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조실록15권, 세조 5년 1월 30일 계축 5번째기사 1459년 명 천순(天順) 3년

시을두·어치내·만독합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사지(斜地)에 거주하는 시을두(時乙豆), 수주(愁州)에 거주하는 어치내(於赤乃), 모리안(毛里安)에 거주하는 만독합(滿禿哈), 발가퇴(孛加退)에 거주하는 김인을개(金引乙介)·김지하리(金之下里)·동노아간(童奴兒干), 동량북(東良北)에 거주하는 이창아(李昌阿)·낭나수(浪羅守)·낭구음부(浪仇音夫), 아치랑귀(阿赤郞貴)에 거주하는 낭시파치(浪時波赤), 오롱초(吾弄草)에 거주하는 낭금세(浪金世), 초곶이[草串]에 거주하는 김진가아(金眞哥我)·이파라속(李把剌速)·김마신개(金馬申介)·이눌구어건(李訥仇於件) 등을 본처(本處) 만호(萬戶)로 삼고, 남라귀(南羅貴)에 거주하는 첩고(帖苦), 동량북(東良北)에 거주하는 출양합(出羊哈), 오치안(吾治安)에 거주하는 수은두(愁隱豆), 무아계(無兒界)에 거주하는 저아속(著兒速), 상가하(上家下)에 거주하는 이구(里仇), 모리안(毛里安)에 거주하는 눌실(訥失), 사지(斜地)에 거주하는 홀실탑(忽失塔), 박가별라(朴可別羅)에 거주하는 매하(每下), 벌인(伐引)에 거주하는 어부내(於夫乃)·오간주(吾看主), 하다산(何多山)에 거주하는 유고래실(劉高來失), 수소호(愁所好)에 거주하는 동칭통(童稱統), 보청포(甫靑浦)에 거주하는 유아치합(劉阿赤哈), 오롱초(吾弄草)에 거주하는 살대(撒歹), 하다산(何多山)에 거주하는 김상장합(金尙張哈), 오음회(吾音會)에 거주하는 고나읍다손(高羅邑多孫), 여오(汝吾)에 거주하는 오와자오(吾臥者吾), 건주위(建州衛)에 거주하는 무양가(無陽可)·사한타(沙漢他) 등을 본처(本處) 부만호(副萬戶)로 삼고, 부창(浮昌)에 거주하는 이파을시(李波乙時), 무아계(無兒界)에 거주하는 낭시가구(浪時加具), 동량북(東良北)에 거주하는 이마구(李麻具), 훈춘(訓春)에 거주하는 김사로합(金沙魯哈), 초곶이[草串]에 거주하는 이여을어(李汝乙於), 건주위(建州衛)에 거주하는 이모지내(李毛只乃) 등을 본처(本處) 도만호(都萬戶)로 삼았다.


  • 【태백산사고본】 6책 15권 11장 A면【국편영인본】 7책 311면
  • 【분류】
    외교-야(野) / 군사-지방군(地方軍)

    ○以斜地時乙豆愁州於赤乃毛里安滿禿哈孛加退金引乙介金之下里童奴兒干東良北李昌阿浪羅守浪仇音夫阿赤郞貴浪時波赤吾弄草浪金世草串金眞哥我李把剌速金馬申介李訥仇於件等爲本處萬戶。 南羅貴帖苦東良北出羊哈吾治安愁隱豆無兒界著兒速上家下里仇毛里安訥失斜地忽失塔朴可別羅每下伐引於夫乃吾看主何多山劉高來失愁所好童稱統甫靑浦劉阿赤哈吾弄草撒歹何多山金尙張哈吾音會高羅邑多孫汝吾吾臥者吾建州衛無陽可沙漢他等爲本處副萬戶。 浮昌李波乙時無兒界浪時加具東良北李麻具訓春金沙魯哈草串李汝乙於建州衛李毛只乃等爲本處都萬戶。


    • 【태백산사고본】 6책 15권 11장 A면【국편영인본】 7책 311면
    • 【분류】
      외교-야(野) / 군사-지방군(地方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