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조실록22권, 세조 6년 12월 29일 신축 2번째기사 1460년 명 천순(天順) 4년

사직 김이랑합·김모하 등에게 부만호를 제수하다

여오리(汝吾里)에 사는 사직(司直) 김이랑합(金伊郞哈)·김모하(金毛下)를 본고장의 부만호(副萬戶)로, 시전(時錢)에 사는 지휘(指揮) 은쇄실합(殷鎖失哈)을 본고장의 부만호로, 훈춘(訓春)에 사는 사직 은호질가(殷好叱家)·도양(倒羊)·자라로(者羅老)·만피(萬皮)·독리올(禿里兀)·아다알(阿多斡)·대수능(大受能)을 본고장의 부만호로, 오롱초(吾弄草)에 사는 합아속(哈兒速)을 본고장의 부만호로, 구주(具州)에 사는 상호군(上護軍) 비사(非舍)를 본고장의 도만호(都萬戶)로 삼고, 여산(余山)에 사는 호군(護軍) 유상상합(劉尙尙哈)을 올리어 본고장의 만호를 제수하고, 아을가모단(阿乙加毛端)에 사는 부만호 박살합탑(朴撒哈塔)·김탐탑합(金探塔哈)·김살로합(金撒魯哈)·박아당길(朴阿堂吉)을 올리어 본고장의 만호를 제수하고, 시미지(時未知)에 사는 부만호 이눌질구어(李訥叱仇於)를 올리어 본 고장의 만호를 제수하고, 어지미(於知未)에 사는 부만호 김가가아(金加加阿)를 올리어 본고장의 만호를 제수하고, 오음회(吾音會)에 사는 상호군 마유덕(馬游德)을 올리어 본고장의 도만호를 제수하고, 사직 동자토(童者土)·마다롱가(馬多弄可)를 본고장의 부만호로, 회춘(會春)에 사는 김사중합(金沙仲哈)을 본고장의 부만호로, 수주(愁州)에 사는 사직 거처(巨處)를 본고장의 부만호로 삼았다.


  • 【태백산사고본】 8책 22권 36장 B면【국편영인본】 7책 440면
  • 【분류】
    외교-야(野) / 인사-임면(任免)

    ○以汝吾里住司直金伊郞哈金毛下爲本處副萬戶, 時錢住指揮殷鎖失哈本處副萬戶, 訓春住司直殷好叱家倒羊者羅老萬皮禿里兀阿多斡大受能本處副萬戶, 吾弄草哈兒速本處副萬戶, 具州住上護軍非舍本處都萬戶, 余山住護軍劉尙尙哈陞授本處萬戶, 阿乙加毛端住副萬戶朴撒哈塔金探塔哈金撒魯哈朴阿堂吉陞授本處萬戶, 時未知住副萬戶李訥叱仇於陞授本處萬戶, 於知未住副萬戶金加加阿陞授本處萬戶, 吾音會住上護軍馬游德陞授本處都萬戶, 司直童者土馬多弄可本處副萬戶, 會春金沙仲哈本處副萬戶, 愁州住司直巨處本處副萬戶。

    世祖惠莊大王實錄卷第二十二終


    • 【태백산사고본】 8책 22권 36장 B면【국편영인본】 7책 440면
    • 【분류】
      외교-야(野) / 인사-임면(任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