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구단에 제사하다
원구(圜丘)에 제사하였는데, 새로 만든 음악을 사용하였다. 그 의례는 이러하였다.
"제삿날 행사하기 전 5각(刻)에 전사관(典祀官)이 그 소속을 거느리고 그 의복을 입고 들어와서 찬구(饌具)에 담기를 마치면, 여러 신위(神位)의 대축(大祝)들이 신위판(神位版)을 자리에 설치한다. 찬인(贊引)이 감찰(監察)을 인도하여 동계[卯階]로부터 올라와서 단(壇)의 위·아래를 살펴보고 의식과 같지 않은 것을 규찰(糾察)하고 도로 나간다. 3각(刻) 전에 여러 사관(祀官)과 배사(陪祀)할 여러 관원이 각각 그의 제복(祭服)을 입고, 【사관(祀官)은 제복(祭服)으로 하고, 배사관(陪祀官)은 조복(朝服)으로 한다.】 집례(執禮)가 알자(謁者)·찬자(贊者)·찬인(贊引)을 거느리고 유(壝)의 동문(東門)으로 들어와 먼저 단(壇)의 남쪽 현(懸)의 북쪽 배위(拜位)로 나아가서 겹줄로 북향(北向)하고 서쪽을 위로 해서 네 번 절하고 나서 각각 자리로 나아간다. 아악 령(雅樂令)이 공인(工人)을 거느리고 들어와서 자리에 나아가고, 봉례랑(奉禮郞)이 배사(陪祀)할 여러 관원을 인도하여 각각 바깥 유(壝)의 동문(東門)·서문(西門)을 경유하여 들어와 자리에 나아간다. 부지통례(副知通禮)가 좌분헌관(左分獻官)을 인도하고, 【왕세자(王世子)가 아니면 알자가 인도한다. 아래도 같다.】 알자(謁者)가 우분헌관(右分獻官)을 인도한다. 또 알자(謁者)·찬인(贊引)이 각각 여러 사관(祀官)을 인도하여 모두 유(壝)의 동문(東門) 밖의 자리로 나아가고, 찬인이 감찰(監察)·대축(大祝)·전사관(典祀官)·축사(祝史)·재랑(齋郞)·협률랑(協律郞)·봉조관(捧俎官)·집준자(執尊者)·집뢰자(執罍者)·집비자(執篚者)·집멱자(執羃者)를 인도하고 들어와서 자리에 나아가 북향(北向)하여 서쪽을 위로 한다. 집례(執禮)가 말하기를, ‘사배(四拜)하라.’ 하면, 찬자(贊者)가 전갈을 한다. 【무릇 집례의 말이 있으면 찬자가 모두 전갈한다. 아래도 같다.】 감찰(監察) 이하가 모두 네 번 절하고 나면, 찬인(贊引)이 감찰을 인도하여 자리로 나아가고, 전사관(典祀官)을 인도하여 주소(廚所)로 나아가며, 찬인이 모든 집사(執事)를 인도하여 각각 자리에 나아간다. 1각(刻) 전에 알자. 찬인이 각각 진폐 진주관(進幣進酒官)·전폐 전주관(奠幣奠酒官)·진조관(進俎官)·전조관(奠俎官)을 인도하고 들어와 자리에 나아간다. 부지통례(副知通禮)가 좌분헌관(左分獻官)을 인도하고 알자가 우분헌관(右分獻官)을 인도하고 들어와 자리에 나아가고, 찬인이 재랑(齋郞)을 인도하여 각각 작세위(爵洗位)로 나아가 작을 씻고 작을 닦고 나서 비(篚)에 넣어 준소(尊所)로 받들고 나아가서 점(坫) 위에 놓는다. 여러 사관(祀官)이 장차 들어와서 자리에 나아가려고 하면, 판통례(判通禮)가 대차(大次) 앞으로 나아가서 중엄(中嚴)을 계청(啓請)하고, 조금 후에 또 외판(外辦)하기를 계청한다. 전하(殿下)가 면복(冕服)을 갖추고 나오는데, 산선(繖扇)의 시위는 평상시의 의식과 같이 한다. 예의사(禮儀使)가 전하를 인도하여 중유(中壝)의 남문(南門) 밖에 이르면, 근시(近侍)가 꿇어앉아 규(圭)를 올리고 예의사가 집규(執圭)하기를 계청하여 전하가 규를 잡고, 산선과 보(寶)는 문 밖에 정지한다. 【시위로서 들어오지 못할 자도 또한 문밖에서 머무른다.】 예의사가 전하를 인도하여 들어와 정문(正門)에 서고 자리에 나아가 서향(西向)하여 선다. 【매양 서게 되면 예의사는 물러나서 왼쪽에 선다.】 집례(執禮)가 말하기를, ‘음악을 연주하라.’ 