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녕전에서 경서와 《동국통감》을 강하게 하다
임금이 강녕전(康寧殿)에 나아가니, 하동군(河東君) 정인지(鄭麟趾)·봉원군(蓬原君) 정창손(鄭昌孫)·고령군(高靈君) 신숙주(申叔舟)·상당군(上黨君) 한명회(韓明澮)·영의정(領議政) 구치관(具致寬)·좌의정(左議政) 황수신(黃守身)·우의정 박원형(朴元亨)·좌찬성 최항(崔恒)·우찬성 조석문(曹錫文)·인산군(仁山君) 홍윤성(洪允成)·이조 판서 한계희(韓繼禧)·병조 판서 김국광(金國光)·대사헌 양성지(梁誠之), 중추부 동지사(中樞府同知事) 어효첨(魚孝瞻)·임원준(任元濬)·서거정(徐居正)·정자영(鄭自英), 형조 판서 홍응(洪應)·행 호조 참판(行戶曹參判) 성임(成任)·공조 판서 구종직(丘從直)·중추부 판사(中樞府判事) 심수온(金守溫)·예조 참판 강희맹(姜希孟)·행 대사성(行大司成) 김예몽(金禮蒙)·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 이파(李坡)·이조 참판 신승선(愼承善)·공조 참판 이예(李芮)와 승지(承旨) 등이 입시(入侍)하였다. 유생(儒生) 김온(金溫) 등 8인에게 경서(經書)를 강(講)하게 하고, 또 《동국통감(東國通鑑)》의 수찬 낭관(修撰郞官)인 이봉(李封)·이경동(李瓊仝)·이맹현(李孟賢)·김극검(金克儉)·최숙정(崔淑精)·조익정(趙益貞) 등에게 강(講)하게 하고는, 이어 술자리를 베풀었다. 여러 종친(宗親)과 재추(宰樞)들이 차례대로 술잔을 올리고, 해가 저물어서야 파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14책 39권 16장 A면【국편영인본】 8책 28면
- 【분류】왕실-경연(經筵)
○庚午朔/御康寧殿。 河東君 鄭麟趾、蓬原君 鄭昌孫、高靈君 申叔舟、上黨君 韓明澮、領議政具致寬、左議政黃守身、右議政朴元亨、左贊成崔恒、右贊成曺錫文、仁山君 洪允成、吏曹判書韓繼禧、兵曹判書金國光、大司憲梁誠之、中樞府同知事魚孝瞻ㆍ任元濬ㆍ徐居正ㆍ鄭自英、刑曹判書洪應、行戶曹參判成任、工曹判書丘從直、中樞府判事金守溫、禮曹參判姜希孟、行大司成金禮蒙、漢城府右尹李坡、吏曹參判愼承善、工曹參判李芮及承旨等入侍。 講儒生金溫等八人經書。 又講《東國通鑑》修撰郞官李封、李瓊仝、李孟賢、金克儉、崔淑精、趙益貞等, 仍設酌。 諸宗宰, 以次進酒。 至昏乃罷。
- 【태백산사고본】 14책 39권 16장 A면【국편영인본】 8책 28면
- 【분류】왕실-경연(經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