 자리에 돌아간다. 인의(引儀)가 창(唱)하기를, ‘국궁(鞠躬)·사배(四拜)·흥(興)·평신(平身)하라.’ 하면, 음악이 연주되고, 왕세자와 시연관·사신 등이 몸을 굽혀서 네번 절하고 일어나서 몸을 바로 펴면 음악이 그친다. 인의가 창(唱)하기를, ‘취좌(就座)하라.’ 하면, 봉례(奉禮)가 왕세자를 인도하고 인의가 시연관을 인도하고 통사가 사신을 인도하여 자리에 나아간다. 【봉례(奉禮)·인의(引儀)는 계단 아래에서 중지한다.】 보덕(輔德)이 왕세자에게 꽃을 바치고, 집사관(執事官)이 【충찬위(忠贊衛)·별시위(別侍衛)이다.】 시연관·사신에게 꽃을 뿌린다. 사옹원 제조(司饔院提調)가 수라[膳]를 바치면 음악이 연주되고, 들기를 끝마치면 음악이 그친다. 【사옹원 부제조(司饔院副提調)가 왕세자에게 찬탕(饌湯)을 바치고, 집사관이 시연관 이하에게 찬탕을 나누어 준다.】 사옹원 제조(司饔院提調)가 작(爵)을 바치면 음악이 연주되고, 들기를 끝마치면 음악이 그친다. 【무릇 작(爵)을 바칠 때 왕세자와 시연관·사신이 중계(中階) 위에 동서로 나누어 나아가서 꿇어앉아 들기를 끝마치고, 부복(俯伏)하였다가 일어나서 자리에 나아간다. 사옹원 부제조(司饔院副提調)가 왕세자에게 술을 바치고, 집사관(執事官)이 시연관(侍宴官) 이하에게 술을 나누어 준다. 각각 바치는 술잔[杯]을 쓰며 자리를 떠나서 부복하였다가 일어나 꿇어앉아 마시기를 끝마치고, 부복(俯伏)하였다가 일어나 자리로 돌아간다. 무릇 별사(別賜)가 있으면, 어좌(御坐)의 전영(前楹) 밖에 나아가서 고두(叩頭)하고 도로 나간다.】 술을 14차례 돌려서 두루 돌리기를 끝마친다. 왕세자와 시연관·사신이 내려가서 전정(殿庭)의 자리에 나아가면 음악이 연주되고, 인의(引儀)가 창(唱)하기를, ‘국궁(鞠躬)·사배(四拜)·흥(興)·사배(四拜)·흥(興)·평신(平身)하라.’ 하면, 왕세자와 시연관·사신이 몸을 구부려서 네번 절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 펴고, 음악이 그친다. 봉례(奉禮)가 왕세자를 인도하고, 인의가 시연관을 나누어 인도하고 통사(通事)가 사신을 인도하여 나가고 임금이 내전(內殿)으로 돌아간다.


  • 【태백산사고본】 16책 43권 13장 B면【국편영인본】 8책 99면
  • 【분류】
    외교-유구(琉球) / 왕실-의식(儀式)

○庚辰/御慶會樓下, 宴琉球國使臣。 世子與孝寧大君 (補)〔𥙷〕 咸陽卿 𧦞河東君 鄭麟趾蓬原君 鄭昌孫高靈君 申叔舟綾城君 具致寬延城君 朴元亨、領議政沈澮、左議政崔恒、右議政洪允成、中樞府知事金守溫、禮曹判書姜希孟等侍宴。 正使以天竺酒進, 上曰: "汝君使汝等, 以輸誠款, 多致禮物, 予甚嘉悅。 今予爲汝君, 起座飮此酒。" 因問曰: "酒名天竺者何?" 答曰: "此酒出於天竺國, 故名之。" 上曰: "天竺國在何方? 與汝國道路相距幾何? 且汝國人常往來不?" 對曰: "天竺在南方極遠, 與我國未得相通。 但至其境上。" 宴罷, 上謂宗宰曰: "此非天竺酒也。 天竺酒固不如是, 彼豈料我之知其非天竺酒也。 必自多欺我矣。" 其儀曰: "平明, 有司設御座設樂, 設王世子侍宴官位。 時至, 王世子及侍宴官, 以時服皆就門外位, 使臣亦就門外位。 朝啓廳前庭樂作, 上乘輿以出, 陞座樂止鼓角訖。 奉禮引王世子, 引儀分引侍宴官, 通事引使臣就庭中分東西, 異位重行。 使臣就東班二品之末, 【上、副官人爲爲一行, 近北設席。 船主押物侍奉爲一行, 伴從人爲一行, 近南。 每行通事率入。】 樂作。 引儀唱: ‘鞠躬四拜興平身。’ 王世子及侍宴官、使臣, 鞠躬四拜興平身, 樂止。 司饔院提調進酒器, 樂作, 進訖樂止。 進卓樂作, 引儀唱: ‘跪’ 【初樂作唱跪。 下倣此。】 王世子及侍宴官、使臣跪進, 訖樂止。 承旨進花樂作, 進訖樂止。 引儀唱: ‘俯伏興平身。’ 王世子及侍宴官、使臣, 俯伏興平身。 司饔院提調進盤兒, 樂作。 引儀唱: ‘跪。’ 王世子及侍宴官、使臣跪, 進訖樂止。 【凡進膳樂作, 進訖樂止。】 引儀唱: ‘俯伏興平身。’ 王世子及侍宴官、使臣, 俯伏興平身。 引儀引正使, 詣酒亭東, 【引儀止階下。】 樂作, 引儀唱: ‘跪。’ 王世子及侍宴官、副使以下皆跪。 正使進爵, 用天竺酒, 擧訖樂止。 引儀唱: ‘俯伏興平身。’ 王世子及侍宴官、副使以下, 俯伏興平身。 正使還酒亭東, 俯伏興降復位。 引儀唱: ‘鞠躬四拜興平身。’ 樂作, 王世子及侍宴官、使臣, 鞠躬四拜興平身, 樂止。 引儀唱: ‘就座。’ 奉禮引王世子, 引儀引侍宴官, 通事引使臣就座。 【奉禮、引儀止階下。】 輔德供王世子花, 執事官 【忠贊衛、別侍衛。】 散侍宴官、使臣花。 司饔院提調進膳, 樂作, 進訖樂止。 【司饔院副提調, 進王世子饌湯, 執事官分賜侍宴官以下饌湯。】 司饔院提調進爵, 樂作, 進訖樂止。 【凡進爵, 王世子及侍宴官、使臣, 分就中階上東西, 跪擧訖, 俯伏興就座。 司饔院副提調進王世子酒, 執事官分賜侍宴官以下酒。 用各呈杯, 離座俯伏興跪飮訖, 俯伏興還座。 凡有別賜, 就御座前楹外, 叩頭還出。】 酒行十四遍訖。 王世子及侍宴官、使臣, 降就殿庭位, 樂作, 引儀唱: ‘鞠躬四拜興(四拜興)平身。’ 王世子及侍宴官、使臣, 鞠躬四拜興平身, 樂止。 奉禮引王世子, 引儀分引侍宴官, 通事引使臣出, 上還內。"


  • 【태백산사고본】 16책 43권 13장 B면【국편영인본】 8책 99면
  • 【분류】
    외교-유구(琉球) / 왕실-의식(儀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