하면, 헌가(軒架)에서 보태평지악(保太平之樂)을 연주하고, 보태평지무(保太平之舞)를 춘다. 나무를 태우고 털과 피[毛血]를 묻으면 여러 대축(大祝)들이 생수반(牲首盤)과 모혈두(毛血豆)를 들어서 각각 그 계단을 경유하여 축사(祝史)에게 주고, 축사는 각각 생반(牲盤)을 받들어 요단(燎壇) 위에 나아가 나무를 더하여 이를 굽는다. 또 대축은 각각 모혈두를 받들어 구덩이에 묻는다. 집례가 말하기를, ‘음악을 그치고 네 번 절하라.’ 하면, 예의사가 사배(四拜)하기를 계청하여 전하가 네 번 절한다. 【분헌관(分獻官)과 백관(百官)도 같이 한다.】 알자가 진조관(進俎官)·전조관(奠俎官)·봉조관(捧俎官)을 인도하여 나와서 찬소(饌所)로 나아가고, 알자가 진폐 진주관(進幣進酒官)·전폐 전주관(奠幣奠酒官)을 인도하여 올라가 호천 상제(昊天上帝)의 준소(尊所)로 나아가 북향(北向)하여 선다. 【알자는 단 아래에서 머무른다.】 집례가 말하기를, ‘예의사는 전하를 인도하여 폐백을 드리라.’ 하면, 예의사가 전하를 인도하여 호천 상제의 신위(神位) 앞에 나아가 북향하여 선다. 집례가 말하기를, ‘음악을 연주하라.’ 하면 등가(登歌)에서 보태평지악(保太平之樂)과 보태평지무(保太平之舞)를 한다. 예의사가 궤(跪)·진규(搢圭)하기를 계청하면 전하가 꿇어앉아 규를 꽂는다. 【백관(百官)도 같이 한다.】 근시 한 사람이 향합(香合)을 받들고 꿇어앉아 올리고, 한 사람은 향로(香爐)를 받들고 꿇어앉아 올리면, 예의사가 삼상향(三上香)하기를 계청하여 전하가 세 번 향을 피운다. 근시가 향로를 드리고 진폐 진주관이 옥폐(玉幣)를 받들고 꿇어앉아 올린다. 예의사가 헌옥폐(獻玉幣)하기를 계청하면 전하가 옥폐를 받들어서 전폐전주관에게 주어 신위 앞에 드리게 한다. 【진향(進香)·진폐(進幣)할 때는 동쪽에 있게 하되 서향(西向)하고, 전로(奠爐)·전폐(奠幣)할 때는 서쪽에 있게 하되 동향하며, 진작(進爵)도 이와 같다.】 예의사가 집규(執圭)·부복(俯伏)·흥(興)·평신(平身)하기를 계청하여 전하가 규를 잡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 몸을 바로 한다. 【백관도 같이 한다.】 예의사가 전하를 인도하여 황지기(皇地祇)의 신위 앞에 나아가 향(香)을 올리고 옥폐를 드리는 것을 위의 의식과 같이 하고, 다음에 배위(配位)의 앞에 나아가 향을 올리고 옥폐를 드리는 것을 위의 의식과 같이 하여 마친다. 집례가 말하기를, ‘음악을 그치라.’ 하면, 진폐 진주관 이하(以下)가 동계로부터 내려와 제자리로 돌아가고 예의사가 전하를 인도하여 남계[午陛]로부터 내려와서 제자리로 돌아간다.
처음에 전하가 장차 배위(配位)에 폐백을 드리려고 할 때 부지통례(副知通禮)가 좌분헌관(左分獻官)을 인도하여 남동계[已陛]를 경유하여 신위(神位) 앞에 나아가 꿇어앉는다. 【알자가 우분헌관(右分獻官)을 인도하여 남서계[未陛]를 경유하여 일시(一時)에 야명위(夜明位)에 나아가고, 다음에 풍운뢰우위(風雲雷雨位)에 나아가며, 다음에 해독산천위(海瀆山川位)에 나아간다. 진찬(進饌)·헌작(獻爵)도 이와 같다.】 축사(祝史)가 향합(香合)을 받들고, 재랑(齋郞)이 향로(香爐)를 받들어 꿇어앉아 올리면 좌분헌관이 세 번 향을 피운다. 재랑이 향로를 올리고, 대축이 폐백을 꿇어앉아 올리면 좌분헌관이 받아서 대축에게 주어 대명신위(大明神位) 앞에 올린다. 좌분헌관이 부복하였다가 일어나 몸을 바로 하여 다음에 성신위(星辰位)에 나아가고, 다음에 동해위(東海位)·남해위(南海位)·서해위(西海位)·북해위(北海位)에 나아가 향을 올리고 폐백을 드리는 것을 위의 의식과 같이 하고 나서 내려와 제자리로 돌아간다.
