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묘에 제사하다
임금이 종묘(宗廟)에 친히 제사하였는데, 새로 만든 정대업(定大業)·보태평(保太平)의 음악을 연주하였고, 그 의식을 이러하였다.
"그날 축시(丑時) 전 5각(刻)에 【축시 5각은 곧 3경(更) 3점(點)인데, 행사는 축시 1각에 한다.】 궁위령(宮闈令)이 그 소속을 거느리고 문을 열어 신악(神幄)을 정돈하여 깨끗이 털고, 매좌(每座)에 자리를 펴고서 포연(蒲筵)·궤순(繢純)에 관석(莞席)을 더하여 바른쪽 조궤(彫几)를 깨끗하게 한다. 종묘령(宗廟令)·전사관(典祀官)이 각각 그 소속을 거느리고 들어와서 제찬(祭饌)을 담기를 마치면, 찬인(贊引)이 감찰(監察)을 인도하여 동계[阼階]로부터 올라와서, 【무릇 행사에 집사관의 승강(昇降)은 모두 동계로부터 한다.】 당(堂)의 위·아래를 살펴보고 의식과 같이 되지 않은 것을 규찰(糾察)하고 도로 나간다. 3각 전에 여러 향관(享官) 및 배제관(陪祭官)이 각각 그 제복을 입고, 【향관은 제복, 배제관은 조복(朝服)으로 한다.】 집례(執禮)가 알자(謁者)·찬자(贊者)·찬인을 거느리고 동문(東門)으로부터 들어와서 먼저 섬돌 사이의 악현(樂懸) 북쪽의 배위(拜位)로 나아가, 겹줄로 북향(北向)하고 서쪽을 위로 해서 사배(四拜)하고, 이를 마치면 각각 자리로 나아간다. 아악 령(雅樂令)이 공인(工人)과 두 사람의 무인(舞人)을 거느리고 들어와서 자리로 나아가는데, 문무(文舞)는 들어와서 악현의 북쪽에 진설(陳設)하고, 무무(武舞)는 악현의 남쪽 길 서쪽에 선다. 봉례랑(奉禮郞)이 배제(陪祭)할 종친(宗親) 및 문무 백관(文武百官)을 나누어 인도하여 들어와서 자리로 나아가고, 부지통례(副知通禮)가 아헌관(亞獻官)을 인도하고, 찬인(贊引)이 여러 향관(享官)을 인도하여 모두 동문(東門) 밖의 자리로 나아가고, 찬인(贊引)이 감찰(監察)·전사관(典祀官)·대축(大祝)·축사(祝史)·재랑(齋郞)·종묘령(宗廟令)·궁위령(宮闈令)·협률랑(協律郞)·봉조관(捧俎官)·집준자(執樽者)·집뢰자(執罍者)·집비자(執篚者)·집멱자(執羃者)와 칠사(七祀)·공신(功臣)의 축사·재랑·집준자·집뢰자·집비자·집멱자를 인도하여 들어와서 악현의 북쪽 배위에 나아가, 겹줄로 북향(北向)하고 서쪽을 위로 하여 서면 집례(執禮)가 말하기를, ‘사배(四拜)하라.’하고, 찬자(贊者)가 찬(贊)하기를, ‘국궁(鞠躬)·사배(四拜)·흥(興)·평신(平身)하라.’ 한다. 【무릇 집례의 말이 있으면 찬자가 다 전갈한다.】 감찰(監察) 이하가 모두 허리를 굽히고 네 번 절한 다음 일어나 몸을 바로한다. 찬인이 감찰과 전사관(典祀官)을 인도하여 자리로 나아가고, 찬인이 여러 집사(執事)를 인도하여 관세위(盥洗位)로 나아가서 관세를 마치고는 각각 자리로 나아간다. 1각(刻) 전에 부지통례(副知通禮)가 아헌관(亞獻官)을 인도하고, 찬인이 종헌관(終獻官)·진폐찬작관(進幣瓚爵官)·천조관(薦俎官)·전폐찬작관(奠幣瓚爵官)과 칠사(七祀)·공신(功臣)의 헌관(獻官)을 인도하여 들어와서 자리로 나아간다. 찬인이 대축(大祝)·종묘령(宗廟令)·궁위령(宮闈令)을 인도하여 동계[阼階]로부터 올라와 환조실(桓祖室)로 나아가서 들어가 감실(埳室)을 열고, 대축과 궁위령이 신위(神位)를 받들어 내어 자리에 진설한다. 【신악(神幄) 안으로 나아가 안석[几] 왼쪽에서 궤(匱)를 열고 자리에 진설한다. 선왕(先王)의 신주는 대축이 받들어 내는데, 백저건(白苧巾)으로 덮고, 선후(先后)의 신수는 궁위령이 받들어 내는데, 청저건(靑苧巾)으로 덮고, 서쪽을 위로 한다.】 태조(太祖) 이하의 신위는 환조실의 의례(儀禮)와 같이 하고, 인도해 내려와서 제자리로 돌아간다. 찬인이 재랑을 인도하여 작세위(爵洗位)로 나아가서 찬(瓚)을 씻고 찬을 닦으며, 작(爵)을 씻고 작을 닦아서 비(篚)에 놓아 받들고 태계(泰階)로 나아가는데, 여러 축사가 각각 맞이하여 섬돌 위에서 가져다가 준소(尊所)의 점(坫) 위에 놓기를 마친다. 여러 향관(享官)이 장차 들어와서 자리에 나아가려고 하면 판통례(判通禮)가 재궁(齋宮) 앞으로 나아가서 부복(俯伏)하고 꿇어앉아 중엄(中嚴)을 계청(啓請)하고, 조금 후에 또 외판(外辦)을 아뢴다.
