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지 등 여러 신하와 대귀로 한시를 읊다
좌의정(左議政) 신숙주(申叔舟)가 화종을 준 것을 사례(謝禮)하고, 인하여 아뢰기를,
"검교 찬성(檢校贊成) 안지(安止)가 김제(金堤)로부터 왔는데, 우의정(右議政) 권남(權擥)은 안지가 은문(恩門)296) 이고, 또 일찍이 가르침을 받았기 때문에 맞이하여 술을 마시었습니다. 신도 또한 가서 참석하였는데, 하사(下賜)하신 술잔이 그때 마침 이르렀습니다. 성상의 은혜가 망극합니다."
하였다. 임금이 화위당(華韡堂)에 나아가 〈신숙주를〉 불러서 이를 묻고, 곧 안지·권남 및 병조 판서(兵曹判書) 한명회(韓明澮)·이조 참판(吏曹參判) 성임(成任)·도진무(都鎭撫) 이윤손(李允孫)·강곤(康衮), 우승지(右承旨) 유자환(柳子煥)·좌부승지(左副承旨) 홍응(洪應)·우부승지(右副承旨) 이문형(李文炯)을 불러 술자리를 베푸니, 안지 등이 임금에게 술을 올리었다. 안지를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로, 김구(金鉤)를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로 삼고, 안지에게 어의(御衣) 1령(領)을 내려주니 안지가 입고 춤을 추었다. 명하여 〈안지〉의 사위 황맹수(黃孟粹)에게 관작 1품계를 더하여 주게 하였다. 안지가 연구(聯句)297) 를 올리기를,
"살아서 성주(聖主)를 만나니, 오히려 늦은 것이 원망스럽도다."
하니, 임금이 곧 말하기를,
"옛 친구와 서로 기쁘게 노는데, 아직 초반도 안되었구나!"
하고, 여러 신하에게 명하여 계속하게 하니, 신숙주가 말하기를,
"낚시를 위수(渭水) 가에 드리우고 이미 80이 되었네."
하고, 권남은 말하기를,
"어찌 성상의 은혜가 지금같이 넓고 큰 줄을 생각했으리오?"
하고, 한명회가 말하기를,
"지금 노성(老成)한 신하에게 예(禮)를 두텁게 함이여!"
하고, 성임은 말하기를,
"창성(昌盛)한 때에 손뼉을 치며 춤을 추니, 성상의 구레나룻이 소산(蕭散)하구나!"
하고, 이문형은 말하기를,
"호호탕탕하니, 노인이라고 이름하기가 어렵도다."
하고, 유자환은 말하기를,
"권아(卷阿)298) 에게 화답하여 시를 지으니 어찌 한적하게 노닐지 않겠습니까?"
하고, 홍응은 말하기를,
"순(舜) 임금과 문왕은 억년(億年)이 지나가도 참으로 꼭 같다네."
하고,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은 말하기를,
"공적(功績)을 높이어 천만 년의 수(壽)를 드립니다."
하니, 임금이 성임에게 명하여 이것을 쓰게 하고, 이문형에게 명하여 서문(序文)을 짓게 하였는데, 그 서문은 이러하였다.
"천순 5년 신사299) 여름 6월 초5일 갑술(甲戌)에 임금이 화위당(華韡堂)에 나아가 옛 신하 안지를 부르시었다. 안지는 늙어서 벼슬을 내놓고 물러가 집에 있었는데, 이때 나이가 78세였다. 인하여 좌의정 신숙주 이하의 여러 신하들을 불러서 화위당에 입시(入侍)하게 하고 술자리를 벌이고 아악을 베풀었다. 술이 이미 취하였는데, 안지에게 어의(御衣) 1령(領)을 내려주니, 안지가 공경하게 받아서 입고 춤을 추고, 여러 신하가 서로 번갈아 일어나서 헌수(獻壽)하였다. 성상께서 안지에게 판중추원사를 제수하고 또 그 사위에게 벼슬을 더하여 주시었으니, 참으로 세상에 드문 기이한 만남이다. 안지가 시(詩) 1귀를 올리니, 성상이 화답(和答)을 내려 주고 자리에 있는 여러 신하에게 명하여 〈글귀를〉 채우게 하였다. 이미 한 편의 시가 이루어지자, 성상이 말하기를, ‘말의 뜻과 음절(音節)이 한 사람의 손에서 나온 것 같으니, 가히 볼만하다. 문신(文臣)으로 하여금 계속해서 짓게 하라.’ 하고, 곧 신(臣)에게 서문을 짓도록 명하셨다.