처음 전하가 이미 올라가 폐백을 올리면 알자가 진조관(進俎官)·전조관(奠俎官)·봉조관(奉俎官)을 인도하여 찬소(饌所)에 나가서 전하가 폐백 올리기를 기다린다. 이를 마치면 축사가 솥에 가득히 생갑(牲匣)을 담고, 진조관·전조관이 봉조관을 거느리어 각각 생갑을 받들어 정문(正門) 밖에 나가서 선다. 집례가 말하기를, ‘찬(饌)을 올리고 음악을 연주하라.’ 하면, 헌가(軒架)에서는 융안지악(隆安之樂)을 연주하고 찬(饌)이 각각 그 뜰에 이르면, 【전하가 장차 오르려고 하면 진조관·봉조관이 먼저 오르고, 전조관은 뒤에 오른다.】 전사관이 본디 자리로 나아간다. 【정위(正位)의 3찬은 남계 아래에 서고, 동쪽 3위의 찬(饌)은 남동계에, 서쪽 3위의 찬은 남서계 아래에 선다.】 집례가 말하기를, ‘예의사는 전하를 인도하고 찬(饌)을 올리도록 하라.’ 하면, 예의사가 전하를 인도하여 상제위(上帝位) 앞에 나아가 북향하여 선다. 예의사가 궤(跪)·진규(搢圭)하기를 계청하면 전하가 동쪽에서 꿇어앉아 규를 꽂는다. 【분헌관과 백관도 꿇어앉는다.】 진조관 등이 생갑을 받들어 동쪽에서 꿇어앉아 올린다. 예의사가 진찬(進饌)하기를 계청하면 전하가 생갑을 받아 전조관에게 주고, 전조관은 서쪽에서 신위 앞에 올리고는 모두 본디 자리로 돌아간다. 예의사가 집규·부복·흥·평신하기를 계청하면 전하가 규를 잡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 몸을 바로하고, 【분헌관과 백관도 같이 한다.】 다음에 황지기(皇地祇)에 나아가며, 다음에 배위 앞에 나아가 위의 의식과 같이 하여 마친다. 진조관 이하가 내려와 제자리로 돌아가고 음악을 그치며, 예의사가 전하를 인도하여 내려와 제자리로 돌아간다.
집례가 말하기를, ‘초헌례(初獻禮)를 행하라.’ 하면, 알자가 진폐 진주관(進幣進酒官)·전폐 전주관(奠幣奠酒官)을 인도하여 상제(上帝)의 준소(尊所)에 나아가 북향하여 서고, 예의사가 전하를 인도하여 상제의 준소에 나아가 북향하여 선다. 집례가 이르기를, ‘음악을 연주하라.’ 하면 등가(登歌)에서 보태평지악(保太平之樂)을 연주하고 보태평지무(保太平之舞)를 춘다. 집준자(執尊者)가 멱을 들고, 근시(近侍)가 범제(泛齊)를 떠내면, 진폐 진주관이 작으로써 술을 받는다. 예의사가 전하를 인도하여 상제(上帝)의 신위(神位) 앞으로 나아가 궤(跪)·진규(搢圭)하기를 계청한다. 【백관도 꿇어앉는다.】 진폐 진주관이 작을 받들어 꿇어앉아 올린다. 예의사가 헌작(獻爵)하기를 계청하면 전하가 작을 전폐전주관에게 주어서 신위 앞에 드리게 한다. 예의사가 집규·부복·흥·평신하기를 계청하면 전하가 규를 잡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 몸을 바로 한다. 다음에 황지기위(皇地祇位) 앞에 나아가 헌작하기를 위의 의식과 같이 하여 마친다. 예의사가 전하를 인도하여 상제신위(上帝神位) 앞에 나아가 북향하여 꿇어앉으면, 집례가 말하기를, ‘음악을 그치라.’ 하고, 대축(大祝)이 동향하고 꿇어앉아 축문(祝文) 읽기를 마친다.
집례가 말하기를, ‘음악을 연주하라.’ 하고, 예의사가 부복·흥·평신하기를 계청하면 전하가 부복하였다가 일어나 몸을 바로 한다. 【백관도 같이 한다.】 예의사가 전하를 인도하여 배위에 나아가 헌작하기를 위의 의식과 같이 한다. 집례가 말하기를, ‘풍악을 그치라.’ 하면, 예의사가 전하를 인도하여 내려와서 제자리로 돌아간다. 집례가 말하기를, ‘보태평지무(保太平之舞)는 물러나고, 정대업지무(定大業之舞)를 행하라.’ 한다.
아헌례(亞獻禮)를 행하는데, 【초헌례와 같은데 다만 예제(醴齊)를 떠낸다.】 헌가(軒架)에서 정대업지악을 연주하고 정대업지무를 춘다.
종헌례(終獻禮)를 행하는데, 【아헌례와 같은데 다만 앙제(盎齊)를 떠낸다.】 대축(大祝)이 정배위(正配位) 3위의 준소에 나아가 각각 제일준(第一尊)의 복주(福酒)를 떠내어 한 잔에 합해 두고, 또 대축이 조(俎)를 가지고 상제위(上帝位)의 조육(俎肉) 다리 하나를 덜어내어 올린다. 집례가 말하기를, ‘복조(福胙)를 하사하라.’ 하면, 예의사가 전하를 인도하여 음복위(飮福位)에 나아가 북향하여 서고, 진폐 진주관과 진조관이 동계[卯陛]를 지나서 오른다. 대축이 작을 진폐 진주관에게 주면, 진폐 진주관이 작을 받들고 서향하여 꿇어앉아서 올린다. 예의사가 궤·진규하기를 계청하면 전하가 꿇어앉아 규를 꽂고, 【분헌관과 백관도 다같이 꿇어앉는다.】 작을 받아 졸작(卒爵)하면, 진폐 진주관이 빈 작을 받아서 대축에게 준다. 또 대축이 조(俎)를 진조관(進俎官)에게 주면, 진조관이 조를 받들고 서향(西向)하여 꿇어앉아서 올린다. 예의사가 수조(受俎)하기를 계청하면 전하가 조를 받아 근시에게 주고 근시는 조를 받들어 남계로부터 내려와 문을 나가서 사옹(司饔)에게 준다. 진폐 진주관과 진조관이 동계로부터 내려와 제자리로 돌아가고, 예의사가 집규(執圭)·부복(俯伏)·흥(興)·평신(平身)하기를 계청하면 전하가 규를 잡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 몸을 바로하고, 【백관도 같이 한다.】 예의사가 전하를 인도하여 내려와 제자리로 돌아간다.
