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조실록28권, 세조 8년 5월 17일 신해 1번째기사 1462년 명 천순(天順) 6년

이파·이영은 등을 예문관 직사로 임명하여 월 2회 친강과 부시를 짓도록 하다

사정전(思政殿)에 나아가 상참(常參)을 받고, 정사를 보고 윤대(輪對)하였다. 임금이 문학(文學)하는 선비가 옛만 같지 못함을 염려하여 도승지 홍응(洪應)에게 명하여 문사(文士) 중에 학술(學術)이 있는 자를 가려서 아뢰도록 하니, 홍응이 판내자시사(判內資寺事) 이파(李坡)·사헌 장령(司憲掌令) 이영은(李永垠)·세자 필선(世子弼善) 김수녕(金壽寧)·의정부 검상(議政府檢詳) 박건(朴楗)·성균 직강(成均直講) 이극돈(李克墩)·전 도사(都事) 손순효(孫舜孝), 이조 좌랑(吏曹佐郞) 어세겸(魚世謙)·정난종(鄭蘭宗)·민수(閔粹), 전 좌랑(佐郞) 정효상(鄭孝常), 성균 주부(成均注簿) 최한량(崔漢良)·이수남(李壽男)·김종련(金宗蓮), 함길도 도사(咸吉道都事) 허종(許琮)·형조 좌랑(刑曹佐郞) 이맹현(李孟賢)·세자 시직(世子侍直) 박시형(朴時衡)·훈련 주부(訓鍊注簿) 최경지(崔敬止)·성균 박사(成均博士) 박시형(朴時亨)·승문원 저작(承文院著作) 김종직(金宗直)·정자(正字) 유문통(柳文通)·예문 대교(藝文待敎) 허선(許譔)·성균 학정(成均學正) 이숙문(李淑文)·한성 참군(漢城參軍) 어세공(魚世恭) 등을 아뢰었다. 드디어 명하여 이파 등으로 예문관(藝文館) 직사(職事)를 겸하게 하도록 하고, 매 초하루와 보름의 조회(朝會) 후에는 경서(經書)를 친강(親講)하게 하고, 또 한 달에 2번씩 부시(賦詩)하게 하였다. 그러나 예문(藝文)의 직사(職事)를 겸한 사람은 각각 본직(本職)에 구애되어 능히 전심(專心)할 수 없었으므로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10책 28권 25장 B면【국편영인본】 7책 537면
  • 【분류】
    왕실-의식(儀式) / 왕실-경연(經筵) / 교육-인문교육(人文敎育) / 어문학-문학(文學)

    ○辛亥/御思政殿, 受常參、視事、輪對。 上慮文學之士不如古, 命都承旨洪應擇文士有學術者以啓, 以判內資寺事李坡、司憲掌令李永垠、世子弼善金壽寧、議政府檢詳朴楗、成均直講李克墩、前都事孫舜孝、吏曹佐郞魚世謙鄭蘭宗閔粹、前佐郞鄭孝常、成均注簿崔漢良李壽男金宗蓮咸吉道都事許琮、刑曹佐郞李孟賢、世子侍直朴時衡、訓鍊注簿崔敬止、成均博士朴始亨、承文院著作金宗直、正字柳文通、藝文待敎許譔、成均學正李淑文漢城參軍魚世恭等以啓。 遂命以等兼藝文館職, 每朔望朝會後親講經書, 又月再賦詩。 然兼藝文之人, 各拘本職, 未能專心致志。


    • 【태백산사고본】 10책 28권 25장 B면【국편영인본】 7책 537면
    • 【분류】
      왕실-의식(儀式) / 왕실-경연(經筵) / 교육-인문교육(人文敎育) / 어문학-문학(文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