전하(殿下)가 면복(冕服)을 갖추고 나오는데, 산선(繖扇)의 시위는 평상시의 의식과 같이 한다. 예의사(禮儀使)가 전하를 인도하여 동문 밖에 이르면, 근시(近侍)가 꿇어앉아 규(圭)를 올려 전하가 규를 잡는다. 산선과 의장(儀仗)은 문밖에 정지하고 상서관(尙瑞官)이 어보(御寶)를 받들어 소차(小次) 옆에 놓는다. 예의사가 전하를 인도하여 정문(正門)으로 들어와서 【시위로서 들어오지 못할 자는 문밖에 머무른다.】 판위(版位)로 나아가 서향하여 서면, 【매양 서게 되면 예의사가 물러나서 왼쪽에 선다.】 집례가 말하기를, ‘음악을 연주하라.’ 하여, 헌가(軒架)에서 보태평지악(保太平之樂)과 보태평지무(保太平之舞)를 행하고서 음악을 연주하기를 그친다. 집례(執禮)가 말하기를, ‘사배하라.’ 하고, 예의사가 나아가 부복하고 꿇어앉아 국궁(鞠躬)·사배(四拜)·흥(興)·평신(平身)하기를 계청(啓請)하면, 전하가 허리를 굽히고 네 번 절한 다음 일어나 몸을 바로하고, 자리에 있던 사람도 같이 한다. 【찬자도 또한 찬을 하는데 먼저 절을 한 자는 절하지 않는다.】 집례가 말하기를, ‘예의사는 행사(行事)하시기를 계청(啓請)하라.’ 하면, 예의사가 나아가서 부복하고 꿇어앉아 아뢰기를, ‘유사(有司)가 삼가 갖추었으니 행사하소서.’ 하고, 물러나서 제자리로 돌아간다. 근시가 관세위로 나아가서 관세를 마치고 돌아와 시위(侍位)한다. 알자(謁者)가 진폐찬작관과 전폐찬작관을 인도하여 관세위로 나아가서 관세를 마치고 동계로부터 올라가서 환조실의 준소(尊所)에 나아가 북향하여 서면, 집례가 말하기를, ‘예의사는 전하를 인도하여 전폐례(奠幣禮)를 행하라.’ 하여 예의사가 전하를 인도하면, 관세위로 나아가서 북향하고 선다. 예의사가 부복하고 꿇어앉아 진규(搢圭)하기를 계청하면, 전하가 규를 꽂는다. 【만일 꽂기가 불편하면 근시가 받들어 봉행한다.】 근시가 꿇어앉아 대야[匜]를 취하여 물을 붓고, 일어나 또 근시가 꿇어앉아 소반[盤]을 취하여 물을 받는데, 전하가 손을 씻으면 근시가 꿇어앉아 비(篚)에서 수건을 취하여 올리고. 전하가 손을 닦고 나면 근시가 수건을 받아서 비에 올려 놓는다. 예의사가 집규(執圭)하기를 계청(啓請)하면 전하가 규를 잡는다. 예의사가 전하를 인도하여 동계로부터 올라가면, 【근시가 따라 올라간다.】 환조실의 준소에 나아가 서향(西向)하여 선다. 등가(登歌)에서 보태평지악(保太平之樂)을 연주하고 보태평지무(保太平之舞)를 춘다. 집준자(執尊者)가 멱(羃)을 들고 진폐찬작관이 울창(鬱鬯)을 떠내면 근시가 찬(瓚)으로 울창을 받는다. 예의사가 전하를 인도하여 신위 앞으로 나아가 북향하여 서게 하고, 예의사가 부복하여 꿇어앉아 진규(搢圭)하기를 계청하면 전하가 꿇어앉아 규를 꽂고, 자리에 있던 사람도 모두 꿇어앉는다. 【친자도 또한 찬을 한다.】 근시 한 사람이 향합(香合)을 받들어 꿇어앉아 올리고, 한 사람은 향로(香爐)를 받들어 올리면, 예의사가 삼상향(三上香)하기를 계청하여 전하가 세 번 향을 피우고, 근시가 향로를 안(案)에 올려 놓는다. 근시가 찬을 진폐찬작관에게 주어서 진폐찬작관이 찬을 받들어 꿇어앉아서 올리면, 예의사가 찬을 잡고 관지(祼地)하기를 계청하여 전하가 찬을 잡아 땅에 강신(降神)하기를 마치고, 찬을 전폐찬작관에게 주는데, 전폐찬작관이 받아서 대축(大祝)에게 주어 준소(尊所)에 놓는다. 근시가 폐비(幣篚)를 진폐찬작관에게 주면 진폐찬작관이 폐백을 받들어 꿇어앉아서 올린다. 예의사가 집폐헌폐(執幣獻幣)하기를 계청하여 전하가 폐백을 잡아 폐백을 드리고, 폐백을 전폐찬작관에게 주어서 안(案)에 드리게 한다. 【무릇 진향(進香)·진찬(進瓚)·진폐(進幣)할 때는 모두 동쪽에 있게 하되 서향하고, 전로(奠爐)·수찬(受瓚)·전폐(奠幣)할 때는 모두 서쪽에 있게 하되 동향한다. 진작(進爵)·전작(奠爵)도 이에 준한다.】 예의사가 집규(執圭)·부복(俯伏)·흥(興)·평신(平身)하기를 계청하여 전하가 규를 잡고 부복했다가 일어나서 몸을 바로 하는데, 자리에 있던 자도 모두 같이 한다. 【찬자도 또한 찬을 한다.】 예의사가 전하를 인도하여 지게문을 나와서 태조실(太祖室)에 나아가고, 다음에 공정왕실(恭靖王室)에 나아가고, 그 다음에 태종실(太宗室)에 나아가고, 다음에 세종실(世宗室)에 나아가고, 다음에 문종실(文宗室)에 나아가서 상향(上香)하고, 관창(祼鬯)하고 전폐(奠幣)하기를 모두 위의 의식과 같이 한다. 이를 마치면 음악을 그친다. 진폐찬작관·전폐찬작관이 모두 내려와서 제자리로 돌아가고, 예의사가 전하를 인도하여 지게문을 나와 동계로부터 내려와서 제자리로 돌아간다. 음악이 그칠 때를 당하여 여러 축사가 각각 모혈반(毛血盤)과 간료등(肝膋㽅)을 전영(前楹) 사이에서 가져와서 모두 들여와 신위 앞에 드린다. 【모혈반은 등(㽅)의 뒤에 있고 간료등은 변(籩)의 왼쪽에 있다.】 여러 축사가 모두 간(肝)을 가지고 지게문을 나와서 화로불에 구워서 준소로 돌아간다.
