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사신이 오는 일로 선위사를 각지에 파견하다
선위사(宣慰使) 예조 참판(禮曹參判) 조효문(曹孝文)을 개성부(開城府)에, 이조 참판(吏曹參判) 신석조(辛碩祖)를 황주(黃州)에, 중추원 사(中樞院使) 박강(朴薑)을 평양(平壤)에,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 심회(沈澮)를 안주(安州)에, 인수부 윤(仁壽府尹) 황치신(黃致身)을 의주(義州)에 보내고, 또 선위사(宣慰使) 좌승지(左承旨) 윤자운(尹子雲)을 가산(嘉山)에 별도로 보내었다. 황치신에게 명(明)나라 사신 진가유(陳嘉猷)와 서반(序班) 왕월(王軏)에게 각각 아청 면포 단직신(鴉靑綿布單直身)·백저포 철릭(白苧布帖裏)·백초 삼아(白綃衫兒)·초록 겹철릭(草綠裌帖裏)·백주 겹과두(白紬裌裹肚) 각 1령(領), 백녹비 협금화(白鹿皮夾金靴) 2쌍(雙)을, 두목(頭目)에게 아청 면포 단직신(鴉靑綿布單直身)·유청주 겹철릭(柳靑紬裌帖裏) 각 1령(領)을 가져가서 주게 하고, 윤자운(尹子雲)에게 진가유(陳嘉猷)와 왕월(王軏)에게 각각 한철릭(汗帖裏) 2령(領), 흑마포 철릭(黑麻布帖裏) 1령(領), 선자(扇子)140) 10자루[把], 유롱(油籠) 3벌[事], 종불자(騣拂子)141) ·사의(蓑衣)142) ·파치(把赤)·궁전(弓箭)·모(帽)·유안롱(油鞍籠) 각각 1벌[事], 모마장(毛馬裝) 1부(部)를, 두목(頭目)에게 각각 선자(扇子) 3자루[把]·유롱(油籠) 3벌[事]을 가져가서 주게 하였다. 또 예조 참의(禮曹參議) 서거정(徐居正)·좌필선(左弼善) 홍응(洪應)에게 명하여 요동 도사(遼東都司)에 선위(宣慰)하게 하고, 홍응이 도사(都司)에게 12승 흑마포(十二升黑麻布) 4필(匹), 11승 흑마포(十一升黑麻布) 10필(匹), 아청 면포 단단령(鴉靑綿布單團領)·유청주 내홍주 겹철릭(柳靑紬內紅紬裌帖裏)·초록주 겹탑호(草綠紬裌塔胡) 각 2령(領), 유지석(油紙席) 4장(張)을 가져가서 주게 하였다. 또 사목(事目)을 부치기를,
"도사(都司)가 만약 기증하는 바가 있으면 굳이 사양하다가 부득이 받되, 가져가는 포자(布子)·도자(刀子) 등의 물건으로 그 기증한 바에 따른 값을 회봉(回奉)하고, 만약 기증한 값이 많으면 의주(義州)에 갈무리한 포자(布子)를 적당히 알맞게 숫자를 더하여 주어라."
하고, 이어서 10승 흑마포(十升黑麻布) 3필(匹), 도자(刀子) 3부(部), 선자(扇子) 10자루[把]를 부치었다.
- 【태백산사고본】 6책 15권 22장 B면【국편영인본】 7책 317면
- 【분류】외교-명(明) / 왕실(王室) / 무역(貿易)
- [註 140]
○遣宣慰使禮曹參判曺孝文于開城府, 吏曹參判辛碩祖于黃州, 中樞院使朴薑(子)〔于〕 平壤, 判漢城府事沈澮于安州, 仁壽府尹黃致身于義州, 又遣別宣慰使左承旨尹子雲于嘉山。 致身齎贈明使陳嘉猷、序班王軏各鴉靑綿布單直身、白苧布帖裏、白綃衫兒、草綠裌帖裏、白紬裌裹肚各一領、白鹿皮夾金靴一雙, 頭目鴉靑綿布單直身、柳靑紬裌帖裏各一領, 子雲齎贈陳嘉猷、王軏各汗帖裏二領、黑麻布帖裏一領、扇子十把、油籠三事、騣拂子、蓑衣、把赤、弓箭、帽、油鞍籠各一事、毛馬裝一部, 頭目各扇子三把、油籠三事。 又命禮曹參議徐居正、左弼善洪應, 宣慰于都司, 應齎贈都司十二升黑麻布四匹、十一升黑麻布十匹、鴉靑綿布單團領ㆍ柳靑紬內紅紬裌帖裏ㆍ草綠紬裌塔胡各二領、油紙席四張。 且付事目曰: "都司若有所贈固辭, 不得已受之, 則以齎去布子、刀子等物隨其所贈之直回奉, 若所贈之直多, 則以義州所藏布子量宜加數", 仍付十升黑麻布三匹、刀子三部、扇子十把。
- 【태백산사고본】 6책 15권 22장 B면【국편영인본】 7책 317면
- 【분류】외교-명(明) / 왕실(王室) / 무역(貿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