신은 가만히 생각하건대, 임금과 신하가 서로 만나는 것은 옛부터 어려운 일이고, 노인(老人)을 중히 여기고 유교(儒敎)를 숭상하는 것은 더욱 제왕(帝王)의 성덕(盛德)이다. 안지는 3대(三代)의 임금을 섬기면서, 유교의 도를 높이고, 유악(帷幄)의 고문이 되었고, 사국(史局)에서 역사를 편찬하는 것을 총괄하였고, 학예(學藝)의 모범이 되었으며, 과거(科擧)의 제형(提衡)으로 1대(代)의 유가(儒家)의 종장(宗匠)300) 이 되었다. 이제는 늙었으나, 전하(殿下)께서 그 옛일을 생각하고 그 나이를 존중하고 그 학문을 숭상하여, 직질(職秩)을 높이고 상(賞)을 후하게 하시어 하사하시는 것이 치우치게 많았다. 안지가 이에 은혜를 받고는 감격하여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니, 백발(白髮)이 파파(皤皤)하고 단심(丹心)이 경경(耿耿)301) 하였다. 이것은 비록 주(周)나라 임금의 잘 양호(養護)하는 것이라든가 한(漢)나라 황제의 먹을 것을 주는 것도 이보다 더할 것이 없고, 임금과 신하가 서로 기뻐하며 한 자리에서 화답(和答)하며 노래 부르는 것에 이르러서는 순(舜) 임금의 조정에서나 있었던 옛일이지 주나라나 한나라에서는 미치지 못할 바이다. 삼가 생각하건대, 성상의 성덕(盛德)이 널리 퍼지고 어진 소리가 멀리까지 미치어, 편안하고 한가롭게 지내며 양육(養育)되지 않는 것이 없으며, 어진이를 존중하고 늙은이를 공경하는 데 이르러서는 비록 《시전(詩傳)》이나 《서전(書傳)》에 기재된 것도 더함이 없을 것이다. 장차 부암(傅巖)의 늙은이302) 와 위빈(渭濱)의 늙은이303) 또한 모두 목을 길게 뻗치고 눈을 씻고 볼 것이니, 우리 전하를 위하여 쓰일 것이다. 지혜와 계책이 하늘로부터 나와서 나라를 위하는 시귀(蓍龜)304) 가 왕화(王化)를 돕고, 민생(民生)을 윤택하게 하는 것을 이루 다 말할 수 없다. 신이 엎드려 성(盛)하고 아름다운 것을 보고, 삼가 성상의 명을 받았으나 능히 큰 휴명(休命)을 포장(鋪張)305) 할 수 없어서 삼가 대강의 줄거리만 기술하고 태사씨(太史氏)306) 로 하여금 상고하게 하여 다른 날 문자문손(文子文孫)307) 도 보게 될 수 있을 것이다."
- 【태백산사고본】 9책 24권 21장 A면【국편영인본】 7책 467면
- 【분류】왕실-의식(儀式) / 왕실-사급(賜給) / 왕실-국왕(國王) / 인물(人物) / 인사-관리(管理) / 인사-임면(任免) / 어문학-문학(文學)
- [註 296]은문(恩門) : 과거에 급제한 사람이 자기의 시관(試官)을 일컫던 말. 평생 문생(門生)의 예를 다하였음.