전하가 이미 올라가 강신(降神)을 마치면, 찬인이 전사관(典祀官)을 인도하고 나와서 진찬(進饌)하는 사람을 거느리고 주방(廚房)에 나아가 비(匕)로써 소를 가마[鑊]에 들어 올려서 한 솥[鼎]에 담고, 다음에 양을 들어 올려서 한 솥에 담고, 다음에는 돼지를 들어 올려서 한 솥에 담는데, 【매 실(室)마다 소·돼지가 각각 한 솥이다.】 모두 경(扃)·멱(羃)을 설치하며, 축사가 마주 들고 들어와 찬만(饌幔) 안에 진설한다. 알자(謁者)가 천조관(薦俎官)을 인도하여 나와서 찬소(饌所)로 나아가면 봉조관(捧俎官)이 이를 따르는데, 전하가 강신(降神)을 마치기를 기다려서 제자리로 돌아간다. 집례가 말하기를, ‘찬(饌)을 올리라.’ 하면, 축사가 경(扃)을 들어 솥 오른쪽에 두고 멱을 걷어치우고, 비(匕)와 필(畢)을 솥에 얹어 둔다. 전사관이 비(匕)로써 소를 떠올려 생갑(牲匣)에 담고, 다음에 양과 돼지를 떠올려 각각 생갑에 담는다. 【매 실(室)마다 소·양·돼지가 각각 한 갑이다.】 다음에 천조관을 인도하여 환조실의 조(俎)를 받들게 하면 봉조관이 각각 생갑을 받든다. 전사관이 제찬(祭饌)을 인도하여 정문(正門)으로 들어오는데, 【남문이다.】 조(俎)가 처음 문에 들어오면 헌가(軒架)에서 풍안지악(豐安之樂)을 연주한다. 여러 축사가 함께 나아가서 모혈반을 걷어치워 동계에서 재랑(齋郞)에게 주어 나가게 하고, 찬(饌)이 태계(泰階)에 이르면 여러 대축이 섬돌 위로 맞이하여 인도한다. 천조관이 환조실 신위 앞에 나아가서 북향하여 꿇어앉아 드리는데, 먼저 소를 올리고, 다음에 양을 올리고, 다음에 돼지를 올린다. 【여러 대축이 올리는 것을 도운다.】 드리기를 마치면, 생갑의 덮개를 열고 태조실로 나아가고, 다음에 공정왕실로 나아가고, 다음에 태종실로 나아가고, 다음에 세종실로 나아가고, 다음에 문종실로 나아가서 받들어 드리기를 위의 의식과 같이 한다. 이를 마치면 음악이 그치고, 알자가 천조관 이하를 인도하여 동계로부터 내려와서 제자리로 돌아가고, 여러 대축이 각각 쑥[蕭]·서직(黍稷)을 취해 【그대로 짜른다.】 기름에 버무려 화로 숯불에 태우고 준소로 돌아간다. 알자가 진폐찬작관과 전폐찬작관을 인도하여 환조실의 준소로 나아가 북향하여 서게 하면, 집례가 말하기를, ‘예의사는 전하를 인도하여 초헌례(初獻禮)를 행하시게 하라.’ 하여, 예의사가 전하를 인도하여 동계로부터 올라가 환조실의 준소에 나아가서 서향하여 서게 하면, 등가(登歌)에서 보태평지악(保太平之樂)을 연주하고 보태평지무(保太平之舞)를 춘다. 집준자가 멱을 들고, 진폐찬작관이 예재(醴齋)를 떠내면, 근시 두 사람이 작으로써 술을 받는다. 예의사가 전하를 인도하여 신위 앞으로 나아가서 북향하여 서게 하고, 예의사가 부복하고 꿇어않아서, 궤(跪)·진규(搢圭)하기를 계청하면 전하가 꿇어앉아서 규를 꽂고, 자리에 있던 자도 모두 꿇어앉는다. 【찬자도 또한 찬을 한다.】 근시(近侍)가 작을 진폐찬작관에게 주면, 진폐찬작관이 꿇어앉아 올린다. 예의사가 집작 헌작(執爵獻爵)하기를 계청하여 전하가 잔을 잡아서 잔을 드리는데, 작을 전폐찬작관에게 주어 신위 앞에 드리게 한다. 근시가 다음 작(爵)을 진폐찬작관에게 주면, 진폐찬작관이 작을 받들어 꿇어앉아 올린다. 예의사가 집작 헌작하기를 계청하여 전하가 잔을 잡아 잔을 드리는데, 작을 전폐찬작관에게 주어 왕후(王后)의 신위 앞에 드리게 한다. 예의사가 집규(執圭)·부복(俯伏)·흥(興)·소퇴(少退)·북향(北向)·궤(跪)하기를 계청하여 전하가 규를 잡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 조금 물러나 북향하여 꿇어앉으면 음악이 그친다. 대축이 신위의 오른쪽으로 나아가서 동향하고 꿇어앉아 축문 읽기를 마치면 음악을 연주한다. 예의사가 부복·흥·평신하기를 계청하여 전하가 부복하였다가 일어나서 몸을 바로 하는데, 자리에 있던 자도 부복하였다가 일어나 몸을 바로한다. 예의사가 전하를 인도하여 지게문을 나가면 음악이 그친다. 각실(各室)로 나아가서 술잔에 술을 따라 드리는 것은 모두 위의 의식과 같이 한다. 음악이 그치고 진폐찬작관과 전폐찬작관이 모두 내려와서 제자리로 돌아가고, 예의사는 전하를 인도하여 지게문을 나와서 동계로부터 내려와 제자리로 돌아간다. 예의사가 부복하고 꿇어앉아 소차(小次)로 들어갈 것을 계청하고, 전하를 인도하여 장차 소차에 이르려고 하면 예의사가 부복하고 꿇어앉아 석규(釋圭)하기를 계청하여, 전하가 규를 놓으면 근시가 꿇어앉아 규를 받는다. 전하가 소차로 들어가면 보태평지무(保太平之舞)는 물러가고, 정대업지무(定大業之舞)가 나온다.
