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조실록41권, 세조 13년 3월 14일 기묘 1번째기사 1467년 명 성화(成化) 3년

제신에게 주연을 베풀고 군자감 첨정 최호원 등에게 지리설 등을 논하게 하다

임금이 충순당(忠順堂)에 나아가서 고령군 신숙주·능성군 구치관·남양군(南陽君) 홍달손(洪達孫)과 상정소 당상(詳定所堂上), 그리고 도승지 신면(申㴐) 등을 불러 술자리를 베풀고, 군자감 첨정(軍資監僉正) 최호원(崔顥元)과 관상감 정(觀象監正) 안효례(安孝禮) 등을 불러 지리설(地理說)과 인지 규형(印地窺衡)104) 의 묘리(妙理)를 논란(論難)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15책 41권 20장 B면【국편영인본】 8책 65면
  • 【분류】
    과학-수학(數學) / 과학-역법(曆法) / 과학-지학(地學)

  • [註 104]
    인지 규형(印地窺衡) : 각도와 축척(縮尺)의 원리를 이용하여 토지의 원근(遠近)과 높낮이를 측량하는 기구. 인지의(印地儀).

○己卯/御忠順堂, 召高靈君 申叔舟綾城君 具致寬南陽君 洪達孫、詳定所堂上、及都承旨申㴐等設酌。 召軍資監僉正崔顥元、觀象監正安孝禮等, 論難地理之說與印地窺衡之妙。


  • 【태백산사고본】 15책 41권 20장 B면【국편영인본】 8책 65면
  • 【분류】
    과학-수학(數學) / 과학-역법(曆法) / 과학-지학(地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