집례가 말하기를, ‘사배하라.’ 하면, 예의사가 사배(四拜)하기를 계청하여 전하가 네 번 절한다. 【백관도 같이 한다.】 집례가 말하기를, ‘변(籩)·두(豆)를 걷어 치우고 음악을 연주하라.’ 하면, 등가(登歌)에서 성안지악(成安之樂)을 연주하고, 여러 대축은 각각 변·두를 걷어 치운다. 【걷는다는 것은 변·두를 각각 하나씩 전에 있던 자리에서 조금 옮겨 놓는 것이다.】 집례가 말하기를, ‘음악을 그치라.’ 하고, 집례가 말하기를, ‘송신례(送神禮)를 행하라.’ 하면, 헌가에서 영안지악(寧安之樂)을 연주한다. 집례가 말하기를, ‘사배(四拜)하라.’ 하면, 예의사가 사배(四拜)하기를 계청하여 전하가 네 번 절한다. 【백관도 같이 한다.】 집례가 말하기를, ‘음악을 그치라.’ 하면, 예의사가 예식이 끝났음을 아뢰고, 전하를 인도하여 대차(大次)로 돌아간다. 전하가 중유문(中壝門) 밖에 이르러서 예의사가 석규(釋圭)하기를 계청하면 전하가 규를 놓고 근시가 규를 받으며, 시위(侍衛)하는 것은 평상시의 의식과 같이 하고, 부지통례가 좌분헌관을 인도하여 나간다. 집례가 말하기를, ‘망료(望燎)하고 묻어라.’ 하면, 알자가 우분헌관을 인도하여 망료위(望燎位)에 나아가고, 집례가 찬자(贊者)를 거느리어 망료위(望燎位)에 나아간다. 여러 대축이 각각 상제(上帝)·배위(配位)·대명(大明)·야명(夜明)·성신(星辰)·동남서북해(東南西北海)의 신좌(神座) 앞에 나아가 비(篚)에다 폐백과 축판(祝版)을 담고, 축사(祝史)는 조(俎)에다 생체(牲體)와 상제(上帝)에게 바친 희생(犧牲)의 앞다리 하나, 서직반(黍稷飯)·제반(除飯) 및 작주(爵酒)를 담아서 각각 그 계단을 경유하여 내려와 요단(燎壇)에 나아가서 폐백과 축판과 찬물(饌物)을 요시(燎柴)에 얹는다. 집례가 말하기를, ‘태워도 가하다.’ 하면, 동쪽·서쪽 각 6인이 횃불로써 나무를 반쯤 불태우는데, 전사관(典祀官)과 단사(壇司)가 감시(監視)한다. 다음에 망료위(望燎位)에 나아가고, 여러 대축이 황지기(皇地祇)·악독(岳瀆)·산천(山川)의 신좌(神座) 앞에 나아가 비에 폐백을 담고, 축사가 조(俎)에 생체, 【지기(地祈)에 바친 희생(犧牲)의 앞다리 하나.】 서직반(黍稷飯) 및 작주(爵酒)를 담아서 각각 그 계단을 지나서 내려와 구덩이에 놓는다. 집례가 말하기를, ‘묻어도 가하다.’ 하면, 흙을 구덩이에 반쯤 채우는데, 전사관·단사가 감시한다. 알자·찬인이 각각 여러 사관(祀官)을 인도하여 나가고, 집례가 알자·찬인을 거느리어 본디 자리로 돌아가며, 봉례랑(奉禮郞)이 배제(陪祭)한 종친(宗親)과 문무 백관(文武百官)을 나누어 인도하여 차례대로 나간다. 찬인이 감찰과 여러 집사를 인도하여 모두 배위(拜位)로 돌아간다. 집례가 말하기를, ‘사배(四拜)하라.’ 하면, 감찰과 여러 집사가 네 번 절하고 나서 찬인이 차례대로 인도하여 나간다. 아악 령(雅樂令)이 공인(工人)을 거느리고 나가고, 알자·찬자·찬인이 배위(拜位)에 나아가 네 번 절하고 나가며, 전사관이 신위판(神位版)을 갈무리하고 예찬(禮饌)을 거두고 내려와서 이에 물러간다."