처음에 전하가 장차 제자리로 돌아갈 때 집례가 말하기를, ‘아헌례(亞獻禮)를 행하라.’ 하여 부지통례(副知通禮)가 아헌관(亞獻官)을 인도한다. 만일 왕세자(王世子)가 아니면 알자가 인도하여 관세위에 나아가서 북향하여 서게 하고, 홀(笏)을 꽂으라고 찬하여, 손을 씻고 손을 닦는다. 【손을 씻고 손을 닦는데는 찬하지 않는다.】 홀을 잡으라고 찬하여, 아헌관을 인도하여 동계로부터 올라와 환조실 준소에 나아가서 서향하고 서게 하면, 헌가에서 정대업지악(定大業之樂)을 연주하고, 정대업지무(定大業之舞)를 춘다. 집준자가 멱을 들고 앙제(盎齊)를 떠내면 집사자(執事者) 두 사람이 작으로 술을 받는다. 아헌관을 인도하여 신위 앞으로 나아가 북향하여 서게 하고, 꿇어앉아서 홀(笏)을 꽂으라고 찬하여, 집사자가 작을 아헌관에게 주면, 작을 잡아 작을 두드리는데, 작을 집사자에게 주어서 신위 앞에 드리게 한다. 집사자가 다음 작을 아헌관에게 주어 아헌관이 작을 잡아 작을 드리는데, 작을 집사자에게 주어서 왕후의 신위 앞에 드리게 한다. 부지통례(副知通禮)가 홀을 잡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서 몸을 바로하라고 찬하여 인도해 나가고, 차례대로 작헌(酌獻)하기를 모두 위의 의식과 같이 하여 마친다. 음악이 그치고 인진사(引進使)가 인도하여 내려와 제자리로 돌아간다. 아헌관이 헌작을 장차 마치려 하면, 집례가 말하기를, ‘종헌례(終獻禮)를 행하라.’ 하여, 알자가 종헌관(終獻官)을 인도하여 행례(行禮)하기를 아헌(亞獻)의 의식과 같이 한다. 처음에 종헌관(從獻官)이 이미 오르면, 찬인이 칠사 헌관(七祀獻官)을 인도하여 관세위로 나아가서 홀을 꽂고, 손을 씻고 손을 닦기를 마치면, 홀을 잡고 준소로 나아가게 한다. 집준자가 멱을 들고 술을 떠내면, 집사자가 작으로 술을 받는다. 헌관이 신위 앞으로 나아가서 서향하여 꿇어앉아 홀을 꽂으면, 집사자가 작을 주고 헌관이 작을 잡아 작을 올리고 드리기를 마치면 홀을 잡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 조금 물러서서 서향하여 꿇어앉는다. 축(祝)이 헌관의 왼쪽으로 나아가서 북향하여 꿇어앉아 축문을 읽기를 마치고, 헌관이 부복했다가 일어나 몸을 바로 펴면, 찬인이 헌관을 인도하여 제자리로 돌아간다. 처음에 칠사 헌관(七祀獻官)이 장차 관세위로 나아갈 때, 찬인이 배향 공신 헌관(配享功臣獻官)을 인도하여 관세위로 나아가서 홀을 꽂고 손을 씻고 손을 닦게 한다. 이를 마치고 홀을 잡고 준소로 나아가서 집준자가 멱을 들고 술을 떠내면 집사자가 작으로 술을 받는다. 헌관이 신위 앞으로 나아가 동향하고 서서 홀을 꽂으면, 집사자가 작을 준다. 헌관이 작을 잡아 작을 드리되, 차례대로 작을 드리기를 마치면, 홀을 잡고 찬인이 헌관을 인도하여 제자리로 돌아간다.