- [註 297]
연구(聯句) : 한시(漢詩)의 대귀(對句).- [註 298]
권아(卷阿) : 《시경(詩經)》의 편명. 내조(來朝)한 제후(諸侯)들을 기린 시(詩)임.- [註 299]
천순 5년 신사 : 1461 세조 7년.- [註 300]
종장(宗匠) : 경학(經學)에 밝고 글을 잘하는 사람.- [註 301]
경경(耿耿) : 빛나는 모양.- [註 302]
부암(傅巖)의 늙은이 : 부암은 땅 이름으로서 부열(傅說)이 토목 공사를 한 곳이고, 부열은 은(殷)나라 고종(高宗)의 정승인데, 고종이 꿈에 성인(聖人)을 얻었으므로 백방으로 구하다가 부암에서 죄수들과 함께 길을 수리하고 있는 부열을 얻었다는 고사(故事)에서 나온 말.- [註 303]
위빈(渭濱)의 늙은이 : 강태공(姜太公), 즉 여상(呂尙)이 위수(渭水) 가에서 낚시질하고 있을 때 문왕(文王)의 부름을 받고 재상이 되어서 공을 세웠다는 고사(故事).- [註 304]
시귀(蓍龜) : 점을 칠 때 쓰는 시초(蓍草)와 귀갑(龜甲)을 말하는데, 나라의 중요한 일을 결정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함을 말함.- [註 305]
○甲戌/左議政申叔舟謝賜畫鐘, 仍啓: "檢贊成安止來自金堤, 右議政權擥以止恩門, 且所嘗受業, 邀而觴之。 臣亦往參, 賜鐘適至, 上恩罔極。" 上御華韡堂, 召問之, 卽召止、擥及兵曹判書韓明澮、吏曹參判成任、都鎭撫李允孫ㆍ康袞、右承旨柳子煥、左副承旨洪應、右副承旨李文炯設酌, 止等進酒。 以止判中樞院事, 金鉤同知中樞院事, 賜止御衣一領, 止服以舞。 命加女壻黃孟粹爵一階, 止進聯句曰: "生逢聖主猶嫌晩。" 上卽曰: "故友相歡未始半。" 命諸臣續之, 叔舟曰: "垂釣渭濱已八十。" 擥曰: "豈料睿恩今渙汗。" 明澮曰: "方今優禮老成臣。" 任曰: "抃舞昌辰鬢蕭散。" 文炯曰: "蕩蕩難名老老仁。" 子煥曰: "載賡卷阿何判奐?" 應曰: "舜 文億載眞同符。" 桂陽君 璔曰: "宗勳獻壽於千萬。" 命任書之, 文炯序之, 序曰:
天順五年歲在辛巳夏六月甲戌, 上御華韡堂, 召舊臣安止。 止老退居于第, 時年七十八。 仍召左議政申叔舟以下諸臣, 入侍于堂, 置酒張樂。 酒旣醺, 賜止御衣一領, 止拜受, 衣之以舞, 諸臣迭起上壽。 除止判中樞院事, 又爵其女壻, 眞罕世之奇遇也。 止上一句, 上賜和, 命在座諸臣足之, 旣成篇。 上曰, "語意音節似出一手, 可觀也。" 其令文臣續成, 卽命臣序之。 臣竊惟君臣相遇, 自古爲難, 而重老崇儒, 尤帝王之盛德也。 安止歷事三朝, 宗主斯文, 承顧問於帷幄, 摠編摩於史局, 作範藝苑, 提衡文場, 爲一代儒家之宗匠。 今老矣, 殿下念其舊, 尊其年, 尙其文, 高秩厚賞, 齎予偏重。 止於是受恩感激, 歌頌蹈舞, 華髮皤皤, 丹心耿耿。 是雖周王之善養, 漢帝之賜食, 無以過之, 至於君臣相悅, 賡歌一堂之上, 則是虞庭舊事而周、漢之所未及也。 恭惟聖上盛德廣運, 仁聲遠被, 優游涵泳, 無物不養, 至於尊賢敬老, 雖《詩》、《書》所載, 蔑有加矣。 將見傅巖之叟、渭濱之老, 亦皆延頸拭目而爲我殿下用也。 稽謀自天, 爲國蓍龜, 扶王化, 澤民生, 有不可勝言者矣。 臣伏覩盛美, 恭承寵命, 不能鋪張洪休, 謹述梗槪, 使太史氏有所稽焉, 異日文子、文孫, 其有所觀乎?
- 【태백산사고본】 9책 24권 21장 A면【국편영인본】 7책 467면
- 【분류】왕실-의식(儀式) / 왕실-사급(賜給) / 왕실-국왕(國王) / 인물(人物) / 인사-관리(管理) / 인사-임면(任免) / 어문학-문학(文學)
- [註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