임금이 환궁(還宮)하여 우의정(右議政) 구치관(具致寬)·예조 판서(禮曹判書) 박원형(朴元亨)·도승지(都承旨) 노사신(盧思愼) 등을 불러 이르기를,
"옛 사람이 이르기를, ‘문왕(文王)을 명당(明堂)에 종사(宗祀)하여 상제께 제사하였다.’고 하였는데, 이는 실로 제왕(帝王)의 성사(盛事)이다. 또 내가 처음으로 신악(新樂)을 제정하여 교묘(郊廟)에 사용하여서 드디어 대례(大禮)를 치루어 선왕(先王)의 뜻이 이제 와서 이루어졌으니, 기쁨을 헤아리겠느냐?"
하고, 영순군(永順君) 이부(李溥)·우참찬(右參贊) 최항(崔恒)·예의사(禮儀使) 박원형(朴元亨)에게는 안마(鞍馬)를, 영의정(領議政) 신숙주(申叔舟), 악학 제조(樂學提調) 양성지(梁誠之)·성임(成任), 낭청(郞廳) 정심(鄭沈)에게는 말 1필씩을 하사하였다. 또 전지하기를,
"금일 인사(禋祀)019) 에 식례(式禮)가 어긋남이 없었으니, 원구(園丘) 및 종묘(宗廟)의 향관(享官)에게 각각 한 자급(資級)씩을 더해 주고, 자궁자(資窮者)020) 는 아들·사위·아우·조카 중에 한 사람에게 대가(代加)하도록 하라."
하였다.
해가 밝아올 무렵에 환궁(還宮)하여 근정전(勤政殿)에 이르러 왕세자(王世子)를 불러 술을 올리게 하고, 조금 뒤에 내전(內殿)으로 들어갔다가 근정전으로 환어(還御)하여 하례(賀禮)를 받았다. 왕세자가 치사(致詞)하여 이르기를,
"신악(新樂)이 이미 이루어지고 융성한 예식이 끝났음을 고(告)하여 선왕(先王)의 대업(大業)이 이에 계승되고 밝게 퍼졌으며, 교묘(郊廟)에 천신(薦新)하여 신인(神人)이 모두 기뻐하니, 천만년(千萬年)에 길이 다복(多福)하소서."
하였다. 백관(百官)이 전(箋)을 올려 이르기를,
"하늘이 창성한 시기를 열어주시어 진귀한 부(符)를 장악하시고, 등극(登極)하여 때에 비사(毖祀)를 엄수(嚴修)하고 몸소 곤복(袞服)을 입고 융성한 예를 치르었으니, 기쁨이 신공(臣工)에 넘치고 경사가 종사(宗社)에 연면(連綿)합니다. 공손히 생각하건대, 지극한 공경이 나날이 쌓이고 총명(聰明)이 때때로 밝아서, 〈선왕의〉 뜻과 사업을 계승하여 무강(無彊)한 큰 규모를 더욱 넓히어 〈태평의〉 다스림은 이미 정해지고 공은 이미 이루어져 미처 하지 못했던 남은 전례(典禮)를 다 닦았습니다. 문·무(文武) 두 가지 춤에 있어서, 백왕(百王)의 것을 손익(損益)하고 아속(雅俗)을 잘 조화시켜 교묘(郊廟)에 통용(通用)하니, 행하고 그침에 변화(變化)가 있고 빠르고 느림이 적당하여, 옛것이 아니요 유신(惟新)한 것이며, 구소(九韶)021) 의 질주(迭奏)를 능가하고 아름다움과 좋은 방법을 다하여 만세(萬世)의 영원한 기림을 더하였으니, 어찌 오직 뭇 신령의 흠향(歆饗)뿐이겠습니까? 또한 열성(列聖)께서도 함께 기뻐하실 것입니다. 신 등은 외람되게 성한 예에 참여하여 즐겁게 욕의(縟儀)를 보았고, 다시 씩씩한 〈전하의〉 얼굴을 우러러보아, 우수(虞獸)022) 와 더불어 같이 춤추었습니다. 원컨대 풍족한 복을 크게 받으시고 한(漢)나라의 갑절로 다투어 부르짖게 하소서."
하였다. 임금이 드디어 교지(敎旨)를 반포하여 이르기를,
"예(禮)를 제정하고 악(樂)을 만드는 것은 대개 백년(百年)이 되어야 가히 일으킬 수 있는 것인데 〈선왕의〉 뜻과 사업을 계승하여 다행히 하루 아침에 완성하고, 이에 교묘의 제사에 써서 〈연주하여〉 신(神)과 사람이 다같이 기뻐하였다. 생각건대, 우리 태조(太祖)께서 홍업(鴻業)의 터전을 열으셨으나, 바야흐르 초매(草昧)023) 의 경륜(經綸)을 당하여 예악(禮樂)에까지 미칠 겨를이 없었으며, 우리 세종[世廟] 때에 이르러 큰 운수를 타고 나시어 대업(大業)을 안정(安定)하는 상징(象徵)과 태평(太平)을 보존(保存)하는 생각에서 악·무(樂舞)를 제정하여 장차 교묘에 천용(薦用)하려 하였으나, 뜻만 가지고 미처 이루지 못하였던 것이다. 내가 부덕(否德)한 몸으로 비기(丕基)를 이어 지키게 되어, 선왕의 뜻에 따를 것을 생각하고 후사(後嗣)에 영원히 보일 것을 기약하여 다시 두 가지 춤을 제정해서 인사(禋祀)에 사용하니, 지극한 음(音)이 신명(神明)에 통하고 화기(和氣)가 상하(上下)에 융화(融和)하여 마침내 대례(大禮)가 이루어졌으니, 비상(非常)한 은전(恩典)을 선포(宣布)한다.