처음에 종헌관이 이미 제자리로 돌아가면, 알자가 진폐찬작관과 천조관(薦俎官)을 인도하여 동계로부터 올라와서 음복위(飮福位)로 나아가 북향하여 서게 하고, 대축이 환조실 준소로 나아가서 작을 가지고 상준(上尊)의 복주(福酒)를 떠내고, 또 대축이 조(俎)를 가지고 나아가서 신위 앞에 있는 조육(胙肉)을 덜어낸다. 집례가 말하기를, ‘예의사는 전하를 인도하여 음복위(飮福位)로 나가시게 하라.’ 하면 예의사가 소차(小次)의 앞에 나아가 부복하였다가 꿇어앉아 음복위에 나아가기를 계청한다. 전하가 소차에서 나오면 근시가 꿇어앉아 규를 올리고, 예의사가 부복하였다가 꿇어앉아 집규(執圭)하기를 계청하여 전하가 규를 잡으면 예의사가 전하를 인도하여 음복위로 나아가 서향하여 서게 한다. 대축이 작을 진폐찬작관에게 주면 진폐찬작관이 작을 받들어 북향하여 꿇어앉아서 올리고, 예의사가 부복하여 궤(跪)·진규(搢圭)하기를 계청하면 전하가 꿇어앉아 규를 꽂고 자리에 있던 자도 다 꿇어앉는다. 전하가 잔을 받아 마시기를 마치면 진폐찬작관이 빈 작을 받아서 대축에게 주고, 대축이 받아서 점(坫)에 도로 놓는다. 대축이 조(俎)를 천조관에게 주어서 조를 받들고 북향하여 올리면, 예의사가 수조(受俎)하기를 계청하여 전하가 조를 받아서 준다. 근시가 조를 받들어 동계로부터 내려와 문으로 나가서 사옹(司饔)에게 준다. 진폐찬작관과 천조관이 다 내려와서 제자리로 돌아가고, 예의사가 집규(執圭)·부복(俯伏)·흥(興)·평신(平身)하기를 계청하면 전하가 규를 잡고 부복하였다가 일어나 몸을 바로하고 자리에 있던 자도 모두 부복하였다가 일어나 몸을 바로한다. 예의사가 전하를 인도하여 제자리로 내려가면, 집례가 말하기를, ‘사배(四拜)하라.’ 하고, 예의사가 부복하였다가 꿇어앉아 국궁·사배·흥·평신하기를 계청하면 전하가 국궁하여 네 번 절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하고, 자리에 있던 자도 모두 같이 한다. 【찬자도 또한 찬한다.】 집례가 말하기를, ‘변(籩)·두(豆)를 걷어치우라.’ 하면, 등가(登歌)에서 옹안지악(雍安之樂)을 연주하고, 여러 대축들이 실(室)에 들어와 변·두를 걷어치운다. 【걷는다는 것은 변·두 각각 하나씩을 전에 있던 자리에서 조금 옮겨 놓는 것이다.】 칠사·공신의 축사·재랑이 각각 변·두를 걷어치우면 음악이 그친다. 집례가 말하기를, ‘송신례(送神禮)를 행하라.’ 하면, 헌가에서 흥안지악(興安之樂)을 연주한다. 집례가 말하기를, ‘사배하라.’ 하면, 예의사가 부복하였다가 꿇어앉아 국궁·사배·흥·평신하기를 계청하여 전하가 국궁하여 네 번 절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하고, 자리에 있던 자도 모두 같이 한다. 【찬자도 또한 찬한다.】 음악이 그치면 예의사가 부복하고 꿇어앉아 예식이 끝났음을 아뢰고, 전하를 인도하여 재궁(齋宮)으로 돌아간다. 예의사가 부복하고 꿇어앉아 규를 놓기를 청하면 전하가 규를 놓고 근시가 규를 받으며, 산선의 시위는 평상시의 의식과 같이 하고, 전하는 재궁에 들어가 면복(冕服)을 벗는다. 집례가 말하기를, ‘망예(望瘞)하라.’ 하면 인진사(引進使)가 아헌관을 인도하여 망예위로 나아가 북향하여 서게 하고, 집례가 찬자를 거느리고 망예위(望瘞位)로 나아가 서향하고 서면, 여러 대축들이 서직반(黍稷飯)을 가져다가 백모(白茅)로 깔아서 묶고, 비(篚)로 축판(祝版)과 폐백을 취하여 서계(西階)로 해서 내려와 구덩이에 두면, 집례가 말하기를, ‘묻으라.’ 하여, 흙을 구덩이에 반쯤 채우는데, 종묘령이 감시(監視)한다. 부지통례가 아헌관을 인도하고, 찬인이 여러 향관(享官)을 인도하여 나간다. 집례가 찬자를 거느리고 본디 자리로 돌아가고, 봉례랑(奉禮郞)이 배제(陪祭)한 종친(宗親)과 백관(百官)을 나누어 인도하여 차례대로 나간다. 찬인이 감찰과 여러 집사를 인도하여 모두 악현(樂懸) 북쪽의 배위(拜位)로 돌아간다. 집례가 말하기를, ‘사배(四拜)하라.’ 하면, 감찰과 여러 집사가 다 국궁하여 네 번 절하고 일어나 몸을 바로하고, 찬인이 차례대로 인도하여 나간다. 아악 령이 공인과 두 무인(舞人)을 거느리고 나가고, 종묘령·대축·궁위령 이 신주를 들여 놓기를 평상시의 의식과 같이 한다. 집례가 알자·찬자·찬인을 거느리고 악현 북쪽의 배위로 나아가서 네 번 절하고 나가고, 칠사 헌관이 서문 밖의 칠사의 예감(瘞坎) 남쪽으로 나아가서 북향하여 서면, 집사자가 축판을 예감에 놓고서 묻기를 마치고 물러간다. 전사관과 종묘령이 각각 그 소속을 거느리고 예찬(禮饌)을 거두고, 궁위령이 지게문을 닫고 내려와서 물러나고, 거가(車駕)도 환궁(還宮)한다."
이 제례(祭禮)는 대사성(大司成) 김필(金㻫)이 집례하였다. 임금이 제사를 마치고 재전(齋殿)에 돌아와서 예의사 예조 판서(禮曹判書) 박원형(朴元亨)과 도승지(都承旨) 노사신(盧思愼)을 불러 술을 하사하고 이르기를,
"이제 연주한 새 악곡(樂曲)이 대례(大禮)를 잘 진행하여 하나도 차실(差失)이 없으니, 세종(世宗)의 유의(遺意)를 이루어 매우 기쁘다."
하니, 박원형 등이 이르기를,
"만일 성상의 좋은 계승(繼承)이 없었더라면 세종의 뜻도 마침내 땅에 떨어졌을 것입니다."
하였다. 임금이 또 이르기를,
"집례자가 누구이었는가?"
하니, 박원형이 대답하기를,
"김필이었습니다."
