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조실록 39권, 세조 12년 5월 5일 을해 1번째기사 1466년 명 성화(成化) 2년

서현정에서 단운 9장을 짓고 재추·유신들에게 화답하게 하다

임금이 근정문(勤政門)에 나아가서 조참(朝參)을 받은 후 들어와 서현정(序賢亭)에 나아가 2품 이상의 종친(宗親)·재추(宰樞)와 부장(部將)·진무(鎭撫)·겸사복(兼司僕) 등을 불러와서 단오절(端午節)이라 하여 술자리를 베풀고, 겸사복(兼司僕) 등으로 하여금 사후(射侯)하게 하였다. 임금이 친히 《단운(短韻) 9장(章)》을 지었는데, 그 1장(章)은 이러했다.

"마음으로써 자기 마음을 알게 되고, 마음으로써 다른 사람의 마음을 알게 된다. 마음을 아는 것은 다른 사람의 마음으로부터이니, 어느 것이 진심(眞心)이 되겠는가?"

그 2장(章)은 이러했다.

"인(仁)이 중(重)한가, 의(義)가 중한가? 예(禮)가 중한가, 지(智)가 중한가? 사단(四端)248) 의 본체(本體)는 근원이 같으니, 어느 것이고 중한 것이 아니겠는가?"

그 3장(章)은 이러했다.

"문(文)이란 것이 경륜(經綸)249) 인가, 무(武)란 것이 경륜(經綸)인가? 두 가지가 경륜(經綸)을 다투게 되니, 어느 것이 참 경륜(經綸)인가?"

그 4장(章)은 이러했다.

"문(文)은 이것이 간척(干戚)250) 인가, 무(武)는 이것이 정벌(征伐)인가? 이른바 문무(文武)의 도(道)는 어느 방책(方策)에 널리 기재되어 있는가?"

그 5장(章)은 이러했다.

"백성을 나라가 아니면 어찌 보호하겠으며, 나라는 백성이 아니면 어찌 부유(富裕)하겠는가? 정치는 관대(寬大)가 아니면 어찌 너그러우며, 국운(國運)은 예절이 아니면 어찌 견고하겠는가?"

그 6장(章)은 이러했다.

"맑은 물결은 바람을 따라 움직이게 되고, 푸른 버들은 절후를 따라 새롭게 된다. 약석(藥石)251) 이 소원(疎遠)한 때문이 아니고, 감유(甘諛)252) 가 어찌 친근(親近)한 때문이겠는가?"

그 7장(章)은 이러했다.

"당당(堂堂)히 성대(盛大)한 조정이요, 엄숙히 정돈(整頓)된 군진(軍陣)이다. 자기 몸을 닦아 백성을 편안하게 하니 요령(要領)은 서로가 믿는 데 있다."

그 8장(章)은 이러했다.

"험준한 모퉁이는 산 범[虎]을 물리치고, 등잔불은 죽는 나비를 끌어들인다. 모두가 탐욕(貪欲)·진노(嗔怒)·치매(癡呆) 아닌 것이 없으니, 원래부터 진심을 알지 못한 때문이다."

그 9장(章)은 이러했다.

"만약 능히 참 실지(實智)253) 라면, 확연하게 사방의 끝까지 비었을 것이다. 삼계(三界)254) 에 하나의 사물도 없으면, 어느 것이 세간(世間)이며 출세간(出世間)이겠는가?"

재추(宰樞)로서 김수온(金守溫) 이하의 11인과 3품 이하의 유신(儒臣) 1백여 인과 선전관(宣傳官) 등에게 명하여 종이와 붓을 주어서 혹은 책(策)255) 이든지, 혹은 송(頌)이든지, 혹은 부(賦)든지, 혹은 시(詩)든지 간에 각기 잘 짓는 것으로써 화답(和答)하여 바치게 하고는, 이어 전교(傳敎)하기를,

"그대들이 각기 마음을 다하여 화답해 지으면 은례(恩禮)는 한결같이 중시(重試)256) 와 같이 하겠다."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14책 39권 2장 A면【국편영인본】 8책 21면
  • 【분류】
    왕실-의식(儀式) / 어문학-문학(文學) / 풍속-풍속(風俗)

  • [註 248]
    사단(四端) : 사람의 본성에서 우러나는 네 가지 마음씨. 곧 인(仁)에서 우러나는 측은지심(惻隱之心), 의(義)에서 우러나는 수오지심(羞惡之心), 예(禮)에서 우러나는 사양지심(辭讓之心), 지(智)에서 우러나는 시비지심(是非之心)의 네 가지.
  • [註 249]
    경륜(經綸) : 천하를 다스림.
  • [註 250]
    간척(干戚) : 방패와 도끼. 또 그것을 가지고 추는 악무(樂舞).
  • [註 251]
    약석(藥石) : 약과 침. 경계가 되는 유익한 말.
  • [註 252]
    감유(甘諛) : 달콤하게 아첨하는 말.
  • [註 253]
    실지(實智) : 진여 평등(眞如平等)의 이치를 비추어 모든 법계(法界)는 공적(空寂)이라고 깨닫는 진실한 지혜.
  • [註 254]
    삼계(三界) : 삼천 세계(三千世界). 이 세상.
  • [註 255]
    책(策) : 책문(策文).
  • [註 256]
    중시(重試) : 이미 과거에 급제한 사람에게 다시 보이는 시험. 이 시험에 급제한 사람을 당상 정3품의 품계(品階)로 올려 주었음.

○乙亥/御勤政門, 受朝參。 入御序賢亭, 召二品以上宗宰及部將、鎭撫、兼司僕等, 以端午節設酌。 令兼司僕等射侯。 上親製《短韻九章》。 其一章曰: "以心知自心, 以心知他心。 知心自他心, 何者爲眞心?" 其二章曰: "仁重義重歟? 禮重智重歟? 四端體同源, 何者非重歟?" 其三章曰: "文者經綸歟? 武者經綸歟? 二者爭經綸, 何者眞經綸?" 其四章曰: "文是干戚歟? 武是征伐歟? 所云文武道, 布在何方策?" 其五章曰: "民非國何護? 國非民何富? 政非寬何裕? 祚非禮何固?" 其六章曰: "淸波因風動, 綠柳逐節新。 藥石非因疏, 甘諛豈因親?" 七章曰: "堂堂盛之朝, 肅肅整之陣。 修己安百姓, 要在交孚信。" 其八章曰: "險隅却生虎, 燈火引死蝶。 莫非貪、嗔、癡, 元由不知實。" 其九章曰: "若能眞實知, 廓然空四際。 三界無一物, 何者世出世?" 命宰樞金守溫以下十一人、三品以下儒臣百餘人、宣傳官等, 給紙筆, 或策、或頌、或賦、或詩, 各以所能和進。 仍傳曰: "爾等其各悉心和製, 恩禮一如重試。"


  • 【태백산사고본】 14책 39권 2장 A면【국편영인본】 8책 21면
  • 【분류】
    왕실-의식(儀式) / 어문학-문학(文學) / 풍속-풍속(風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