이달 15일 새벽 이전으로부터 모반 대역(謀反大逆)과 모반(謀叛)한 자의 자손, 부모(父母)·조부모(祖父母)를 모살(謀殺)했거나 구매(敺罵)한 것, 처첩(妻妾)으로서 지아비를 모살한 것, 노비(奴婢)로서 주인(主人)을 모살한 것, 고의(故意)로 살인(殺人)을 꾀한 것, 고독(蠱毒)024) 과 염매(懕魅)025) 및 강도나 절도를 범한 자를 제하고, 그 이외에는 이미 발각되었거나 발각되지 아니하였거나 이미 결정되었거나 결정되지 아니하였거나 모두 용서하여 면제한다. 감히 유지(宥旨) 이전의 일을 가지고 서로 고(告)하여 말하는 자는 그 죄로써 죄줄 것이다. 아아! 크게 선왕의 뜻을 이어 신악(新樂)을 써서 인사(禋祀)를 밝게 하고, 널리 너그러운 은전을 펴니 폭원(幅員)을 다하여 〈전국적으로〉 두루 경사스럽게 하라."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11책 32권 8장 B면【국편영인본】 7책 603면
- 【분류】왕실-행행(行幸) / 왕실-사급(賜給) / 왕실-의식(儀式) / 예술-음악(音樂) / 인사-관리(管理) / 어문학-문학(文學) / 사법-행형(行刑)
- [註 019]인사(禋祀) : 청결히 하고 제사를 지냄.
- [註 020]
자궁자(資窮者) : 당하관(堂下官)의 품계가 다시 더 올라갈 자리가 없게 된 자로서. 당하 정삼품을 말함.- [註 021]
구소(九韶) : 순(舜)임금의 음악명.- [註 022]
우수(虞獸) : 인수(仁獸).- [註 023]
○戊辰/祀于圜丘, 用新制樂。 其儀曰: "祀日行事前五刻, 典祀官帥其屬, 服其服, 入實饌具畢, 諸位大祝設新位版於座。 贊引引監察升自卯陛, 按視壇之上下, 糾察不如儀者還出。 前三刻諸祀官及陪祀群官各服其服。 【祀官祭服, 陪祀官朝服。】 執禮帥謁者、贊者、贊引入自壝東門, 先就壇南懸北拜位, 重行北向西上四拜, 訖各就位。 雅樂令帥工人入就位, 奉禮郞分引陪祀群官, 各由外壝東西門入就位。 副知通禮引左分獻官, 【非王出子, 則謁者引之, 下同。】 謁者引右分獻官。 又謁者、贊引各引諸祀官, 俱就壝東門外位, 贊引引監察、大祝、典祀官、祝史、齋郞、協律郞、捧俎官、執尊ㆍ罍ㆍ篚ㆍ羃者入就位北向西上。 執禮曰 ‘四拜’, 贊者傳贊。 【凡執禮有辭, 贊者皆傳贊, 下同。】 監察以下皆四拜訖, 贊引引監察就位, 引典祀官就廚所, 贊引引諸執事各就位。 前一刻, 謁者、贊引各引進幣進酒官、奠幣奠酒官、進俎官、奠俎官, 入就位。 副知通禮引左分獻官, 謁者引右分獻官, 入就位。 贊引、齋郞各詣爵洗位, 洗爵拭爵訖, 置於篚, 捧詣尊所, 置於坫上。 諸祀官將入就位, 判通禮詣大次前啓請中嚴, 少頃又啓外辦。 殿下具冕服以出, 繖扇侍衛如常儀。 禮儀使導殿下至中壝南門外, 近侍跪進圭, 禮儀使跪啓請執圭, 殿下執圭, 繖扇及寶停於門外。 【侍衛不應入者, 亦止於門外。】 禮儀使導殿下, 入止正門, 詣位西向立。 【每立定, 禮儀使退於左。】 執禮曰 ‘樂作’, 軒架作保太平之樂, 保太平之舞作。 燔柴瘞毛血, 諸大祝擧牲首盤、毛血豆, 各由其階, 授祝史, 祝史各捧牲盤, 詣燎壇上, 加柴燔之。 又大祝各捧毛血豆, 瘞於坎。 執禮曰 ‘樂止、四拜’, 禮儀使啓請四拜, 殿下四拜。 【分獻官、百官同。】 謁者引進俎官、奠俎官、捧俎官, 出詣饌所, 謁者引進幣進酒官、奠幣奠酒官, 陞詣昊天上帝尊所, 北向立。 【謁者止於壇下。】 執禮曰 ‘禮儀使導殿下奠幣’, 禮儀使導殿下, 詣昊天上帝神位前, 北向立。 