하였다. 또 이르기를,
"내가 근래에 병이 들어 동작하기 어렵다. 그전에는 음복(飮福)할 때 반드시 졸작(卒爵)014) 하였는데, 지금은 그렇게 할 수 없으니, 탄식할 뿐이다. 명일(明日) 원구제(圜丘祭)의 예수(禮數)015) 가 매우 번거로와 노권(勞倦)한 데에 이를까 두려우니, 마땅히 의주(儀注)를 고쳐서 될 수 있는 대로 간약(簡約)하게 하고, 경(卿)은 밤새도록 움직여야 하니, 먼저 원구 재소(圜丘齋所)에 가서 쉬면서 기다리는 것이 마땅하며, 집례자(執禮者)로 하여금 최항(崔恒)에게 나아가서 다시 의주를 간략하게 만들어 아뢰도록 하라."
하였다. 김필과 최항이 전폐(奠幣)·삼헌(三獻)의 절차(節次)를 약하여, 전폐(奠幣)한 뒤 곧 삼헌의 의식을 연하여 올리도록 하여서 아뢰니 그대로 따랐다.
- 【태백산사고본】 11책 32권 4장 A면【국편영인본】 7책 601면
- 【분류】왕실-종사(宗社) / 왕실-행행(行幸) / 왕실-사급(賜給) / 왕실-의식(儀式) / 왕실-국왕(國王) / 예술-음악(音樂)
○上親祀宗廟, 奏新制定大業、保太平之樂。 其儀: "其日丑前五刻 【丑前五刻卽三更三點, 行事用丑時一刻。】 宮闈令率其屬開室, 整拂神幄, 每座皆設席, 蒲筵繢純加莞席, 粉純右彫几。 宗廟令、典祀官各率其屬, 入實饌具畢, 贊引引監察升自阼階。 【凡行事執事官升降, 皆自阼階。】 按察堂之上下, 糾察不如儀者還出。 前三刻, 諸享官及陪祭官各具其服, 【享官祭服, 陪祭官朝服。】 執禮率謁者、贊者、贊引入自東門, 先就階間懸北拜位, 重行北向西上, 四拜訖各就位。 雅樂令帥工人二舞入就, 位文舞入陳於懸北, 武舞立於懸南道西, 奉禮郞分引陪祭宗親及文武百官入就位, 副知通禮引亞獻官, 贊引引諸享官, 俱就東門外位, 贊引引監察、典祀官、大祝、祝史、齋郞、宗廟令、宮闈令、協律郞、捧俎官、執樽罍篚羃者七祀, 功臣、祝史、齋郞ㆍ執樽ㆍ罍ㆍ篚ㆍ羃者入就懸北拜位, 重行北向西上, 執禮曰 ‘四拜’, 贊者贊 ‘鞠躬、四拜、興、平身’。 【凡執禮有辭, 贊者皆傳贊。】 監察以下皆鞠躬四拜, 興、平身。 贊引引監察及典祀官就位, 贊引引諸執事, 詣盥洗位, 盥洗訖, 各就位。 前一刻副知通禮引亞獻官, 贊引引終獻官進幣瓚爵官、薦俎官、奠幣瓚爵官、七祀、功臣、獻官入就位。 贊引引大祝、宗廟令、宮闈令, 升自阼階, 詣桓祖室入開埳室, 大祝、宮闈令捧出神位, 設於座。 【詣神幄內於几左, 啓匱設於座, 先王神主大祝捧出, 覆以白苧巾, 先后神主宮闈令捧出, 覆以靑苧巾, 以西爲上。】 太祖以下神位如桓祖室儀, 引降復位。 贊引引齋郞詣爵洗位, 洗瓚拭瓚, 洗爵拭爵, 置於篚, 捧詣泰階, 諸祝史各迎取於階上, 置於樽所坫上訖, 諸享官將入就位。 判通禮詣齋宮前俯伏跪, 啓請中嚴, 小頃又啓外辦。 殿下具冕服以出, 繖扇侍衛如常儀。 禮儀使導殿下至東門外, 近侍跪進圭。 殿下執圭, 繖扇仗衛停於門外, 尙瑞官奉寶陳於小次之側。 禮儀使導殿下入自正門, 【侍衛不應入者, 止於門外。】 詣版位西向立。 【每立定禮儀使退立於左。】 執禮曰 ‘樂作’, 軒架作保太平之樂, 保太平之舞作, 樂止。 執禮曰 ‘四拜’, 禮儀使進俯伏跪, 啓請鞠躬、四拜、興、平身, 殿下鞠躬、四拜、興、平身, 在位者同。 【贊者亦贊, 先拜者不拜。】 執禮曰 ‘禮儀使啓請行事’, 禮儀使進俯伏跪啓 ‘有司謹具請行事’, 退復位。 近侍詣盥洗位, 盥洗訖, 還侍位。 謁者引進幣瓚爵官、奠幣瓚爵官, 詣盥洗位, 盥洗訖, 升自阼階, 詣桓祖室尊所北向立, 執禮曰 ‘禮儀使導殿下行奠幣禮’, 禮儀使導殿下詣盥洗位北向立。 禮(禮)〔儀〕 使俯伏跪, 啓請搢圭, 殿下搢圭。 【如搢不便, 近侍承奉。】 近侍跪取匜興添水, 又近侍跪取盤承水。 殿下盥手, 近侍跪取巾於篚以進, 殿下帨手訖, 近侍受巾, 奠於篚。 禮儀使啓請執圭, 殿下執圭, 禮儀使導殿下, 升自阼階 【近侍從升。】 桓祖室尊所西向立。 登歌作保太平之樂、保太平之舞作, 執尊者擧羃, 進幣瓚爵官酌鬱鬯。 