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조실록13권, 세조 4년 8월 3일 무오 1번째기사 1458년 명 천순(天順) 2년

사정전에 나아가 음복연을 베풀다

사정전(思政殿)에 나아가서 음복연(飮福宴)을 베푸니, 양녕 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효령 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임영 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밀성군(密城君) 이침(李琛)·의창군(義昌君) 이공(李玒)·영해군(寧海君) 이당(李瑭)·운성 부원군(雲城府院君) 박종우(朴從愚)·하동 부원군(河東府院君) 정인지(鄭麟趾)·우의정(右議政) 강맹경(姜孟卿)·좌찬성(左贊成) 신숙주(申叔舟)·우찬성(右贊成) 황수신(黃守身)·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 이인손(李仁孫)·이조 판서(吏曹判書) 한명회(韓明澮)·예조 판서(禮曹判書) 이승손(李承孫)·좌참찬(左參贊) 박중손(朴仲孫)·호조 판서(戶曹判書) 권준(權蹲)·형조 판서(刑曹判書) 박원형(朴元亨)·승지 등이 입시(入侍)하였다. 헌관(獻官)인 행 첨지중추원사(行僉知中樞院事) 김구(金鉤)가 술을 올리었다. 왜인(倭人) 우다도로(祐多都老)야인(野人) 아구(阿具)·보당가(甫當可)·운지다모(云之多毛) 등 36인도 또한 시연(侍宴)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5책 13권 34장 A면【국편영인본】 7책 289면
  • 【분류】
    왕실-의식(儀式) / 외교-왜(倭) / 외교-야(野)

    ○戊午/御思政殿, 設飮福宴, 讓寧大君 孝寧大君 (補)〔𥙷〕 臨瀛大君 桂陽君 密城君 義昌君 寧海君 雲城府院君 朴從愚河東府院君 鄭麟趾、右議政姜孟卿、左贊成申叔舟、右贊成黃守身、判中樞院事李仁孫、吏曹判書韓明澮、禮曹判書李承孫、左參贊朴仲孫、戶曹判書權蹲、刑曹判書朴元亨、承旨等入侍。 獻官行僉知中樞院事金鈎進酒。 倭人 祐多都老野人 阿具甫當可云之多毛等三十六人亦侍宴。


    • 【태백산사고본】 5책 13권 34장 A면【국편영인본】 7책 289면
    • 【분류】
      왕실-의식(儀式) / 외교-왜(倭) / 외교-야(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