執禮曰 ‘樂作’, 登歌作保太平之樂, 保太平之舞作。 禮儀使啓請跪、搢圭, 殿下跪搢圭 【百官同。】 近侍一人捧香合跪進, 一人捧香爐跪進, 禮儀使啓請三上香, 殿下三上香。 近侍奠爐, 進幣進酒官奉玉幣跪進, 禮儀使啓請獻玉幣, 殿下受玉幣, 以授奠幣奠酒官, 奠于神位前。 【進香、進幣在東西向, 奠爐、奠幣在西東向, 進爵、奠爵同。】 禮儀使啓請執圭、俯伏、興、平身, 殿下執圭、俯伏、興、平身。 【百官同。】 禮儀使導殿下, 詣皇地祇神位前上香, 奠玉幣如上儀。 次詣配位前上香, 奠玉幣如上儀訖。 執禮曰 ‘樂止’, 進幣進酒官以下降自卯陛復位, 禮儀使導殿下降自午陛復位。 初, 殿下將奠配位幣, 副知通禮引左分獻官由巳陛升詣神位前跪。 【謁者引右分獻官, 由未陛一時陞夜明位, 次詣風雲雷雨位, 次詣海瀆山川位, 進饌、獻爵同。】 祝史奉香合, 齋郞奉香爐跪進, 左分獻官三上香。 齋郞奠爐, 大祝以幣跪進。 左分獻官以受授大祝, 奠于大明神位前。 左分獻官俯伏、興、平身, 次詣星辰位, 次詣東ㆍ南ㆍ西ㆍ北海位, 上香奠幣如上儀, 訖降復位。 初, 殿下旣陞奠幣, 謁者引進俎官、奠俎官、奉俎官, 出饌所, 候殿下奠幣。 訖祝史盛鼎實牲匣, 進俎官、奠俎官帥捧俎官, 各捧牲匣, 詣正門外立。 執禮曰 ‘進饌、樂作’, 軒架作隆安之樂, 饌各至其陛。 【殿下將陛, 進俎官、俸俎官等先陞, 奠俎官後陞。】 典祀官就本位。 【正位三饌午陛下立, 東三位饌已陞, 西三位饌未陛下立。】 執禮曰 ‘禮儀使導殿下進饌’, 禮儀使導殿下, 詣上帝位前北向立。 禮儀使啓請跪、搢圭, 殿下跪搢圭。 【分獻官百官跪。】 進俎官等捧牲匣在東跪進。 禮儀使啓請進饌, 殿下受牲匣, 以授奠俎官, 奠俎官在西奠于神位前, 皆降復位。 禮儀使啓請執圭、俯伏、興、平身, 殿下執圭、俯伏、興、平身。 【分獻官、百官同。】 次詣皇地祇, 次詣配位前, 如上儀訖。 進俎官以下降復位, 樂止。 禮儀使導殿下降復位。 執禮曰 ‘行初獻禮’, 謁者引進幣進酒官、奠幣奠酒官, 詣上帝尊所北向立, 禮儀使導殿下, 詣上帝尊所北向立。 執禮曰 ‘樂作’, 登歌作保太平之樂, 保太平之舞作。 執尊者擧羃, 近侍酌泛齊, 進幣進酒官以爵受酒。 禮儀使導殿下詣上帝神位前, 啓請跪搢圭。 【百官跪。】 進幣進酒官捧爵跪進。 禮儀使啓請獻爵, 殿下以爵授奠幣奠酒官, 奠于神位前。 禮儀使啓請執圭, 俯伏、興、平身, 殿下執圭、俯伏、興、平身。 次詣皇地祇位前獻爵, 如上儀訖。 禮儀使導殿下詣上帝神位前北向跪, 執禮曰 ‘樂止’, 大祝東向跪, 讀祝文訖。 執禮曰 ‘樂作’, 禮儀使啓請俯伏、興、平身, 殿下俯伏、興、平身。 【百官同。】 禮儀使導殿下, 詣配位獻爵如上儀。 執禮曰 ‘樂止’, 禮儀使導殿下降復位。 執禮曰 ‘保太平之舞退, 定大業之舞進’。 行亞獻禮。 【如初獻, 但酌醴齊。】 軒架作定大業之樂, 定大業之舞作。 行終獻禮。 【如亞獻, 但酌盎齊。】 大祝詣正配位三位尊所, 各酌第一尊福酒, 合置一爵, 又大祝持俎進減上帝位俎肉所一脚。 執禮曰 ‘賜福胙’, 禮儀使導殿下詣飮福位北向立, 進幣進酒官、進俎官由卯陛隨陞。 大祝以爵授進幣, 進酒官進幣, 進酒官捧爵西向跪進。 禮儀使啓請跪搢圭, 殿下跪搢圭, 【分獻官、百官皆跪。】 受爵卒爵, 進幣進酒官受虛爵授大祝。 又大祝以俎授進俎官, 進俎官捧俎西向跪進。 禮儀使啓請受俎, 殿下受俎, 以授近侍, 近侍捧俎降自午陛出門授司饔。 進幣進酒官、進俎官由卯陛降復位。 禮儀使啓請執圭、俯伏、興、平身, 殿下執圭、俯伏、興、平身。 【百官同。】 禮儀使導殿下降復位, 執禮曰 ‘四拜’, 禮儀使啓請四拜, 殿下四拜。 【百官同。】 