近侍以瓚受鬱鬯, 禮儀使導殿下, 詣神位前北向立。 禮儀使俯伏跪, 啓請搢圭, 殿下跪搢圭, 在位皆跪。 【贊者亦贊。】 近侍一人捧香合跪進, 一人捧香爐跪進, 禮儀使啓請三上香, 殿下三上香, 近侍奠爐于案, 近侍以瓚授進幣瓚爵官, 進幣瓚爵官奉瓚跪進。 禮儀使啓請執瓚祼地, 殿下執瓚祼地。 訖以瓚授奠幣瓚爵官, 奠幣瓚爵官受以授大祝, 置於尊所。 近侍以幣篚授進幣瓚爵官, 進幣瓚爵官捧幣跪進禮儀使, 啓請執幣、獻幣, 殿下執幣、獻幣, 以幣授奠幣瓚爵官, 奠于案。 【凡進香、進瓚、進幣皆在東西向, 奠爐、受瓚、奠幣皆在西東向, 進爵、奠爵準此。】 禮訖, 使啓請執圭、俯伏、興、平身, 殿下執圭、俯伏、興、平身, 在位者同。 【贊者亦贊。】 禮儀使導殿下出戶, 詣太祖室, 次詣恭靖王室, 次詣太宗室, 次詣世宗室, 次詣文宗室, 上香、祼鬯、奠幣竝如上儀訖, 樂止。 進幣瓚爵官、奠幣瓚爵官皆降復位, 禮儀使導殿下出戶, 降自阼階復位。 當樂止時, 諸祝史各取毛血盤、肝膋㽅於前楹間, 俱入奠於神位前, 【毛血盤在㽅之後, 肝膋㽅在籩之左。】 諸祝史俱取肝出戶燔於爐炭, 還尊所。 殿下旣升祼。 贊引引典祀官出, 帥進饌者詣廚, 以匕升牛于鑊, 實于一鼎, 次升羊實于一鼎, 次升豕實于一鼎。【每(實) 〔室〕爲牛豕各一鼎。】 皆設扃羃, 祝史對擧, 入設於饌幔內, 謁者引薦俎官, 出詣饌所, 捧俎官隨之, 候殿下祼, 訖復位。 執禮曰 ‘進饌’, 祝史抽扃委于鼎, 右除羃, 加匕畢于鼎。 典祀官以匕升牛, 實于牲匣, 次升羊豕, 各實于牲匣。【每(實) 〔室〕牛羊豕各一匣。】 次引薦俎官, 捧桓祖室俎, 捧俎官各捧牲匣, 典祀官引饌, 入自正門。 【南門。】 俎初入門, 軒架作豐安之樂。 諸祝史具進撤毛血盤, 自阼階授齋郞以出, 饌至泰階, 諸大祝迎引於階上。 薦俎官詣桓祖室神位前北向跪奠, 先薦牛, 次薦羊, 次薦豕。 【諸大祝助奠。】 奠訖, 啓牲匣蓋, 詣太祖室, 次詣恭靖王室, 次詣太宗室, 次詣世宗室, 次詣文宗室, 捧奠竝如上儀。 訖樂止。 謁者引薦俎官以下降自阼階復位, 諸大祝各取蕭黍稷擩 【而專切。】 於脂, 燔於爐炭, 還尊所。 謁者引進幣瓚爵官、奠幣瓚爵官, 升詣桓祖室尊所, 北向立。 執禮曰 ‘禮儀使導殿下, 行初獻禮’, 禮儀使導殿下, 升自阼階, 詣桓祖室尊所西向立, 登歌作保太平之樂, 保太平之舞作。 執尊者擧羃, 進幣瓚爵官酌醴齋, 近侍二人以爵受酒。 禮儀使導殿下詣神位前北向立, 禮儀使俯伏跪, 啓請 ‘跪、搢圭’, 殿下跪、搢圭, 在位者皆跪。 【贊者亦贊。】 近侍以爵授進幣瓚爵官, 進幣瓚爵官捧爵跪進。 禮儀使啓請 ‘執爵、獻爵’, 殿下執爵、獻爵, 以爵授奠幣瓚爵官, 奠于神位前。 近侍以副爵授進幣瓚爵官, 進幣瓚爵官捧爵跪進, 禮儀使啓請 ‘執爵、獻爵’, 殿下執爵、獻爵, 以爵受奠幣瓚爵官, 奠于王后神位前。 禮儀使啓請 ‘執圭、俯伏、興、少退、北向、跪’, 殿下執圭、俯伏、興、少退、北向跪, 樂止。 大祝進神位之右東向跪, 讀祝文訖, 樂作。 禮儀使啓請 ‘俯伏、興、平身’, 殿下俯伏、興、平身, 在位者俯伏、興、平身。 禮儀使導殿下出戶, 樂止。 詣各室獻酌, 竝如上儀。 樂止, 進幣瓚爵官、奠幣瓚爵官皆降復位, 禮儀使導殿下出戶, 降自阼階復位。 禮儀使俯伏、跪, 啓請入小次, 導殿下將至小次, 禮儀使俯伏、跪, 啓請釋圭, 殿下釋圭, 近侍跪受圭。 殿下入小次, 保太平之舞退, 定大業之舞進。 初, 殿下將復位, 執禮曰 ‘行亞獻禮’, 副知通禮引亞獻官。 若非王世子, 則謁者引詣盥洗位北向立, 贊搢笏, 盥手帨手。 【盥手、帨手不贊。】 贊執笏, 引亞獻官升自阼階, 詣桓祖室尊所西向立, 軒架作定大業之樂, 定大業之舞作。 執尊者擧羃酌盎齊, 執事者二人以爵受酒。 引亞獻官詣神位前, 北向立, 贊跪搢笏, 執事者以爵授亞獻官, 執爵、獻爵, 以爵授執事者, 奠于神位前。 執事者以副爵授亞獻官, 亞獻官執爵、獻爵, 以爵授執事者, 奠于王后神位前。 副知通禮贊執笏, 俯伏、興、平身。 引出以次, 酌獻竝如上儀。 