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검색 문자입력기
세조실록8권, 세조 3년 6월 13일 을사 1번째기사 1457년 명 천순(天順) 1년

중국 사신 진감과 고윤이 등경·관분선·요기·피체 등을 구하다

진감(陳鑑)등경(燈檠)631) ·관분선(盥盆鐥)632) ·요기(溺器) 등의 물건을 구하면서 말하기를,

"우리 집은 본래 몹시 가난하기 때문에 구(求)하는 것이다."

하고, 고윤(高閏)피체(髮髢)633) 를 구하였다. 진감고윤은 주구(誅求)하는데 끝이 없어서 모든 용도에 갖추어야 할 물건들을 다 토색(討索)하지 않음이 없었다. 고윤은 교만 방자하고 남을 업신여겨 겉으로는 고항(高亢)하나 속마음은 검기가 진감보다 한 등(等) 더하였다. 비밀히 도감관을 쫓아가 피체(髮髢)를 요구하면서 말하기를

"정사(正使)로 하여금 알지 못하도록 하시오."

하였다.


  • 【태백산사고본】 3책 8권 7장 A면【국편영인본】 7책 204면
  • 【분류】
    외교-명(明)

  • [註 631]
    등경(燈檠) : 등잔 걸이.
  • [註 632]
    관분선(盥盆鐥) : 제사 때 손을 씻는 유기 그릇.
  • [註 633]
    피체(髮髢) : 가발(假髮).

○乙巳/陳鑑求燈檠、盥盆鐥、溺器等物曰: "予家本單貧, 故求耳。" 高閏求髲髢。 誅求無厭, 凡備用之物, 莫不畢討。 驕傲簡慢, 外亢內墨, 高於一等, 密從都監官索髲髢曰, "勿令正使知也。"


  • 【태백산사고본】 3책 8권 7장 A면【국편영인본】 7책 204면
  • 【분류】
    외교-명(明)