執禮曰 ‘徹邊豆、樂作’, 登歌作成安之樂, 諸大祝各撤邊豆。 【撤者邊豆各一少移故處】 執禮曰 ‘樂止’, 執禮曰 ‘行送神禮’, 軒架作寧安之樂。 執禮曰 ‘四拜’, 禮儀使啓請四拜, 殿下四拜。 【百官同。】 執禮曰樂止, 禮儀使啓禮畢, 導殿下還大次。 殿下至中壝門外, 禮儀使啓請釋圭, 殿下釋圭, 近侍受圭, 侍衛如常儀, 副知通禮引左分獻官出。 執禮曰 ‘望燎瘞’, 謁者引右分獻官, 詣望燎位, 執禮帥贊者詣望燎位。 諸大祝各詣上帝、配位、大明、夜明、星辰東南西北海神座前, 以篚取幣祝版, 祝史以俎載牲體, 上帝牲前一脚黍稷飯除飯及爵酒, 各由其陛, 降詣燎壇, 以幣祝版, 饌物置於燎柴。 執禮曰 ‘可燎’, 東西面各六人以炬火燎半柴, 典祀官壇司監視。 次詣望瘞位, 諸大祝詣皇地祇、岳瀆、山川神座前, 以篚取幣, 祝史以俎載牲體。 【地祗牲前一脚。】 忝稷飯及爵酒各由其陛, 降置於坎。 執禮曰 ‘可瘞’, 置土半坎, 典祀官壇司監視, 謁者贊引各引諸祀官出, 執禮帥謁者贊引還本位, 奉禮郞分引陪祭宗親文武百官以次出, 贊引引監察諸執事俱復拜位。 執禮曰四拜, 監察及諸執事四拜訖, 贊引以次引出。 雅樂令帥工人出, 謁者、贊者、贊引就拜位, 四拜而出, 典祀官藏神位版, 徹禮饌以降乃出。 還宮。" 召右議政具致寬、禮曹判書朴元亨、都承旨盧思愼等曰: "古人云宗祀文王於明堂, 以祀上帝, 此實帝王之盛事。 且予草定新樂而用之郊廟, 遂成大禮。 先王之志, 乃今成之, 喜可量耶?" 其賜永順君 溥、右參贊崔恒、禮儀使朴元亨鞍馬, 領議政申叔舟、樂學提調梁誠之ㆍ成任、郞廳鄭沈馬一匹。 又傳曰: "今日禋祀, 式禮莫愆, 圜丘及宗廟享官各加一資, 資窮者子壻弟姪中許一人代加。" 平明還宮, 至勤政殿, 召王世子進酒, 有頃入內, 還御勤政殿, 受賀。 王世子致詞云: "新樂旣成, 殷禮告畢, 先王大業, 是繼是述, 薦于郊廟, 神人胥悻, 於千萬年, 永膺多福。" 百官進箋曰:
天啓昌期, 握珍符而御極, 時嚴毖祀, 躬袞服以稱殷。 喜溢臣工, 慶綿宗社。 恭惟聖敬日蹲, 聰明時憲, 志之繼事之述, 益恢無疆之宏規, 治已定功已成, 悉修未遑之遺典。 就文武之二舞, 兼損益於百王, 雅俗克諧, 郊廟通用。 作止有變, 疾舒適宜, 非舊惟新, 奄九韶之迭奏, 盡美又善, 增萬葉之永觀, 豈惟群靈之居歆? 抑亦列聖之胥懌。 臣等叨參法從, 欣覩縟儀, 更仰穆穆之容, 與虞獸而率舞。 願介穰穰之福, 倍漢嶽以爭呼。
遂頒敎曰:
禮制樂作, 蓋百年而可興, 志繼事述, 幸一朝而獲成, 玆郊廟之用薦擧, 神人胥悅。 惟我太祖肇基鴻業, 方草昧之經綸, 蓋未遑於禮樂, 逮我世廟, 誕撫景運, 象大業之耆定, 念太平之當保, 爰制樂舞, 將薦郊廟, 竟有志而未就。 予以否德, 嗣守丕基, 思聿追於先志, 期永觀於後嗣, 更定二舞, 用以禋祀, 至音通於神明, 和氣融於上下, 屬玆大禮之成, 宜布非常之恩。 自今月十五日昧爽以前, 除謀反、大逆、謀叛、子孫謀殺毆罵祖父母ㆍ父母、妻妾謀殺夫、奴婢謀殺主、謀故殺人、蠱毒魘魅、但犯强竊盜外, 已發覺、未發覺, 已結正、未結正, 咸宥除之, 敢以宥旨前事相告言者, 以其罪罪之。 於戲! 丕承先志, 用新樂而明禋, 誕布寬恩, 罄幅員而均慶。
- 【태백산사고본】 11책 32권 8장 B면【국편영인본】 7책 603면
- 【분류】왕실-행행(行幸) / 왕실-사급(賜給) / 왕실-의식(儀式) / 예술-음악(音樂) / 인사-관리(管理) / 어문학-문학(文學) / 사법-행형(行刑)
- [註 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