訖樂止。 引進使引降復位。 亞獻官獻將畢, 執禮曰 ‘行終獻禮’, 謁者引終獻官, 行禮如亞獻儀。 初, 終獻官旣升, 贊引引七祀獻官, 詣盥洗位搢笏、盥手、帨手訖, 執笏詣尊所, 執尊者擧羃酌酒, 執事者以爵受酒。 獻官詣神位前西向跪搢笏, 執事者授爵, 獻官執爵, 獻奠訖, 執笏、俯伏、興、少退西向跪。 祝就獻官之左北向(詭)〔跪〕 , 讀祝文訖, 獻官俯伏、興、平身, 贊引引獻官復位。 初, 七祀獻官將詣盥洗位, 贊引引配享功臣獻官, 詣盥洗位搢笏、盥手、帨手訖, 執笏詣尊所, 執(事)〔尊〕 者擧羃酌酒, 執事者以爵受酒, 獻官詣神位前東向立搢笏, 執事者授爵, 獻官執爵奠爵, 以次奠訖, 執笏, 贊引引獻官復位。 初, 終獻官旣復位, 謁者引進幣瓚爵官、薦俎官, 升自阼階, 詣飮福位北向立。 大祝詣桓祖室尊所, 以爵酌上尊福酒, 又大祝持俎, 進減神位前胙肉。 執禮曰 ‘禮儀使導殿下, 詣飮福位’, 禮儀使進小次前, 俯伏、跪啓請詣飮福位, 殿下出次, 近侍跪進圭, 禮儀使導殿下詣飮福位, 禮儀使進小次前, 俯伏、跪, 啓請詣飮福位, 殿下出次, 近侍跪進圭。 禮儀使俯伏跪, 啓請執圭, 殿下執圭, 禮儀使導殿下詣飮福位西向立。 大祝以爵授進幣瓚爵官, 進幣瓚爵官捧爵北向跪進, 禮儀使俯伏, 啓請跪、搢圭, 殿下跪、搢圭, 在位者皆跪。 殿下受爵飮訖, 進幣瓚爵官受虛爵, 以授大祝, 大祝受復於坫。 大祝以俎授薦俎官, 捧俎北向跪進, 禮儀使啓請受俎, 殿下受俎以授。 近侍捧俎降自阼階出門, 授司饔。 進幣瓚爵官、薦俎官皆降復位, 禮儀使啓請執圭、俯伏、興、平身, 殿下執圭、俯伏、興、平身, 在位者皆俯伏、興、平身。 禮儀使導殿下降復位, 執禮曰 ‘四拜’, 禮儀使俯伏跪, 啓請鞠躬、四拜、興、平身, 殿下鞠躬、四拜、興、平身, 在位者同。 【贊者亦贊。】 執禮曰 ‘撤籩豆’, 登歌作雍安之樂。 諸大祝入室, 撤籩豆。 【撤者籩豆各一少移於古處】 七祀功臣、祝史、齋郞各撤籩豆, 撤訖樂止。 執禮曰 ‘行送神禮’, 軒架作興安之樂。 執禮曰 ‘四拜’, 禮儀使俯伏、跪, 啓稱鞠躬、四拜、興、平身, 殿下鞠躬、四拜、興、平身, 在位者同。 【贊者亦贊。】 樂止, 禮儀使俯伏跪, 啓禮畢, 導殿下還齋宮。 禮儀使俯伏跪, 請釋圭, 殿下釋圭, 近侍跪受圭, 繖扇侍衛如常儀。 殿下入齋宮, 釋冕服。 執禮曰 ‘望瘞’, 引進使引亞獻官, 詣望瘞位北向立, 執禮帥贊者詣望瘞位西向立, 諸大祝取黍稷飯, 籍用白茅束之, 以篚取祝版及幣, 降自西階, 置於坎, 執禮曰 ‘可瘞’, 置土半坎, 宗廟令監視。 副知通禮引亞獻官, 贊引引諸享官出。 執禮帥贊者還本位, 奉禮郞分引陪祭宗親及百官, 以次出。 贊引引監察及諸執事, 俱復懸北拜位。 執禮曰 ‘四拜’, 監察及諸執事皆鞠躬、四拜、興、平身, 贊引以次引出。 雅樂令帥工人二舞出, 宗廟令、大祝、宮闈令納神主如常儀。 執禮帥謁者、贊者、贊引, 就懸北拜位, 四拜而出, 七祀獻官詣西門外七祀瘞坎之南北向立, 執事者置祝版於瘞坎, 瘞訖退, 典祀官宗廟令各率其屬撤禮饌, 宮闈令闔戶以降乃退, 車駕還宮。" 是祭也大司成金㻶執禮。 上饗訖, 還齋殿。 召禮儀使禮曹判書朴元亨及都承旨盧思愼賜酒謂曰: "今奏新樂, 得展大禮, 一無差失, 甚喜成世宗遺意。" 元亨等曰: "若非上之善述, 世宗之志, 終墜地矣。" 上又曰: "執禮者誰?" 元亨對曰: "金㻶也。" 又曰: "予比患病, 艱於動作。 昔飮福必卒爵, 今不能然, 可歎已。 明日圜丘禮數寔繁, 恐至勞倦, 當改儀注, 務從簡約, 卿終夜勤動, 宜先就圜丘齋所, 休息以待令。 執禮者就崔恒更節儀注以啓。" 㻶與恒約奠幣三獻節次, 爲奠幣後, 連奠三獻之儀以啓。 從之。
- 【태백산사고본】 11책 32권 4장 A면【국편영인본】 7책 601면
- 【분류】왕실-종사(宗社) / 왕실-행행(行幸) / 왕실-사급(賜給) / 왕실-의식(儀式) / 왕실-국왕(國王) / 예술-음악(音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