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조실록35권, 세조 11년 3월 9일 병진 2번째기사 1465년 명 성화(成化) 1년

효령 대군 이보가 원각경 수교를 마쳐 잔치를 베풀다

효령 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가 일찍이 《원각경(圓覺經)》을 수교(讎校)하였는데, 이에 이르러 일을 마치었다. 임금이 사정전(思政殿)에 나아가 잔치를 베풀어 위로하니, 왕세자(王世子)와 이보(李𥙷)·임영 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 영응 대군(永膺大君) 이염(李琰)·영순군(永順君) 이부(李溥)·귀성군(龜城君) 이준(李浚)·원천경(原川卿) 이의(李宜)·하성위(河城尉) 정현조(鄭顯祖)·거제정(巨濟正) 이철(李徹)·하동 부원군(河東府院君) 정인지(鄭麟趾)·봉원 부원군(蓬原府院君) 정창손(鄭昌孫)·영의정(領議政) 신숙주(申叔舟)·상당 부원군(上黨府院君) 한명회(韓明澮)·좌의정(左議政) 구치관(具致寬)·우의정(右議政) 황수신(黃守身)·남양 부원군(南陽府院君) 홍달손(洪達孫)·영중추원사(領中樞院事) 심회(沈澮)·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 심결(沈決)·좌찬성(左贊成) 윤사분(尹士吩)·우찬성(右贊成) 박원형(朴元亨)·우참찬(右參贊) 최항(崔恒)·공조 판서 김수온(金守溫)·이조 판서 양성지(梁誠之)·예조 판서 원효연(元孝然)·이조 참판 홍응(洪應)·예조 참판 임원준(任元濬)·병조 참판 송문림(宋文琳) 등이 입시(入侍)하였고, 대마주(對馬州)종언칠랑(宗彦七郞)·쇄문다난(灑文多難) 등도 또한 입시하였다. 임금이 종언칠랑(宗彦七郞)에게 대홍라(大紅羅)·남라(藍羅) 각각 1필, 백저포(白苧布) 10필, 흑마포(黑麻布) 10필, 호피(虎皮) 1장(張), 표피(豹皮) 1장(張), 유지석(油紙席) 1장(張)을 내려 주고, 그 나머지 사람에게는 물건을 차등 있게 내려 주니, 종언칠랑 등이 뜰 아래에서 배사(拜謝)하였다. 또 주육(酒肉)을 내려 주어 그 관(館)에까지 보냈다. 입시(入侍)한 재추와 종친에게 명하여 차례로 술을 올리게 하고, 이어서 신숙주·박원형에게 명하여, 병조 판서(兵曹判書) 윤자운(尹子雲)·형조 판서(刑曹判書) 김질(金礩) 등의 자제(子弟) 중에, 한 자급을 더하여 주게 하고, 한계희(韓繼禧)를 이조 판서(吏曹判書)로, 양성지(梁誠之)를 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로, 강희맹(姜希孟)을 인순부 윤(仁順府尹)으로, 한치인(韓致仁)을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로, 오응(吳凝)을 사헌 집의(司憲執義)로 삼았으니, 한계희·강희맹《원각경(圓覺經)》을 번역한 공(功) 때문이었다.


  • 【태백산사고본】 13책 35권 20장 A면【국편영인본】 7책 676면
  • 【분류】
    왕실-종친(宗親) / 왕실-행행(行幸) / 왕실-의식(儀式) / 왕실-사급(賜給) / 인사-임면(任免) / 인사-관리(管理) / 외교-왜(倭) / 사상-불교(佛敎) / 출판-서책(書冊)

    孝寧大君 (補)〔𥙷〕 嘗讎校《圓覺經》, 至是事訖。 上御思政殿設宴慰之, 王世子與(補)〔𥙷〕 臨瀛大君 永膺大君 永順君 龜城君 原川卿 河城尉 鄭顯祖巨濟正 河東府院君 鄭麟趾蓬原府院君 鄭昌孫、領議政申叔舟上黨府院君 韓明澮、左議政具致寬、右議政黃守身南陽府院君 洪達孫、領中樞院事沈澮、判中樞院事沈決、左贊成尹士昐、右贊成朴元亨、右參贊崔恒、工曹判書金守溫、吏曹判書梁誠之、禮曹判書元孝然、吏曹參判洪應、禮曹參判任元濬、兵曹參判宋文琳等入侍, 對馬州 宗彦七郞灑文多難等亦入侍。 上賜宗彦七郞大紅羅藍羅各一匹, 白苧布十匹, 黑麻布十匹, 虎皮一張, 豹皮一張, 油紙席一張, 其餘賜物有差, 宗彦七郞等, 下庭拜謝。 又賜酒肉, 送至其館。 命入侍宰宗以次進酒, 仍命叔舟元亨, 兵曹判書尹子雲、刑曹判書金礩等子弟中加一資, 以韓繼禧爲吏(書)〔曹〕 判書, 梁誠之知中樞院事, 姜希孟仁順府尹, 韓致仁僉知中樞院事, 吳凝司憲執義, 繼禧 以譯《圓覺經》功也。


    • 【태백산사고본】 13책 35권 20장 A면【국편영인본】 7책 676면
    • 【분류】
      왕실-종친(宗親) / 왕실-행행(行幸) / 왕실-의식(儀式) / 왕실-사급(賜給) / 인사-임면(任免) / 인사-관리(管理) / 외교-왜(倭) / 사상-불교(佛敎) / 출판-서책(書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